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 통합 단원 개발과 KDB 모형: KDB 모형 활용의 특이점, 유용성 및 과제 = Curriculum Integrated Unit Development and KDB Model : Characteristics, usefulness and challenges of KDB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8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중 통합 단원 개발에 대해 국내외 학자들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통합 단원 개발은 KDB 모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KDB 모형을 적용하는 절차나 방향이 서로 상이하고 선행 연구들의 특이점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통합 단원 개발에서 KDB 모형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이점과 유용성은 어떠한지 분석해 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KDB 모형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으로 유용하다. 교육과정의 상호 중복 요소를 해소, 간학문적 통합을 통한 총제적인 평가, 학업 성취도 측면에도 유용성을 갖는다. 또한 범교과 학습과 교과 학습의 통합, 특수교육 교육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 연구가 KDB 모형에 근거하여 통합 단원을 설계하고 적용하려는 교사 및 예비교사를 위한 안내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중 통합 단원 개발에 대해 국내외 학자들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통합 단원 개발은 KD...

      이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중 통합 단원 개발에 대해 국내외 학자들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통합 단원 개발은 KDB 모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KDB 모형을 적용하는 절차나 방향이 서로 상이하고 선행 연구들의 특이점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통합 단원 개발에서 KDB 모형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이점과 유용성은 어떠한지 분석해 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KDB 모형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으로 유용하다. 교육과정의 상호 중복 요소를 해소, 간학문적 통합을 통한 총제적인 평가, 학업 성취도 측면에도 유용성을 갖는다. 또한 범교과 학습과 교과 학습의 통합, 특수교육 교육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 연구가 KDB 모형에 근거하여 통합 단원을 설계하고 적용하려는 교사 및 예비교사를 위한 안내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 among the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Alth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unit is often based on the KDB model,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apply the KDB model to different processes and directions and to collectively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KDB model is used i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s, how specificity and usefulness work, and some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DB model drives core competencies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lso useful as a curriculum reorganization model that helps learners grow as a whole. It also removes the overlapping elements of the curriculum. It enables comprehensive evalu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is useful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It can also integrate curriculum learning and curriculum learning, and can be useful for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guide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to design and apply integrated units based on the KDB model.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 among the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Alth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unit is often based on the KDB model, there is a lack...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 among the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Alth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unit is often based on the KDB model,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apply the KDB model to different processes and directions and to collectively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KDB model is used i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s, how specificity and usefulness work, and some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DB model drives core competencies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lso useful as a curriculum reorganization model that helps learners grow as a whole. It also removes the overlapping elements of the curriculum. It enables comprehensive evalu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is useful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It can also integrate curriculum learning and curriculum learning, and can be useful for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guide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to design and apply integrated units based on the KDB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통합 단원 설계 모형으로서 활용된 KDB 모형의 특이점 Ⅳ. 통합 단원 설계 모형으로서 활용된 KDB 모형의 유용성 Ⅴ. 결론 및 과제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통합 단원 설계 모형으로서 활용된 KDB 모형의 특이점 Ⅳ. 통합 단원 설계 모형으로서 활용된 KDB 모형의 유용성 Ⅴ. 결론 및 과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2 강현석,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3 박영무, "통합 교육과정" 원미사 2006

      4 박영미, "탈교과적 통합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부칙개정)"

      6 김덕혜, "초등학생의 배려 증진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단원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7 박윤경,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05-128, 2016

      8 강성문,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9 정광순, "초등교사의 통합단원(Unit) 설계 사례"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5 (5): 19-47, 2011

      10 천지영, "주제중심 통합수업의 적용 :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1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2 강현석,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3 박영무, "통합 교육과정" 원미사 2006

      4 박영미, "탈교과적 통합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부칙개정)"

      6 김덕혜, "초등학생의 배려 증진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단원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7 박윤경,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05-128, 2016

      8 강성문,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9 정광순, "초등교사의 통합단원(Unit) 설계 사례"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5 (5): 19-47, 2011

      10 천지영, "주제중심 통합수업의 적용 :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11 공지숙, "정보전달 텍스트 중심의 통합 단원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12 이경진,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Drake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영재학회 24 (24): 217-241, 2014

      13 이효성,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KDB모형을 적용하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4 김부성, "스크래치를 이용한 주제중심 통합수업 방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5 박영석,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77-115, 2012

      16 길현주, "사회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이해 -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5-58, 2015

      17 이기희, "북한 이해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3-6학년용 통합 단원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18 노승환, "문학, 음악, 연극 중심의 중학교 문화예술교육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19 장용길, "내용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이윤복, "내러티브에 기초한 주제중심 통합단원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21 김현규, "국가교육과정 문서 안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용어의 의미 연역"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55-82, 2015

      22 박일수, "교육과정 재구성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41-164, 2013

      23 서경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설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4 한신영,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성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5 서경혜, "교육과정 재구성 논쟁"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209-235, 2016

      26 성열관, "교육과정 일치도 및 컨텐츠 맵의 유용성과 비판적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63-82, 2009

      27 이효인,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 경기도 창의지성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8 박은영,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9 전현정, "교사에 의한 내러티브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전략"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0 서경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59-189, 2009

      31 허영주,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37-163, 2011

      32 허경철, "교과교육학신론" 문음사 2001

      33 채창목,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34 Drake, S. M.,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SCD 2004

      35 박한숙, "Know-Do-Be 모형을 중심으로 한 간학문적 통합단원 개발 사례 -4학년 ‘함께하는 삶: 조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485-503, 2011

      36 장남지, "KDB모형을 적용한 기본 교육과정 통합단원 개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7 유효성, "KDB모형을 기반으로 한 주제중심 초등영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세계시민의식과 표현능력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3 (23): 123-146, 2017

      38 장인한, "KDB 중심 간학문적 통합 단원의 구성"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95-118, 2009

      39 박일수, "KDB 모형에 기초한 간학문적 통합 단원 설계:2009 개정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29-51, 2015

      40 장인한, "KDB 모형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 단원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41 김미라, "Drake의 간학문적 접근에 따른 환경 통합 단원의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의 변화 탐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42 최재은, "Drake의 KDB요소를 적용한 통합교육과정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43 김소연, "Drake의 KDB 모형을 적용한 주제 단원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44 Drake, S. M.,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Aligning curriculum, content, assessment, and instruction" Corwin Press 2007

      45 Drake, S. M.,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Corwin 2012

      46 김대영,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교육과정재구성 담론의 재구성" 한국융합학회 9 (9): 9-16, 2018

      47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48 강이화,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1-19, 2016

      49 이승현,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50 김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내재된 ‘통합’의 의미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0) : 55-8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