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교육청 주관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수업컨설팅 운영과 교원 전문성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 교육지원청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47675
2015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37-265(29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교육청 주관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수업컨설팅 운영과 교원 전문성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 교육지원청에서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교육청 주관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수업컨설팅 운영과 교원 전문성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 교육지원청에서 신규 중등교사를 주 대상으로 실시한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은 ‘수업컨설팅 이전, 수업컨설팅 신청 과정, 실시 과정, 평가 과정, 수업컨설팅 이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사의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의 특성은 첫째, 수업컨설팅의 요소 차원에서 목표는 ‘설정되지 않은 개인 차원의 목표’, 대상과 과업은 ‘교직생활 전반에 대한 컨설팅’, 관련자는 ‘저경력 교사들의 컨설팅 의뢰’와 ‘컨설턴트로 활동하는 고경력의 동교과 교사’, ‘수업컨설팅에 대한 지원과 감독을 하는 교육지원청’이라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수업컨설팅의 원리 차원에서는 자발성은 ‘수업컨설팅 과정에서 교사의 주도성’, 전문성은 ‘컨설턴트와의 래포 형성을 통해 커지는 신뢰감’, 자문성은 ‘컨설턴트의 도움 속에서 해결방안을 선택하는 교사’, 한시성은 ‘동교과 교사에 대한 네트워크의 형성’, 독립성은 ‘교육지원청의 감독 하에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 학습성은 ‘전문성 개발의 발화점’이라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 주관 수업컨설팅과 교원 전문성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hat secondary teachers had experienced and what characteristics their experiences had in the instruction consulting(IC) by education office(EO)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on the IC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study analyzed what secondary teachers had experienced and what characteristics their experiences had in the instruction consulting(IC) by education office(EO)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on the IC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is a case study about novice secondary teachers who took the IC by EO.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s that teachers had 'before the IC', 'requst·implementation·assessment process of IC' and 'after the IC'.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s that teachers had participated in the IC are as follows: In the dimension of the IC factors, the aims of the IC were 'unestablished individual aims' and 'consulting about the whole teaching profession life'. Furthermore, the consultee were 'low careered teachers who requested the consulting'; consultants were 'high careered teachers in the same subject' and consulting managements were 'EO who support and supervise about the IC.'. Next, in the dimension of IC principle, the principle of spontaneity appeared 'teacher's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IC'. Also appeared characteristics such as 'reliance that is getting larger through the formation of rapport with consultants' for the principle of professionalism; 'teachers who select a solution with help of consultants' for the principle of consultation; 'formation of network for the teachers in the same subject' for the principle of temporariness; and 'the IC implemented under the authority of the EO support' for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Finally, the principle of learning showed such characteristic of 'the ignition point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on the instruction consulting(IC)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presented.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동섭 외, "한국 학교조직 탐구" 학지사 2005
2 주도연, "학교현장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93-513, 2011
3 진동섭, "학교컨설팅의 회고와 전망. 한국 교육행정의 새로운 담론 탐색 : 교육복지와 학교컨설팅을 중심으로" 2012
4 홍창남, "학교컨설팅과 컨설팅장학의 관계"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27-250, 2012
5 박수정,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307-331, 2011
6 진동섭, "학교컨설팅" 학지사 2003
7 진동섭,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교육과학사 2008
8 진동섭,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25-50, 2007
9 정수현, "컨설팅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201-227, 2013
1 진동섭 외, "한국 학교조직 탐구" 학지사 2005
2 주도연, "학교현장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93-513, 2011
3 진동섭, "학교컨설팅의 회고와 전망. 한국 교육행정의 새로운 담론 탐색 : 교육복지와 학교컨설팅을 중심으로" 2012
4 홍창남, "학교컨설팅과 컨설팅장학의 관계"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27-250, 2012
5 박수정, "학교컨설팅과 교육청의 만남: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307-331, 2011
6 진동섭, "학교컨설팅" 학지사 2003
7 진동섭,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교육과학사 2008
8 진동섭,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25-50, 2007
9 정수현, "컨설팅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201-227, 2013
10 홍혜인, "컨설팅장학 효과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1 이정민, "컨설팅장학 컨설턴트 역량의 우선순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 김도기, "컨설팅 장학에 관한 질적 실행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3 김정현, "컨설팅 장학 담당 장학사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동의-실행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89-210, 2011
14 조영숙, "초등학교 수업컨설팅 모형 탐색과 실행 과정의 효과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5 김송자,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34 (34): 227-247, 2013
16 권민정, "체육교사의 수업컨설팅 실행 경험을 통한 교사 전문성 요소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7 남성경, "중등학교 컨설팅 장학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박향아, "인문계 고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이상수, "수행공학을 적용한 수업컨설팅 모형"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7-120, 2010
20 정용우, "수업컨설팅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21 양정모,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내용교수지식 변화와 교수전문성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재덕, "수업컨설팅을 위한 코칭 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안"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307-332, 2008
23 천호성, "수업 컨설팅을 통한 교실 수업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09-134, 2008
24 이화진,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25 교육과학기술부, "선진형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 개편방안: “지역교육청”에서 “교육지원청”으로" 2010
26 교육과학기술부, "선진형 교육지원청 안착을 위한 컨설팅장학 활성화 계획(안)" 2013
27 천호성, "사회과 수업의 협력적 실행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6 (46): 5-30, 2007
28 Robert K. Yin,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29 장경원, "배움 중심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8 (8): 45-70, 2013
30 서석호, "교육지원청 컨설팅장학 실제 사례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1 황미영, "교육지원청 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2 박수정, "교육지원청 기능의 우선순위에 대한 AHP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81-300, 2010
33 박수정, "교육지원청 개편에 대한 정책집행자의 대응과 인식" 한국교육정치학회 21 (21): 1-25, 2014
34 송경오, "교사의 학습기회증진에 효과적인 정책수단(Policy instrument)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121-144, 2007
35 김순희,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01-121, 2009
36 이재덕, "‘학교컨설팅’에 기반한 수업컨설팅의 특성 분석 : 세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97-324, 2013
37 Hardy, I., "Critiqu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learning within the field of teachers' work" 51 (51): 71-84, 2010
38 Aubusson, P., "Action learning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mation: informative or transformative?" 11 (11): 133-148, 2007
과거 역사 학습동기의 유형에 따른 현재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 대한 견해 차이 연구: 제 6·7차 교육과정 세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2-03-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5 | 1.65 | 1.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1 | 1.85 | 2.063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