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의 시장화와 통치성 변화 : 국가개입전략을 중심으로 = Marketization and Change of Governmentality of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of ‘state intervention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2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state responds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t is one of the core questions of the argument on North Korea’s marketization. This study can be basically a type of a response on those questions.
      However, this study is to precede the argument by newly organizing the premise of the traditional questions on “state intervention”. Most of all, by expanding the phenomenon and the concept of marketization from the existing economic definition, this marketization will be defined in the aspect of reorganization (modification) of a whole society such as discourse,
      identity, space and ethics. In addition, the state is not an abstract concept extrinsic and opposing to marketization, the state exists in the relationship considered as the strategy and logic of modification as mentioned earlier, and the consequent effects of actions. Therefore, by asking “where do the strategies on marketization and the state intervention head for?” rather than asking “Is the responses of the state being strengthened or weakened?” and some answers regarding the questions are organized in this study. To comment on strengthening and regression of a nation, where the based strategies are heading for should be figured out. Those overall features of the strategy have been explain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cept called ‘governmentality.’
      That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produced new aspects in various levels such as discourse strategies and identity, change of spaces and the state intervention strategies have been performed in various areas and aspects. In addition, those main methods of such intervention were the logic and device of making the compartment organizing normalization responding to
      such changes. In this study, the strategies of the compartment have been reviewed in the aspect of ①[Governance discourse that constitute the external border of the system], ②[Making urban compartment establishing internal order], ③[The conditions of the identity of distinctive resident].
      Most of all, in governance discourse, the strategy and the logic dividing the huge ideological system and the specific changes in reality have been found. The extreme experience called ‘Arduous March’ and the national discourse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reality organized the epic discourse on difficulty of obtaining food and it led to the logic of national
      restoration. Contemporary assignment is defined as “national restoration” called “a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Socialism is transformed as a nation itself in the meaning of historically special economic factor organizing a society. The changes called marketization is permitted as the discourse of this restoration. However, in front of the all directional changes of life expressed by marketization, a nation can plant direct and literal fear and
      disgusting image by describing the capitalism as a disease and the reform of North Korea’s marketization will be recognized as not related with the capitalism so that it can maintain the range of changes properly. By defining the capitalism as the literal hatred and ambiguous fear such as a disease, the specific changes in reality are recognized as something not related with the changes of the system being performed in a huge binominal scheme. As the changes in reality have been performed regularly, the ideology will be organized as something stronger and literal. The huge binominal scheme and the discourse of specific changes in reality have been seen in the situation considering behavior,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residents as something problematic regarding antisocialism. In other words, it is the strategy to divide the economic behavior in a narrow aspect and the identity of rules.
      The strategies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the space and division of the market place and the market system have been analyzed. The urban space of the socialist regulation system has been seen as setting up new order of the space depending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market space and the increase of liquidity. The model of the space for the regulation spread into
      the life of the residents was seen as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the market space, standardization and improvement, exclusion or inclusion of the qualification for entering the markets through modernization or making the markets on the skirt of a city. Those were the strategies to make some floating matters visible by controlling the market space regular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arket space, in the ambiguous aspect of ‘the market system’ and ‘the market place’ showing the feature of the place were controlled in the divided form, and the reform of markets and controlling residents could be performed possibly at the same time. Those features of government could be found. Market itself could be divided in space and the control was focused on the conduct preventing the emerging of hybrid world in the form of de-discipline expressed in the feature of the space called markets.
      Therefore, the need of recognition on the different concept of the market place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analysis of ‘market’, market system and market, the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in the markets and the type of behavior and various rules have been confirmed.
      Finally, in the aspect of the residents left to the uncertain world, the minimized identity can be found.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left to privatization. If the private possession dominated by uncertainty expresses the aspect of the policies, privatization expresses subjective and existential aspect, dominated by uncertainty are making self organization which
      organizes a series of free time given to each individual over the time of faded regulation.
      However, from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struggling to organize the time in the infinite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 forming new social dependence system showing minimized identity was found. In other words, those were to form the absence of the social trust the minimized identity full of ethos longing for ‘stability’. The series of aspect were the main
      factors of reason and rationality and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individualization, and it could form the feature of avoidance and subordinating rather than the resistance and rebellion on the external force.
      Therefore, the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could be opened to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bringing the conservatization of the society rather than forming the identity threatening the system.
      In conclusion, the govern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marketization are mutually organizing and setting up the limitation and existing as the relationship in tension.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has been made as one overall thing. It means estimating or eliminating the changes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of one change. Th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changes in the society of North Korea requires the trace and analysis to see if any logic on a certain transformation and junction and strategies are established for those specific types of governmentality before making a suggestion of teleological conclusion of
      alternative such as disconnection in catastrophe or returning to a complete state.
      번역하기

      How state responds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t is one of the core questions of the argument on North Korea’s marketization. This study can be basically a type of a response on those questions. However, this study is to precede the argume...

      How state responds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t is one of the core questions of the argument on North Korea’s marketization. This study can be basically a type of a response on those questions.
      However, this study is to precede the argument by newly organizing the premise of the traditional questions on “state intervention”. Most of all, by expanding the phenomenon and the concept of marketization from the existing economic definition, this marketization will be defined in the aspect of reorganization (modification) of a whole society such as discourse,
      identity, space and ethics. In addition, the state is not an abstract concept extrinsic and opposing to marketization, the state exists in the relationship considered as the strategy and logic of modification as mentioned earlier, and the consequent effects of actions. Therefore, by asking “where do the strategies on marketization and the state intervention head for?” rather than asking “Is the responses of the state being strengthened or weakened?” and some answers regarding the questions are organized in this study. To comment on strengthening and regression of a nation, where the based strategies are heading for should be figured out. Those overall features of the strategy have been explain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cept called ‘governmentality.’
      That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produced new aspects in various levels such as discourse strategies and identity, change of spaces and the state intervention strategies have been performed in various areas and aspects. In addition, those main methods of such intervention were the logic and device of making the compartment organizing normalization responding to
      such changes. In this study, the strategies of the compartment have been reviewed in the aspect of ①[Governance discourse that constitute the external border of the system], ②[Making urban compartment establishing internal order], ③[The conditions of the identity of distinctive resident].
      Most of all, in governance discourse, the strategy and the logic dividing the huge ideological system and the specific changes in reality have been found. The extreme experience called ‘Arduous March’ and the national discourse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reality organized the epic discourse on difficulty of obtaining food and it led to the logic of national
      restoration. Contemporary assignment is defined as “national restoration” called “a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Socialism is transformed as a nation itself in the meaning of historically special economic factor organizing a society. The changes called marketization is permitted as the discourse of this restoration. However, in front of the all directional changes of life expressed by marketization, a nation can plant direct and literal fear and
      disgusting image by describing the capitalism as a disease and the reform of North Korea’s marketization will be recognized as not related with the capitalism so that it can maintain the range of changes properly. By defining the capitalism as the literal hatred and ambiguous fear such as a disease, the specific changes in reality are recognized as something not related with the changes of the system being performed in a huge binominal scheme. As the changes in reality have been performed regularly, the ideology will be organized as something stronger and literal. The huge binominal scheme and the discourse of specific changes in reality have been seen in the situation considering behavior,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residents as something problematic regarding antisocialism. In other words, it is the strategy to divide the economic behavior in a narrow aspect and the identity of rules.
      The strategies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the space and division of the market place and the market system have been analyzed. The urban space of the socialist regulation system has been seen as setting up new order of the space depending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market space and the increase of liquidity. The model of the space for the regulation spread into
      the life of the residents was seen as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the market space, standardization and improvement, exclusion or inclusion of the qualification for entering the markets through modernization or making the markets on the skirt of a city. Those were the strategies to make some floating matters visible by controlling the market space regular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arket space, in the ambiguous aspect of ‘the market system’ and ‘the market place’ showing the feature of the place were controlled in the divided form, and the reform of markets and controlling residents could be performed possibly at the same time. Those features of government could be found. Market itself could be divided in space and the control was focused on the conduct preventing the emerging of hybrid world in the form of de-discipline expressed in the feature of the space called markets.
      Therefore, the need of recognition on the different concept of the market place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analysis of ‘market’, market system and market, the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in the markets and the type of behavior and various rules have been confirmed.
      Finally, in the aspect of the residents left to the uncertain world, the minimized identity can be found.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left to privatization. If the private possession dominated by uncertainty expresses the aspect of the policies, privatization expresses subjective and existential aspect, dominated by uncertainty are making self organization which
      organizes a series of free time given to each individual over the time of faded regulation.
      However, from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struggling to organize the time in the infinite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 forming new social dependence system showing minimized identity was found. In other words, those were to form the absence of the social trust the minimized identity full of ethos longing for ‘stability’. The series of aspect were the main
      factors of reason and rationality and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individualization, and it could form the feature of avoidance and subordinating rather than the resistance and rebellion on the external force.
      Therefore, the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could be opened to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bringing the conservatization of the society rather than forming the identity threatening the system.
      In conclusion, the govern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marketization are mutually organizing and setting up the limitation and existing as the relationship in tension.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has been made as one overall thing. It means estimating or eliminating the changes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of one change. Th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changes in the society of North Korea requires the trace and analysis to see if any logic on a certain transformation and junction and strategies are established for those specific types of governmentality before making a suggestion of teleological conclusion of
      alternative such as disconnection in catastrophe or returning to a complete st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의 관점과 방법4
      • 1. 시장에 관한 ‘실체론’적 접근 4
      • 2. 공간의 문화정치 8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의 관점과 방법4
      • 1. 시장에 관한 ‘실체론’적 접근 4
      • 2. 공간의 문화정치 8
      • 3. 감정사회학의 시각 10
      • 4. 담론 분석과 구술 자료의 해석 12
      • 제3절 논문의 구성 14
      •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연구문제 15
      • 제1절 사회주의 북한의 국가와 시장 15
      • 1. 선행연구: 북한 ‘시장화’ 논의의 지형15
      • 2. 북한의 중상주의적 통치와 ‘정치적인 것’ 28
      • 3. 소결42
      • 제2절 북한의 사회주의 근대성과 도시 44
      • 1. 시장화, 사회적인 것, 도시 공간 44
      • 2. 시장화의 공간적 맥락 45
      • 제3절 통치성의 정의와 분석틀 48
      • 1. 기존 연구에서 국가의 의미 48
      • 2. ‘환경개입권력’으로서의 국가 50
      • 3. 분석틀 57
      • 제3장 정권의 반자본주의 ‘면역화’ 담론 63
      • 제1절 ‘고난의 행군’이라는 출발점 63
      • 1. ‘요새’의 심성구조와 ‘희생-극복’의 민족서사 63
      • 2. ‘사건’과 ‘기억’으로서의 고난의 행군 70
      • 제2절 질병으로서의 자본주의: 비사회주의론의 담론전략 74
      • 1. 북한의 ‘가산제적 중상주의’와 통치 76
      • 2. 중상주의적 통치와 내치 질서 83
      • 3. 반자본주의 통치담론과 질병의 은유(metaphor) 86
      • 4. 변화와 변질 사이에서 102
      • 제3절 면역화의 정치와 공동체: 보호와 부정 106
      • 1. 면역학적 위기와 선군정치 106
      • 2. 공동체와 면역 109
      • 제4장 도시성의 변화와 ‘내치(內治)’ 공간 115
      • 제1절 사회주의의 공간이념과 도시정치 115
      • 1. 공간의 배치와 도시정치 115
      • 2. 함흥과 평성의 공간구조 형성 117
      • 제2절 시장의 발달과 내치 공간의 분화 121
      • 1. 내치의 목표로서의 도시 121
      • 2. 함흥과 평성의 도시성의 변화 124
      • 3. 시장의 발달과 시장 공간의 ‘격자화’ 135
      • 제3절 도시경험과 심상지리 152
      • 1. ‘이념’으로서의 도시 153
      • 2. 파놉티콘에서 스펙타클로 155
      • 3. ‘향유’되는 ‘문명’ 도시 157
      • 제5장 불확실성의 세계와 ‘사사화’된 주체 169
      • 제1절 ‘의식변화’에서 ‘주체화’로 170
      • 1. 의식변화론과 주체화론 170
      • 2. 인민과 인민정체성 173
      • 3. 노동하는 인민과 인민정체성 176
      • 제2절 ‘민족노동’의 쇠퇴 183
      • 1. 북한의 지배이념과 노동: 조합주의적 노동관과 신화화 183
      • 2. 노동의 다차원적 의미세계 186
      • 제3절 불확실성에 내던져진 주체성 191
      • 1. 시장과 자력구제의 삶 193
      • 2. 불확실성의 세계, 축소되는 주체 197
      • 제6장 결론 210
      • 참고문헌 216
      • Abstract 2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오키 지음, 임지현, 사카이, 『오만과 편견』(서울: 휴머니스트, , 2003

      2. 『등나무집』, 성혜랑, (서울: 지식나라, , 2000

      3. 사회와 건축공간, 최윤경, (서울: 시공문화사, , 2003

      4. 지음, 김태환 옮김, 한병철, 『피로사회』(서울: 문학과 지성사, , 2012

      5. 지음, 박진우 옮김,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주권권력과 벌거벗은 생명』(새물결, , 2008

      6. 인민이란 무엇인가, 알랭 바디우, 현실문화, 서울: 현실문 화, , 2014

      7. “공간의 금융화,”, 강내희, 『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 (서울: 문화과학사, , 2015

      8. “국가와 통치성,”, 임동근, 문화과학사, 『문화/과학』년 여름호 (통권 54호), 2008. 6, , 2008

      9. 『조선청년의 장점』, 김미애, 최정현, 금성청년출판사,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 1991

      10. 『대중정치용어사전』, 김상현, 조선 로동당,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 1957

      1. 나오키 지음, 임지현, 사카이, 『오만과 편견』(서울: 휴머니스트, , 2003

      2. 『등나무집』, 성혜랑, (서울: 지식나라, , 2000

      3. 사회와 건축공간, 최윤경, (서울: 시공문화사, , 2003

      4. 지음, 김태환 옮김, 한병철, 『피로사회』(서울: 문학과 지성사, , 2012

      5. 지음, 박진우 옮김,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주권권력과 벌거벗은 생명』(새물결, , 2008

      6. 인민이란 무엇인가, 알랭 바디우, 현실문화, 서울: 현실문 화, , 2014

      7. “공간의 금융화,”, 강내희, 『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 (서울: 문화과학사, , 2015

      8. “국가와 통치성,”, 임동근, 문화과학사, 『문화/과학』년 여름호 (통권 54호), 2008. 6, , 2008

      9. 『조선청년의 장점』, 김미애, 최정현, 금성청년출판사,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 1991

      10. 『대중정치용어사전』, 김상현, 조선 로동당,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 1957

      11. 『반노동의 유토피아』, 차문석, 서울: 박종철출판사, , 2002

      12. 『사회주의 도시계획』, 김원, 보성각, (서울: 보성각, , 1998

      13. 푸코 지음, 이규현 옮김, 미셸,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서울: 나남, , 2004

      14. 푸코 지음, 이상길 옮김, 미셸, 『헤테로토피아』(서울: 문학과지성사, , 2014

      15. 김정일 정권의 생존전략, 정성장,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 , 2003

      16. “일터에 넘치는 웃음,”, 김성학, 『문학신문』, 년 9월 6일, , 2014

      17. 바우만 지음, 함규진 옮김, 지그문트, 『유동하는 공포』(서울: 산책자, , 2009

      18. 푸코 지음, 오트르망 옮김, 미셸,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9』(서울: 난장, 2012), , 1978

      19.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김홍중, 『한국사회학』, 제43집 5호, , 2010

      20. “감정구조와 대중정치학,”, 홍성민, 『정치사상연구』, 21(1),

      21. 로동에 대한 공산주의적 태도, 로병훈, 『근로자』, 1959년 제1호, , 1959

      22. “케빈 린치의 도시 이미지,”, 이석환, 『현대공간이론의 사상가들』(파주: 한울, , 2005

      23. 클라스트르 지음, 홍성흡 옮김, 피에르, 『국가에 대항하는 사회』(서울: 이학사, , 2005

      24. ‘거시적 감정사회학을 위하여, 정수남, 박형신, ’ 『사회와 이론』, 15권,

      25.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김연철, 서울: 역사비평사, , 2000

      26. “또다시 긴장감 흐르는 시장,”, 류경원, 『림진강』년 4호, , 2009

      27. 북한도시 함흥·평성 자료해제집, 고유환, 박희진, 선인, (서울: 선인, , 2013

      28.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이기훈, (파주: 돌베개, , 2014

      29. 바흐친 지음, 이덕형, 최건영 옮김, 미하일,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 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서울: 아카넷, , 2001

      30.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송호근, 삼성경제연구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2003

      31. “개인, 호혜성, 그리고 근대 시장”, 이재혁,

      32. “김정일, 변화-유지 두 얼굴 보여”, 조동호, 『nk조선』, 년 2월 3일, , 2005

      33. “북한에서의 시장의 형성과 발전”, 양문수, 한국비교경제학회, 『비교경제연구』, 제12권 제2 호, , 2005

      34. 『고난의 행군을 락원의 행군으로』, 윤형철, 평양출판사, (평양: 평양출판사, , 2002

      35. “북한 시장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박형중,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46집 제5호, , 2012

      36. 사회학적 시장 개념에서 본 전세시장, 한도 치즈꼬,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연구』, 제4 호, , 1998

      37. 2004년 브루스 커밍스의 북한독해 일고, 장원석,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04 년 상반기(통권41호), , 2004

      38. “공포, 개인화 그리고 축소된 주체”, 정수남,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0

      39. “천리마 운동 초기 북한 가족 변화,”, 임지훈, 북한대학원대학교, , 2014

      40. “북한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 전망,”, 임형백, 경기연구원, 『GRI연구논총』, 제11권 제 3호, , 2009

      41. 지음, 양창렬 옮김, 『장치란 무엇인가?, 아감벤, 조르조, : 장치학을 위한 서 론』(서울: 난장, , 2010

      42. 20세기 한국에서 ‘청년’은 무엇이었나, 장신, 『역사문제연구』33, 역 사문제연구소, , 2015

      43. “북한 노동 일상의 세계와 접근방법,”, 차문석, 북한대학원대학교, , 2008

      44. “북한의 노동시장 형성에 관한 연구,”, 공용철,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10

      45. “인간과 ‘장치’: 푸코의 문제설정,”, 임동근, 『문화과학』제71호, (가 을), , 2011

      46. 푸코 지음, 오트르망 옮김, 『안전, 영토, 미셸,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8』(서울: 난장, 2011), , 1977

      47. “‘디자인서울’과 공간의 문화정치,”, 윤자형, 강내희, 『마르크스주의 연 구』, 7권, 4호,

      48. 현대적 화학공업기지를 창설하기 위하여, 김일성, (1960년 9월 1일), , 1960

      49.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이신철, 『역사문제연구』, 제23호,

      50. “북한의 선군정치와 군사국가화 연구,”, 김용현, 고유환, 『서울평양학회 보』창간호(서울: 서울평양학회, , 2002

      51. 『미셸 푸코의『안전 영토, 인구』읽기』, 강미라, 세창미디어, (서울: 세창미디어, , 2013

      52. 우리나라 사회주의 농촌문제에 관한 테제, 김일성, 조선 로동당, (1964년 2월 2일), , 1964

      53. “북한의 신해방지구 개성에 관한 연구,”, 박소영, 동국대 북한학과 박사학 위논문, , 2010

      54.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이경수,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39호, , 2011

      55. 북한 공설시장의 외형적 발달에 관한 연구, 정은이,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동북아경제연구』, 제23권 제1호, , 2011

      56. 북한의 체제와 공간의 정치경제 (1954—1970), 전동명, (동국대 북한학 과 석사학위논문), , 2004

      57. “‘량장쓰후’와 경관의 문화정치경제,”, 해영화, 강내희, 『중국현대문학』, 71권,

      58. “북한 도시 주민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장세훈, 『한국사회학』, 39(2),

      59. “푸코의 세 권력/지식 모델과 생명정치,”, 하호수,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자료집』, 한국행정학회, , 2010

      60. “북한 사회보장정책의 특징에 관한 연구”, 장용철, 북한학회, 『북한학보』, 37집 1 호, , 2012

      61.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홍민, 동국대 북한학과 박사학위 논문, , 2006

      62. 로동행정사업을 더욱 개선 강화할데 대하여, 김정일, 『김정일 선집』 제9권(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 1997

      63. 흥남비료공장 로동자들이 걸어온 승리의 길, 리국순,

      64. “남북경협 성과의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조동호, 한국개발연구원, 『북한경제』-01, , 2001

      65. “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북한의 생존전략.”, 고유환, 『세계정치경제』제3 호, , 1996

      66. 『북한의 IT전략: IT전략, 전자정부, 인터넷』, 고경민,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 2004

      67. “‘관성적 권력’으로서의 ‘선군정치’,”, 정병화, 『대한정치학회보』, 제20집 제 2호, , 2012

      68. “선군시대 북한 농촌 여성의 형상화 연구,”, 오창은,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제 13권 제2호, , 2010

      69. “고난의 행군 기 이후의 북한 내 인구이동,”, 이상림,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 25권 2호, , 2013

      70. 북한의 ‘자생적 시장화’와 경제개혁의 전개, 이영훈(Lee Young-hoon), 平和問題硏究所,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44호, , 2005

      71. “노동사회 비판과 문화사회의 이론적 지도,”, 문강형준, 『문화/과학』, 46 호,

      72. “선군시대 북한문학에 형상된 주도적 감성,”, 임옥규, 남북문화예술학회, 『남북문화예술연 구』통권 제14호, , 2014

      73. “사회적 공간 담론에 기초한 공간실천 연구,”, 송영민,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22, No. 4,

      74. “고도 경쟁 사회 노동자의 감정과 행위 양식,”, 박형신, 정수남, 『사회와 이론』, 23권,

      75. “남북국가 수립 기 인민과 국민 개념의 분화,”, 김성보,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144호, , 2009

      76. 슈뢰르 지음, 배정희, 정인모 옮김, 『공간, 장소, 마르쿠스, 경계』(서울: 에코리브르, , 2010

      77. 지음, 유범상 옮김, “정치적 전략으로서의 국가, 제솝, ” 『전략관계적 국 가이론: 국가의 제자리 찾기』(서울: 한울, , 2000

      78. “북한에서 권력과 재부의 분배구조와 동태성,”, 박형중, , 2009

      79. “강력한 국가 틀 속에서 신중상주의정책 추구.”, 성원용, 『통일한국』, 제2 호(통권194호), , 2000

      80. “선군정치는 가장 혁명적인 사회주의정치방식”, 김재창, 『김일성종합대학 학보: 철학 경제학』제49권 제2호, , 2003

      81. “함흥시 도시공간의 지배구조와 탈 주체의 삶,”, 박희진, 『북한연구학회 보』, 제17권 2호,

      82. “시장과 전장: 일제시대 정기시장에 관한 소고,”, 조형근, 『문화/과학』32 호,

      83. “북한의 시장과 시장경제 : 수령을 대체한 화폐,”, 차문석,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201』, 제 10권 2호, , 2007

      84.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으로 본 북한사회 변화.”, 최대석, 박희진,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 제연구』, 23권 제2호, , 2011

      85. “중국에서의 경제개혁과 국가-노동관계의 변화.”, 박천서, 함명식, 『연세학 술논집』, , 1999

      86. 『체제전환국의 도시 발전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이상준, 국토연구원, , 2001

      87. “이행학적 관점에서 본 최근 북한경제 변화 연구”, 정세진,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 총』, 제43집 1호, , 2003

      88. “정상회담에 나타난 북한과 김정일 이미지 분석,”, 이우승, 한국언론학회, 『저널리즘비 평』, 31호, , 2000

      89.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 관련 시사점』, 박형중, 통일연구원, (통일연구 원, , 2012

      90. 사회주의 화학공업도시 흥남의 기원과 형성: 1927-1961, 위영금, 북한대 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91. “북한연구에서 ‘공간’ 이해와 도시사의 가능성,”, 홍민, 『북한학연구』, 제8 권 제2호, , 2013

      92.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험,”, 김백영,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 사』통권 제75집, , 2007

      93. 우리의 인민군대는 로동계급의 군대, 혁명의 군대이다, 김일성, (1963. 2. 8), , 1963

      94. “공포의 사사화와 축소된 주체: 개인화의 패러독스,”, 정수남, 한국학중앙연 구원, , 2010

      95. “북한의 국가와 시장 관계: 위상학적 이해의 가능성”, 홍민,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 보, 제16권 제2호, , 2012

      96. 계획과 시장의 공존: 북한의 경제개혁과 체제변화 전망, 임수호, 삼성경제연구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2008

      97. “북한의 개방 인식 변화와 신(新)자력갱생론의 등장,”, 이정철, 『현대북한연 구』, 9권 제1호, , 2006

      98. ‘노구치콘체른과의 관계를 통해 본 이북명의 소설세계’, 김종욱, 『국어국 문학』155호,

      99. “‘고난의 행군’과 북한사회에서 나타난 의식의 단층,”, 김갑식, 오유석, 『북 한연구학회보』, 제8권 2호,

      100. “질병으로서의 자본주의: 북한의 반자본주의 통치담론,”, 한재헌, 『동북아 연구』, 30권 1호,

      101. 『전쟁과 인민: 북한사회주의체제의 성립과 인민의 탄생』, 한성훈, 돌베개, (서울: 돌베개, , 2012

      102. “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시장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변동”, 조형근, 서울대 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5

      103. “장사군들 남조선 상품을 리용하여 적에 대한 환상 류포,”, 류경원, 『림진 강』년 4호, , 2009

      104. 「하이에크의 행동규칙과 자생적 시장질서론에 관한 연구」, 김수정, 단국대학교, 단국 대학교 국제통상금융학과 석사학위논문, , 2009

      105.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구조적 위기와 김정일 정권의 진로”, 고유환, 『한 국정치학회보』, 30집, 2호, , 1998

      106. 선군의 통치방식을 짚어보다: 2000년 혜산 비사검열과 그 잘못, 림근오, 『임진강』, 통권7호(2010년 3월), , 2000

      107. “북한의 국가사회주의, 그리고 일상의 불확정성과 가능성,”, 김지형, 『통일 인문학』, 49호,

      108. “종족, 신가산제 그리고 내전: 엘리트-대중 이해관계 분리.”, 김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대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2015

      109. 「후기 푸코의 국가론 연구: 통치성(Governmentality)을 중심으 로」, 조원광,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 2009

      110.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는 인민에 대한 사랑의 최고화신』, 김수란,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2001

      111. “김정은 체제 북한 시에 드러난 ‘사회주의문명국’의 함의,”, 강민정, 『인문 학논총』, 7호,

      112. “‘예외국가’의 제도화: 군사국가화 경향과 군의 역할 확대.”, 류길재, 최완규 (편),『북한의 국가성격 변용에 관한 연구』(서울: 한울아카테미, , 2001

      113. “식민지 도시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공간사회학적 문제설정,”, 김백영, 『사회와 역사』, 통권 제72집,

      114. “‘단숨에’, ‘마식령속도’로 건설한 ‘사회주의 문명국’,”, 김성수, 『상허학보』, 41호,

      115. “정치적 상징과 담론의 정치: ‘신한국’에서 ‘세계화’까지,”, 강명구, 『한국사 회학』, 제31집 봄호, , 1997

      116.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의 평성시와 함흥시의 도시공간구조,”, 안재섭,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권 4호, , 2013

      117. “북한의 노동 영웅에 대한 연구: 영웅 탄생의 정치경제적 메커니 즘,”, 차문석,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2004

      118. 당은 인민을 위하고 인민은 당을 믿고 따르는 우리 사회의 혁명 적 풍모, 리원경, 『근로자』1986년 제11호, , 1986

      119. “북한의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성과 점화 효과: 재미교포를 대상으 로,”, 오인혜,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4호, , 2015

      120. 북한의 자생적 시장발전 연구-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를 중심으로-, 정은이,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1권 2호, , 2009

      121. 스콧 지음, 전상인 옮김, 『국가처럼 보기: 왜 국가는 계획에 실패 하는가?, 제임스, 』(서울: 에코리브르, , 2010

      122. “북한 평성시의 공간전략과 도시성 변화: 위성도시에서 개방도시 에로,”, 박희진, 북한연구학회 동계학술회의, , 2014

      123. “‘스타하노프운동가’ 만들기: 국가권력과 민중의 상호작용을 중심 으로,”, 박원용, , 2005

      124. “인민대중을 끝없이 매혹시키는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위인 적 풍모”, 문일영, 『김일성종합대학학보』제49권 제4호, , 2003

      125. “변화의 관점에서 본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개별성: 기존 연구 비 판을 중심으로”, 박선원,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동아연구』, 제13권 제2호, , 2001

      126. 당면한 경제 사업에서 혁명적 대고조를 일으키며 로동행정사업을 개선 강화할데 대하여, 김일성,

      127. 스타브라카키스 지음, 이병주 옮김, “정치적인 것을 둘러싸기: 라캉적 인 정치이론을 향해서”, 야니, 『라캉과 정치』(서울: 은행나무, , 2006

      128. “과거와 미래의 혼합물로서의 북한경제: 잉여 점유 및 경제조정기 제의 다양화와 7개 구획구조”, 박형중,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3권 제1호, , 2009

      129. “선군시대 북한 여성의 섹슈얼리티 연구: 군사주의 국가권력의 성 (性) 정체성 구성을 중심으로,”, 박영자, 『통일정책연구』, 15권 2호, , 2006

      130. “자기 방어와 사회 안전을 넘어서: 에스포지토, 데리다, 해러웨이 를 중심으로 본 면역의 사회 정치 철학,”, 황임경, 『의철학연구』, 16권, , 2013

      131. 현시기 관개수리 시설과 설비를 계획적으로 정비보강하고 완비하 는 것은 사회주의 농촌건설의 합법칙적 요구, 리광덕, 『경제연구』년 제3호, , 1998

      132. “북한 도시 ‘농민시장’ 형성 과정의 이행론적 함의: 1950~ 1980년대 신의주, 청진, 혜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갑우, 최봉대, 『현대북한연 구』, 6권 2호, , 2003

      133.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인덕정치는 우리나라 국가사회보험 및 사회보장 제도의 우월성을 규정하는 근본요인, 리정삼, 『경제연구』 1997년 제1호, , 1997

      134. “사회주의 북한 공간구조의 자본주의 공간구조로의 변화 전망: 북 한내부요인과 동북아공간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임형백,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 구』제10권 제1호, ,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