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참여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분석: 자발적 공동체 참여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Difference Analysis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ommunity Building Business Driven by Residents: Based on The Control Effects Of Voluntary Community Experi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2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발전, 공동체성 형성을 위한 ‘집단적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민 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대...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발전, 공동체성 형성을 위한 ‘집단적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민 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전시의 사회적 자본 확충 사업으로 추진 중인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업 참여 만족도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 내에서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인 자발적 공동체 참여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만족 도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서 참여자의 공동체 참여 경험은 네트워크와 규범 요인 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지역의 주요 시정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지방 정부 는 지역의 마을 만들기 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민의 네트워크, 규범 요인 강화를 위해 마을 만들기 사업 이외에 주 민들의 다양한 자발적 공동체 활동의 참여 기회 마련과 더불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인센티브를 제공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social capital an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a good community building business’ driven by residents as a social capital expansion projects in Daejeon City government was done. And within...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social capital an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a good community building business’ driven by residents as a social capital expansion projects in Daejeon City government was done. And within that relationship the control effects of the voluntary community experiences as a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re planned to identify. As the analytic results, the control effects of the voluntary community experiences within the relationship of a social capital an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ve an effects on a network factor, a norms factor of residents. Base on those results of this study, the local governments which have a plan to expand the social capital in their region, have to make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support plans for their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 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태형, "회적 자본이 도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97-116, 2010

      2 박은지, "커뮤니티가든 주민참여계획의 사회적 자본 형성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3 황영호, "충청ㆍ호남지역의 사회자본의 실태와 형성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4 (14): 183-209, 2004

      4 안병일, "청소년단체 참여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5 곽현근,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가 인지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주민조직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5 (25): 61-91, 2011

      6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주거관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239-269, 2013

      7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8 최인혜,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마을만들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최승호,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자립 방안 모색" 충북발전연구원 2008

      1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1 권태형, "회적 자본이 도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97-116, 2010

      2 박은지, "커뮤니티가든 주민참여계획의 사회적 자본 형성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3 황영호, "충청ㆍ호남지역의 사회자본의 실태와 형성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4 (14): 183-209, 2004

      4 안병일, "청소년단체 참여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5 곽현근,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가 인지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주민조직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5 (25): 61-91, 2011

      6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주거관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239-269, 2013

      7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8 최인혜,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마을만들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최승호,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자립 방안 모색" 충북발전연구원 2008

      1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11 하성규,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한국주택학회 17 (17): 77-94, 2009

      12 김우락, "주거지 정비사업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휴먼타운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05-119, 2011

      13 김영미, "주거관련 특성이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4

      14 대전광역시 사회적 자본 지원센터,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 백서" 2014

      15 이진만, "조직 내 사회자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사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16 보건복지부,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15~’19)" 2015

      17 박희봉,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측정과 분석을위한 시도" 34 (34): 219-237, 2000

      18 최종렬, "신뢰와 호혜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자본-사회자본 개념의 이념형적 구성-" 한국사회학회 38 (38): 97-132, 2004

      19 진관훈, "사회적 자본이 복지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20 주덕, "사회적 자본이 공익적 관광개발사업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8 (38): 261-278, 2014

      21 소진광,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16 (16): 89-118, 2004

      22 임우석, "사회적 자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23 홍영란,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24 서순탁,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도시계획의 역할과 과제 : 접근방법과 정책적 함의" 국토연구원 33 : 5-87, 2002

      25 박희봉, "사회자본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 정부학연구소 8 (8): 1-44, 2002

      26 백명자, "사회자본의 영향요인 분석 : 시민단체(NGO) 참여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6

      27 서혜숙,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수혜자의 만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28 정영호, "사회갈등지수 국제비교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9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38 (38): 63-95, 2004

      30 김경화,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도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267-285, 2015

      31 이철화, "동네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시재개발유형 및 주거관련요인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32 김영, "도심재생사업을 위한 로컬 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마산합포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43-70, 2013

      33 유광민, "농촌관광마을에서 사회자본과 리더십 사례연구" 18 : 177-199, 2006

      34 박선희, "근린효과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5 서종녀, "공동주택단지 유형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련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6 염종호, "공공조직의 사회자본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37 최동욱, "경관협정으로 함양된 사회적 자본 연구 : 사회적 자본평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8 OECD, "Why less inequality benefits all" 2015

      39 Fukuyama, F.,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Free Press 1995

      40 Putnam, Robert D.,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4 (4): 35-42, 1993

      41 OECD,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1

      42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S95-S120, 1988

      43 Serageldin, Ismail,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The World Bank 40-58, 2000

      44 Portes, A., "Social Capital :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24 : 1-24, 1998

      45 DeGraaf, Don, "Social Capital" 12-38, 2003

      46 Paxton, P., "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nited State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 105 (105): 88-127, 1999

      47 Bourdieu, Pierre,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241-258, 1986

      48 Coleman, J. S.,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9 OECD, "Employment Outlook"

      50 Putnam, Robert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0

      51 Putnam, Robert D.,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6 (6): 65-78, 1998

      52 Narayan, D., "A Dimensional Approach to Measuring Social Capital: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ocial Capital Inventory" 49 (49): 59-102,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