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계 미국(인) 초등학생과 부모의 한국 민속무용 경험에 대한 인식과 반응 =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Response of Korean-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Experiences in Korean Folk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6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nto the awareness and response of Korean-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Korean folk dance classes. To this end, it was deliberately collected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lass in the Korean church in Hawaii. The research methods were open interviews, semi-structured interviews, participation journal,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and the related documents was collected. A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t was identified the surface and internal meaning of the data and classified the data according to the interactions after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rough open coding of Strauss & Cobin (1998). As a result, they recognized Korea and Korean folk dance as, first, lacking awareness of Korea, second, fear of Korean dance, and, third, difficulty in dual language.
      In the response after the Korean folk dance experience, participants, first, felt active in dancing and physical enjoyment, second, got a wider understanding of the awareness between the cultures, and, third, were encouraged to have a community spirit, and fourth received responses as cultural education that can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nd grow into a global leadership, and, fourth, responded that they were cultural education that could grow into global leadership talents. For this reason, Korean folk dances for children of migrants living abroa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abroad should be distributed as an education type to be activated.
      번역하기

      The study into the awareness and response of Korean-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Korean folk dance classes. To this end, it was deliberately collected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 parents who participated i...

      The study into the awareness and response of Korean-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Korean folk dance classes. To this end, it was deliberately collected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lass in the Korean church in Hawaii. The research methods were open interviews, semi-structured interviews, participation journal,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and the related documents was collected. A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t was identified the surface and internal meaning of the data and classified the data according to the interactions after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rough open coding of Strauss & Cobin (1998). As a result, they recognized Korea and Korean folk dance as, first, lacking awareness of Korea, second, fear of Korean dance, and, third, difficulty in dual language.
      In the response after the Korean folk dance experience, participants, first, felt active in dancing and physical enjoyment, second, got a wider understanding of the awareness between the cultures, and, third, were encouraged to have a community spirit, and fourth received responses as cultural education that can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nd grow into a global leadership, and, fourth, responded that they were cultural education that could grow into global leadership talents. For this reason, Korean folk dances for children of migrants living abroa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abroad should be distributed as an education type to be activ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계-미국인 초등학생과 부모들의 한국 민속무용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미국 하와이주 한인교회 내 한글교실에 참여한 초등학생 5명, 부모 3명 등을 연구참여자로 의도적 표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개방형 인터뷰, 반구조화 면담, 참여일지, 부모와의심층면담을 하였으며 관련 문서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Strauss&Cobin(1998) 의 개방코딩(Open Coding)을 통해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자료의 표면적 의미와 내면적 의미를 파악하고상호작용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과 한국 민속무용에 대한 인식은, 한국에 대한 부족한 인식과 이중 문화에 대한 정체성 혼란,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과 춤 학습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느끼는 자녀들의 한국 민속무용 학습에 대한 인식으로는, 춤으로 배우는 문화 교육과 몸으로 인지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한국 민속무용 경험후 반응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이 춤에 대한 적극성과 신체 즐거움을 느꼈다. 또한 이중 문화 간 인식 이해의폭이 넓어 졌으며, 공동체 의식 함양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계-미국인 초등학생과 부모들의 한국 민속무용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미국 하와이주 한인교회 내 한글교실에 참여한 초등학...

      본 연구는 한국계-미국인 초등학생과 부모들의 한국 민속무용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미국 하와이주 한인교회 내 한글교실에 참여한 초등학생 5명, 부모 3명 등을 연구참여자로 의도적 표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개방형 인터뷰, 반구조화 면담, 참여일지, 부모와의심층면담을 하였으며 관련 문서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Strauss&Cobin(1998) 의 개방코딩(Open Coding)을 통해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자료의 표면적 의미와 내면적 의미를 파악하고상호작용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과 한국 민속무용에 대한 인식은, 한국에 대한 부족한 인식과 이중 문화에 대한 정체성 혼란,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과 춤 학습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느끼는 자녀들의 한국 민속무용 학습에 대한 인식으로는, 춤으로 배우는 문화 교육과 몸으로 인지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한국 민속무용 경험후 반응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이 춤에 대한 적극성과 신체 즐거움을 느꼈다. 또한 이중 문화 간 인식 이해의폭이 넓어 졌으며, 공동체 의식 함양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해외한류실태조사" 2019

      2 임재해, "한국의 민속예술" 문학과 지성사 2-, 1988

      3 김정하, "한국 민속무용 경험이 미국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35-48, 2019

      4 이진선,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가 사회성,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15 (15): 33-48, 2015

      5 박순이, "초등학생들이 신체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즐거움"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189-198, 2008

      6 이애현, "초등학교 민속무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25 (25): 135-162, 2007

      7 서예원, "초등무용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 한국초등체육학회 20 (20): 13-22, 2014

      8 박은규, "초등무용교육 향상을 위한 고찰" 1 (1): 97-116, 2006

      9 하영례,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0 김두련, "아동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8

      1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해외한류실태조사" 2019

      2 임재해, "한국의 민속예술" 문학과 지성사 2-, 1988

      3 김정하, "한국 민속무용 경험이 미국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35-48, 2019

      4 이진선,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가 사회성,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15 (15): 33-48, 2015

      5 박순이, "초등학생들이 신체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즐거움"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189-198, 2008

      6 이애현, "초등학교 민속무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25 (25): 135-162, 2007

      7 서예원, "초등무용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 한국초등체육학회 20 (20): 13-22, 2014

      8 박은규, "초등무용교육 향상을 위한 고찰" 1 (1): 97-116, 2006

      9 하영례,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0 김두련, "아동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8

      11 황지원, "아동의 무용 활동과 사회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정고운, "민속무용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13 최낙복,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조사 연구- 로스앤젤레스 지역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2) : 211-245, 2008

      14 정아현,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어머니의 자녀교육 실태와 인식 : 뉴욕·뉴저지 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5 김정하, "미국 초등학생의 한국 민속무용 학습경험에 관한 의미 찾기" 학교체육연구소 7 (7): 41-53, 2019

      16 김경은, "미국 대학생의 한국춤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州)의 대학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9 : 59-95, 2015

      17 김제니, "미국 LA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무용과 장단지도방안 연구-소고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5

      18 박은규,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8 (8): 17-30, 2002

      19 박은규, "무용/동작 치료 요소를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활동 수업의 설계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91-711, 2016

      20 오세복, "무용 수업 참여형태에 따른 아동들의 사회성 비교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681-692, 2003

      21 고경희, "다문화적 상호이해를 위한 무용교육 제고 -초등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203-228, 2011

      22 장현주,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지역문화시설의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23 이정연, "다문화 사회 속의 초등무용교육: 변화를 위한 모색:포크댄스(Folk Dance)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81-192, 2008

      24 이경한, "국제이해교육 관점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의 탐색"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9 (9): 33-58, 2014

      25 D’Amato, J., "We cool, tha’s why: A study of personhood and place in Hawaiian second graders" University of Hawaii 1986

      26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UNESCO Culture-related international convention"

      27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Prentice Hall 297-, 1989

      28 Spradley, J.,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bridge University Press 55-, 1987

      29 Spradley, J.,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bridge University Press 55-, 1987

      30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31 David J. Elliot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32 Guba, E. G.,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29 (29): 85-, 1981

      33 Golden, J. G., "Acculturation, biculturalism and marginality: A study of Korean-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of Colorado 1987

      34 Ting, H., "A Child on the edge: Silent rejec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1-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s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6-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과학연구소 -> 학교체육연구소
      영문명 : chungang university -> Physical Education Lab of Chung-Ang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