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4월 26일~3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74717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38(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4월 26일~30...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4월 26일~30일(4일간) 연구 목적과 절차를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부산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인식,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V3.5, Hayes(2017)의 PROCESS macro Model 4번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지각된 진로장벽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각된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진로장벽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지각된 진로장벽은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초래된 불안감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로준비행동 등이 억제될수 있다는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영식 ; 권오혁, "회복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9 (19): 245-258, 2018
2 고홍월 ; 김계현,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147-164, 2008
3 강현희,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59-78, 2015
4 "통계청"
5 등나,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소비자의 불안감과 지루함이 라이브 스트리밍커머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송의 인터렉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6 윤일현, "코로나19 시대의 대학생 진로장벽이 취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130-137, 2021
7 김성태, "코로나-19가 사회적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게임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게임대학원 2021
8 조수민 ; 윤병국, "코로나 시대의 항공사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15-133, 2021
9 홍민아 ; 유정애,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34 (34): 135-147, 2020
10 황매향 ; 이아라 ; 박은혜, "청소년용 남성 진로장벽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및 잠재평균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25-159, 2005
1 신영식 ; 권오혁, "회복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9 (19): 245-258, 2018
2 고홍월 ; 김계현,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147-164, 2008
3 강현희,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59-78, 2015
4 "통계청"
5 등나,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소비자의 불안감과 지루함이 라이브 스트리밍커머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송의 인터렉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6 윤일현, "코로나19 시대의 대학생 진로장벽이 취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130-137, 2021
7 김성태, "코로나-19가 사회적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게임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게임대학원 2021
8 조수민 ; 윤병국, "코로나 시대의 항공사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15-133, 2021
9 홍민아 ; 유정애,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34 (34): 135-147, 2020
10 황매향 ; 이아라 ; 박은혜, "청소년용 남성 진로장벽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및 잠재평균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25-159, 2005
11 유미정,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2 탁진국,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연구 : An Exploratory Study" 1 (1): 167-180, 2001
13 장용희 ; 이재신 ; 신의수, "지방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63-184, 2016
14 조현정 ; 서보람 ; 이현민,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10 (10): 1-21, 2020
15 박대성 ; 유은영,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13-321, 2016
16 김민희 ; 이제경, "전문대 재학생이 지각한 직업기초능력과 진로결정수준,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13-129, 2017
17 권석만,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심리학" 학지사 2018
18 이성식 ; 정철영,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83-109, 2007
19 조지혜,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0 유수복, "성별과 가정 경제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7) : 253-273, 2017
21 박수애 ; 송관재,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1-29, 2005
22 김민정, "사범대학 학생의 인지적 유연성, 진로정체감, 진로스트레스의 구조관계 분석 : 진로스트레스의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23 정다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취업불안의관계: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과 진로탐색 어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24 강인혜 ; 유금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을 통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21-42, 2020
25 아시아경제, "번아웃 겪는 취준생"
26 고경필 ; 고정리, "대학생이 인식한 심리적 및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39-468, 2018
27 오은주, "대학생의 특성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85-107, 2014
28 허강석,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2017
29 이지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33-154, 2013
30 장이슬 ; 송병국,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3-392, 2015
31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32 문학선 ; 김양균,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10 (10): 91-119, 2020
33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34 방희원 ; 조규판,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15-234, 2017
35 손승연 ; 이종연, "대학생의 진로 및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8 (18): 149-170, 2017
36 윤예지, "대학생의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16
37 백은경 ; 정은정,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39-362, 2017
38 이지윤,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신라대학교교육대학원 2020
39 김아림 ; 강진령,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115, 2020
40 우현아 ; 이희수,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7 (17): 29-60, 2021
41 고은주,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성숙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2 김은선 ; 이희수, "대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15-136, 2018
43 오한솔 ; 이지혜, "고학년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매개효과와 생애목표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85-108, 2020
44 변정희,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5 박현희 ; 김순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369-378, 2016
46 신승옥, "간호대학생의 COVID-19 로 인한 감정,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련성"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75-81, 2020
47 한국경제, "“할 수 있는게 없다” 코로나 시대 ‘3無 취준생’"
48 Lent, R.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45): 79-122, 1994
49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 Hayser & Brothers 1957
50 Bollen, K. A., "Structu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1989
51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7
52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16): 282-296, 1980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상황에서 줌(Zoom)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세 교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과 의사소통 명확성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