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영성과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08830
2018
-
중등교사 ; 자아탄력성 ; 외상 후 성장 ; 영성 ; 감사성향 ;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 ego-resilience ; post-traumatic growth ; spirituality ; gratitude
KCI등재
학술저널
199-217(1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영성과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
본 연구는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영성과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19개 중· 고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로 최근 1년 이내에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폭력피해를 경험하였다고 자가 보고한 14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 t-test, ANOVA,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자아탄력성, 영성, 외상 후 성장은 중간정도 수준이었으며, 감사성향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폭력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 영성,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폭력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영성과 감사성향이 각각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영성과 감사성향을 활용하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and audit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t harm from students or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and audit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t harm from students or par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9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19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J’ do and who self-reported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or parents with in the last year.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ego-resilience, spiritual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moderate, and gratitude was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spirituality, gra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t damage.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erfect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and gratitude on relationship between the ego-resilienc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damage. This suggests that spirituality and gratitude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ctims of violence are important related ca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hat we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hat utilize spirituality and gratitude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damage.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K-PTGI) 의 신뢰도와 타당도" 252-253, 2006
2 권선중,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177-190, 2006
3 "한국교육신문"
4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353-371, 2006
5 권오형, "학생·학부모에 의한 교사의 폭력 경험과 정신건강 및 소진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오대연, "초등교사의 폭력피해 외상경험과 스트레스반응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변인으로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5 (15): 213-231, 2016
7 최영숙,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 구조모형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8 김소연, "청소년의 영성과 종교성향이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가톨릭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9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17-231, 2005
10 이종연, "중등학교 교사의 영성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성숙성의 매개 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9 (59): 481-508, 2011
1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K-PTGI) 의 신뢰도와 타당도" 252-253, 2006
2 권선중,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177-190, 2006
3 "한국교육신문"
4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353-371, 2006
5 권오형, "학생·학부모에 의한 교사의 폭력 경험과 정신건강 및 소진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오대연, "초등교사의 폭력피해 외상경험과 스트레스반응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변인으로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5 (15): 213-231, 2016
7 최영숙,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 구조모형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8 김소연, "청소년의 영성과 종교성향이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가톨릭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9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17-231, 2005
10 이종연, "중등학교 교사의 영성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성숙성의 매개 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9 (59): 481-508, 2011
11 윤명숙,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성장관련 요인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9) : 61-89, 2011
12 유명란,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성장, 자아탄력성, 낙관성과 삶의 질" 군건강정책연구소 33 (33): 1-14, 2015
13 한경아,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14 이하정, "유아교사의 영성과 생태적 소양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15-241, 2016
15 김희정,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성장 관련 요인 탐색" 492-493, 2008
16 장한, "외상후성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8 (18): 85-105, 2017
17 김신영, "외상 후 스트레스로서의 교사대상 폭력 피해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8 박혜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01-214, 2006
19 양귀화,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041-1062, 2014
20 김애경, "예비 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감사성향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5 (15): 71-91, 2015
21 오복자, "영성측정도구(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연구" 1 (1): 129-129, 2001
22 배상정,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597-616, 2014
23 배상정, "영성, 희망 및 외상 후 성장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24 곽민영,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 26 (26): 124-133, 2017
25 임정란, "상담교사의 대리외상과 대리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89-107, 2014
26 김미영,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희망, 핵심신념,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9 (19): 493-502, 2012
27 김고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127-145, 2016
28 이현주,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247-255, 2016
29 노지혜,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159-183, 2011
30 김현숙, "교직경력에 따른 중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1 유홍준, "교실 내 폭력의 현황과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402, 2012
32 이규미, "교사의 폭력피해경험과 후유증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1001-1022, 2015
33 최인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4 임미라, "교사의 대인 관계적 외상 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용서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5 신재은, "교사 대상 폭력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교육과학연구소 48 (48): 1-27, 2017
36 정연균,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수도권 지역내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6 (16): 243-276, 2014
37 이정선, "경찰공무원의 감성지능과 직업소명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6 (26): 382-390, 2017
38 김에스더,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261-261, 2015
39 이숙, "간호사의 외상후성장, 외상사건경험 및 인지정서조절 간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6 (26): 31-37, 2018
40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569-576, 2014
41 Pargament, K. I., "The psychology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Yes and no" 9 (9): 3-16, 1999
42 McCullough, M. E., "The grateful disposition :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82 (82): 112-, 2002
43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44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45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Routledge 1998
46 Calhoun, L. G.,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1-22, 2013
47 Block, J. H.,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1980
48 McCullough, M. E., "Is gratitude a moral affect?" 127 (127): 249-, 2001
49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70): 349-, 1996
50 Howden, J. W., "Development &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Texas Woman's University 1992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교육과정 통합 단원 개발과 KDB 모형: KDB 모형 활용의 특이점, 유용성 및 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