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College Student's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6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603 adolescent college students, including some area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ayes (2013)'s PROCESS macro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of college students, the lower their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hame that was interviewed, the higher the level of sensitivity to reje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lower the interpersonal abilit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ized shame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medium of rejection sensitivity,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lower interpersonal 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im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are major development tasks in college students, and discussed that it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c data in the field of practice for counseling and school life to solv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adolescent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603 adolescent college students, including some areas in the 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603 adolescent college students, including some area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ayes (2013)'s PROCESS macro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of college students, the lower their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hame that was interviewed, the higher the level of sensitivity to reje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lower the interpersonal abilit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ized shame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medium of rejection sensitivity,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lower interpersonal 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im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hich are major development tasks in college students, and discussed that it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c data in the field of practice for counseling and school life to solv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일부 지역을 비롯한 대학생 603명이며, 연구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면회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 수준의 수준이 높아져서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시기 주요한 발달과업인 대인관계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학생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 및 학교생활 실천현장에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일부 지역을 비롯한 대학생 603명이며, 연구 분석방법은 SP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일부 지역을 비롯한 대학생 603명이며, 연구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면회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 수준의 수준이 높아져서 대인관계 능력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시기 주요한 발달과업인 대인관계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학생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 및 학교생활 실천현장에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경,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 척도개발 및 타당화 :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3 남순임,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221-241, 2018

      4 안현진,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173-187, 2018

      5 이순희,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구조적 관계-성별 차이에 따른 사회불안과 우울의 다중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187-215, 2018

      6 민병남, "청소년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31-450, 2016

      7 청년서비스 사업단, "청년마음통계"

      8 허지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6 (16): 1-21, 2016

      9 한혜림,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0 유은영,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74-283, 2012

      1 조윤경,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 척도개발 및 타당화 :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3 남순임,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5 (15): 221-241, 2018

      4 안현진,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173-187, 2018

      5 이순희,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구조적 관계-성별 차이에 따른 사회불안과 우울의 다중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187-215, 2018

      6 민병남, "청소년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31-450, 2016

      7 청년서비스 사업단, "청년마음통계"

      8 허지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6 (16): 1-21, 2016

      9 한혜림,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0 유은영,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74-283, 2012

      11 박송이, "우울취약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2 박은혜, "우울취약성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3 오홍석,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 유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4 최은영,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 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285-302, 2011

      15 장석진,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6 김해랑,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기체계손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321-340, 2017

      17 Bradshaw, J., "수치심의 치유[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사단법인 한국상담심리연구원 2010

      18 Bradshaw, J., "수치심의 치유" 사단법인 기독교상담연구원 2003

      19 Bradshaw, J., "수치심의 치유"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0 홍은수, "수치심의 이해 및 치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1 강다혜, "성인 초기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문제 간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22 이복동, "성인 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 거부 민감성과 귀인 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23 "서울경제 기사"

      24 김남연,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3 (13): 2309-2328, 2012

      25 이연실,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0) : 173-194, 2017

      26 양민정,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27 강지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28 한경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9 차혜련,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73-401, 2016

      30 김현진,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93-102, 2018

      31 윤양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20, 2019

      32 최임정,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479-492, 2010

      33 권다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과 분노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34 김나영,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5 안선경,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719-741, 2016

      36 장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8

      37 정소현,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9 (19): 137-159, 2018

      38 경기웅,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6 (36): 55-66, 2015

      39 임정하,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93-120, 2016

      40 안범희, "대인관계론" 태영출판사 2010

      41 김창대,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35 (35): 83-95, 1999

      42 안봉화,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3 홍서윤,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4 김민경,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45 차혜련,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46 안세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를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47 김민경,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및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61-176, 2013

      48 조윤경,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25 (25): 207-223, 2020

      49 이인숙,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651-670, 2005

      50 Brene Brown, "나는 왜 내 편이 아닌가" 북하이브 2012

      51 김종운, "공과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71-896, 2019

      52 정애리,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53 김혜원, "거절민감성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3

      54 김혜원, "거절민감성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3

      55 이선주, "거부민감성이 높은 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56 김주연,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주의력 조절의 조절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21-37, 2014

      57 Yourman, D. B., "Trainee disclosure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The impact of shame" 59 (59): 601-609, 2003

      58 Hayes, A. F., "The relative trustworthiness of inferential tests of the indirect effect in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Does method really matter?" 24 (24): 1918-1927, 2013

      59 Kaufman, G.,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2004

      60 Thompson, R., "The levels of self-criticism scale: Comparative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elf-criticism" 36 (36): 419-430, 2004

      61 Allaman, J. D., "The antecedents of social desirability response tendenci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43 (43): 1135-1160, 1972

      62 Horowitz, L. M,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 A Leary Legacy" 66 (66): 283-300, 1996

      63 Kaufman, G.,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Springer 1989

      64 London, B., "Social causes and consequences of rejection sensitivity" 17 (17): 481-506, 2007

      65 Lewis, M., "Shame. Interpersonal Behavior, Psychopathology, and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26-140, 1998

      66 Lewis, H. B., "Shame an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17 : 93-132, 1987

      67 Harder, D. W., "Shame and guilt assessment, and relationships of shame-and guilt-proneness to psychopathology" 1995

      68 Lewis, H. B., "Shame and Guilt in Neurosis"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69 Marston, E. G., "Rejection sensitivity in late adolescence: Social and emotional sequelae" 20 (20): 959-982, 2010

      70 Feldman, S.,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6 (6): 231-247, 1994

      71 Romero‐Canyas, 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rejection–hostility link in romantic relationships" 78 (78): 119-148, 2010

      72 Ayduk, Downey,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27 (27): 868-877, 2001

      73 Downey, G.,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ren’s interpersonal difficulties" 69 (69): 1074-1091, 1998

      74 Tangney, J. P., "Proneness to shame, proneness to guilt, and psychopathology" 101 (101): 469-478, 1992

      75 Cook, D. R.,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4 (4): 1143-1153, 1987

      76 Teyber, E., "Interpersonal process in psychotherapy: A relational approach"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00

      77 McDonald, K. L., "Interaction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upportive relationships in the prediction of adolescents’ internalizing difficulties" 39 (39): 563-574, 2010

      78 Downey, G.,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70 (70): 1327-, 1996

      79 Mischel W., "Implications of person-situation interaction: getting over the field'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3 (13): 455-461, 1999

      80 Dodge, K. A., "Hostile attributional biases among aggressive boys are exacerbated under conditions of threats to the self" 58 (58): 213-224, 1987

      81 Yontef, G., "Handbook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Gestalt Therapy" Cambridge Scholars 2008

      82 Impett, E. A., "Giving up and giving in: the costs and benefits of daily sacrifice in intimate relationships" 89 (89): 327-, 2005

      83 Buhrmester, D.,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55 (55): 991-1008, 1988

      84 Christman, J. A., "Examining the interplay of rejection sensitivity, self-compassion, and communica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University of Tennessee 2012

      85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86 Verbeke, W., "A situational analysis on how salespeople experience and cope with shame and embarrassment" 19 (19): 713-741, 2002

      87 Jacoby, L. L., "A process dissociation framework: Separating automatic from intentional uses of memory" 30 (30): 513-541, 1991

      88 Metcalfe, J., "A hot/cool-system analysis of delay of gratification: Dynamics of willpower" 106 (106): 3-19, 1999

      89 보건복지부, "2018 자살 실태조사’보고서" 보건복지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