본 연구는 서울, 경기, 전남, 전북, 경북 지역의 유치원, 어린이집 및 다문화센터에 재원중인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출신국적별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312명, 다문화가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83281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3-319(27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전남, 전북, 경북 지역의 유치원, 어린이집 및 다문화센터에 재원중인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출신국적별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312명, 다문화가정...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전남, 전북, 경북 지역의 유치원, 어린이집 및 다문화센터에 재원중인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출신국적별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312명,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기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출신국적별 외국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삶의 질, 문화적응스트레스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출신국적별 양육행동 유형군은 모든 국가에서 유아의 기관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군으로 나타났으며, 필리핀과 태국 국적의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들은 삶의 질에서 베트남과 캄보디아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군에서 유의미한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동북아시아권의 중국과 일본 국적의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들은 양육행동, 삶의 질, 문화적응스트레스 모든 군에서 유아의 기관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출신국적별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질 정도는 그들 자녀를 양육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지원정책들의 방향은 출신국적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특성을 적극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oreign mothers’ parent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acculturation stress on multicultural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for a variety of nationalities. The subjects included 312 foreign mothers from the Phi...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oreign mothers’ parent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acculturation stress on multicultural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for a variety of nationalities. The subjects included 312 foreign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Thailand, Vietnam, Cambodia, China, or Japan who are part of a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children. In addition, we recruited 116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s, childcare centers, or multicultural centers in the areas around Seoul, Gyeonggi, Jeonnan, or Gyeongbuk. parenting behavior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nationality. Moreover, the life quality of foreign mothers who were of Filipino or Thai origin and the acculturation stress of Vietnamese and Cambodian mothers affected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It was also found that East Asian nationality, including foreign mothers from China and Japan, positively influenced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acculturation stress on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Thus, acculturation stress and life quality of foreign mothers affected their parenting. This suggests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reflected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in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성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39 (39): 571-579, 2000
2 손승영,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자녀교육태도 비교연구 : 교차거주자의 ‘자문화’와 ‘타문화’ 평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37-80, 2010
3 이기숙, "한국, 일본, 중국 부모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51-171, 2008
4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법무부출입국관리국, "출입국관리통계연보"
6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7 보건복지가족부,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8 오재연, "유아교육기관에 적응하는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171-201, 2010
9 이수기,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성, 연령, 다문화가정 변인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정미경,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 41 (41): 123-137, 2003
1 민성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39 (39): 571-579, 2000
2 손승영,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자녀교육태도 비교연구 : 교차거주자의 ‘자문화’와 ‘타문화’ 평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37-80, 2010
3 이기숙, "한국, 일본, 중국 부모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51-171, 2008
4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법무부출입국관리국, "출입국관리통계연보"
6 박찬옥,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7 보건복지가족부,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8 오재연, "유아교육기관에 적응하는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171-201, 2010
9 이수기,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성, 연령, 다문화가정 변인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정미경,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 41 (41): 123-137, 2003
11 송복희, "아시아지역 가정생활문화를 통해서 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전략"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2
12 박영애, "아동의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167-168, 2006
13 김지현,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4 구은미,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5 정아현,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어머니의 자녀교육 실태와 인식 : 뉴욕·뉴저지 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6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법"
17 보건복지가족부,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 대책"
18 전경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출신국적 배경에 따른 한국생활 적응의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05-330, 2011
19 신혜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0 노기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국가 교육지원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법정책학회 11 (11): 839-868, 2011
21 오재연,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적응프로그램 실시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신념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3-44, 2013
22 김현경,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3 정민영,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24 정민영,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41-168, 2010
25 신정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접변태도,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6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8 박미경,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9 홍미기,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0 박선태, "결혼이주여성의 역할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Double ABCX 모델의 적용"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31 정기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68-103, 2008
32 최정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3 Nicole. R., "indergarten Children's Relatedness to Teachers and Peers as a Factor in Classroom Engagement and Early Leaming" 2 (2): 1-20, 2008
34 Feeney, S., "Who am I in the lives of children? An introduction to teaching young children" Merrill Publishing Co 1987
35 Jewsuwan, R., "The rekation between parents'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8 : 33-51, 1993
36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vard University Press 1979
37 Hartup. W., "The dynamics of preschool children's confoicts" 35 (35): 281-297, 1989
38 Klem. A. M., "Relationships matters : Linking teacher support to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74 (74): 262-273, 2004
39 Buhs, E. S., "Peer rejection. negative peer treatment. and school adjustment : Self-concept and classroom engagement asmediating processes" 43 : 407-424, 2005
40 Curry. S. L., "Identifying coping strategies in children" 14 : 61-69, 1985
41 Hartup. W., "Having friends, making friends: Relationships as educational contexts"
42 Bronfenbrenner. U.,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Wiley 993-1028, 1998
43 Lynn, M. 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35 (35): 382-385, 1986
44 Derman-Sparks, A.B.C. Task Force, "Anti-Bias Curriculum-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2
45 Hovey, J. D.,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immigrant and second generation Latino adolescents" 35 (35): 1183-1192, 1996
46 김지은,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7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7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
유아 사회적 유능성의 변화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단기 종단적 연구
남녀 유아의 자아 발달 경향: 유아가 모래상자에 형상화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 ![]() |
2017-1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2 | 2.02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23 | 2.22 | 2.524 | 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