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스토랑 혼잡성, 점포 내 감정 및 행동의도 간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Crowding, Emo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Family Restaurant Seg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25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customers' perceived restaurant crowding, emotions and behavior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applied bias sampling to family restaurant, and employed 258 sheets of questionnaire from effective sample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SPSS Win 19.0 and AMOS 4.0.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influence two dimensions of emotion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Especially human crowding positively influences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ly influences negative emotion. Spatial crowding positively doesn't influence positive emotion but positively influences negative emotion; Second, restaurant crowding on intention to behavior channeled through consumer emotion. It was revealed that both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have an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of positive emotion its resulting favorable impact towards behavior intention. That signifies that positive service experiences will translate with positive customer responses such as re-visitation, and referrals. Finally, we discuss the results of analysis and suggest research limitation and future study.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customers' perceived restaurant crowding, emotions and behavior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applied bias sampling to family restaurant, and employed 258 sheets of questionnaire from effective sampl...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customers' perceived restaurant crowding, emotions and behavior intention.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applied bias sampling to family restaurant, and employed 258 sheets of questionnaire from effective sample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SPSS Win 19.0 and AMOS 4.0.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influence two dimensions of emotion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Especially human crowding positively influences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ly influences negative emotion. Spatial crowding positively doesn't influence positive emotion but positively influences negative emotion; Second, restaurant crowding on intention to behavior channeled through consumer emotion. It was revealed that both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have an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of positive emotion its resulting favorable impact towards behavior intention. That signifies that positive service experiences will translate with positive customer responses such as re-visitation, and referrals. Finally, we discuss the results of analysis and suggest research limitation and futur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패밀리 레스토랑 내에서 지각되는 혼잡성이 감정 그리고 재방문의사 변수와 같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1년 4월 1일부터 4월 7일까지 1주일 정도 실시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지난 1년간 패밀리 레스토랑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최종분석에 총 258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8.0과 AMOS 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혼잡성은 고객의 점포 내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적혼잡성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뿐만 이니라 부정적 감정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적 혼잡성에 있어서는 부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긍정적 감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공간적 혼잡성에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지만, 점포 내의 고객들의 붐빔 등의 인적 혼잡성은 오히려 흥미로움이나 활기를 주는 긍정적 감정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객의 점포 내 긍정적감정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감정은 행동의도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혼잡성은 고객으로 인해 긍정적 감정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부정적 감정으로 작용을 할 수도 있으므로 레스토랑 운영자는 다양한 이벤트나 고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시설의 유치 등으로 적정수준의 인적 혼잡성을 유발시킴과 동시에 공간 혼잡성으로 올 수 있는 고객 간의 마찰이나 옆 좌석의 손님으로 인해 불쾌감을 줄이기 위한 혼잡성 관리가 중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패밀리 레스토랑 내에서 지각되는 혼잡성이 감정 그리고 재방문의사 변수와 같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1년 ...

      본 연구의 목적은 패밀리 레스토랑 내에서 지각되는 혼잡성이 감정 그리고 재방문의사 변수와 같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1년 4월 1일부터 4월 7일까지 1주일 정도 실시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지난 1년간 패밀리 레스토랑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최종분석에 총 258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8.0과 AMOS 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혼잡성은 고객의 점포 내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적혼잡성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뿐만 이니라 부정적 감정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적 혼잡성에 있어서는 부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긍정적 감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공간적 혼잡성에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지만, 점포 내의 고객들의 붐빔 등의 인적 혼잡성은 오히려 흥미로움이나 활기를 주는 긍정적 감정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객의 점포 내 긍정적감정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감정은 행동의도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혼잡성은 고객으로 인해 긍정적 감정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부정적 감정으로 작용을 할 수도 있으므로 레스토랑 운영자는 다양한 이벤트나 고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시설의 유치 등으로 적정수준의 인적 혼잡성을 유발시킴과 동시에 공간 혼잡성으로 올 수 있는 고객 간의 마찰이나 옆 좌석의 손님으로 인해 불쾌감을 줄이기 위한 혼잡성 관리가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도, "혼잡지각과 관광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8 (28): 187-203, 2004

      2 이훈, "혼잡지각 측정도구 비교검증-만족도 및 설명변인의 관계를 중심으로" 24 (24): 93-115, 2000

      3 이정실, "호텔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 감정적 반응 그리고행동의도와의 관계- 부산지역 관광호텔 중심으로 -" 한국서비스경영학회 6 (6): 105-128, 2005

      4 김성혁, "호텔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지각이 감정반응, 고객만족, 재구매 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81-99, 2009

      5 김민성, "푸드코트의 물리적 환경이 지각된 혼잡과 감정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6 이은수, "패밀리 레스토랑의 서비스 감성체험이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9 (9): 197-211, 2003

      7 오은주, "테마파크 방문객의 혼잡지각이 감정, 쾌락적가치,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8 정형식, "점포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 및 매장 내 감정이 소비감정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8 (8): 1-28, 2003

      9 박경애, "점포의 혼잡성이 소비자 감정과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7 (27): 261-269, 2003

      10 박수용, "점포의 혼잡성, 쇼핑감정, 쇼핑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6 (6): 61-80, 2008

      1 홍성도, "혼잡지각과 관광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8 (28): 187-203, 2004

      2 이훈, "혼잡지각 측정도구 비교검증-만족도 및 설명변인의 관계를 중심으로" 24 (24): 93-115, 2000

      3 이정실, "호텔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 감정적 반응 그리고행동의도와의 관계- 부산지역 관광호텔 중심으로 -" 한국서비스경영학회 6 (6): 105-128, 2005

      4 김성혁, "호텔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지각이 감정반응, 고객만족, 재구매 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81-99, 2009

      5 김민성, "푸드코트의 물리적 환경이 지각된 혼잡과 감정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6 이은수, "패밀리 레스토랑의 서비스 감성체험이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9 (9): 197-211, 2003

      7 오은주, "테마파크 방문객의 혼잡지각이 감정, 쾌락적가치,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8 정형식, "점포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 및 매장 내 감정이 소비감정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8 (8): 1-28, 2003

      9 박경애, "점포의 혼잡성이 소비자 감정과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7 (27): 261-269, 2003

      10 박수용, "점포의 혼잡성, 쇼핑감정, 쇼핑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과학회 6 (6): 61-80, 2008

      11 사공수연, "점포유형, 쇼핑상황, 점포 내 감정 및 패션상품 구매행동간의관계" 24 (24): 940-949, 2000

      12 지성구, "점포 혼잡성이 점포내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2005

      13 양태석, "외식기업의 레스토랑 환경과 혼잡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12 (12): 63-79, 2006

      14 양태석, "외식기업 고객의 혼잡지각과 행동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15 유창조, "쇼핑행위의 경험적 측면, 쇼핑시 느끼는 기분이나 감정이 매장태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7 (7): 51-73, 1996

      16 서성무, "쇼핑객 밀도 수준과 지각된 혼잡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 4 (4): 23-32, 2000

      17 兪京珠, "선호밀도와 혼잡지각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내장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3

      18 김남조, "사회적 수용력의 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99 강원국제관광엑스포를 중심으로" 24 (24): 243-257, 2000

      19 이훈, "비수기 해변 관광객 혼잡지각의 형성 및 영향에 대한 인과구조 분석" 23 (23): 47-67, 2000

      20 이유재,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업종간 비교" 13 (13): 61-86, 1998

      21 유창조, "매장내 특징, 매장내 감정 및 쇼핑행위에 관한 구조적연구" 12 (12): 1-27, 1997

      22 권익현, "리조트 안에서의 소비자 감정적 경험에 관한 연구" 8 (8): 59-78, 1997

      23 김주연,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인적 서비스가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24 노영만, "레스토랑 환경지각이 소비자의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반응의 중개역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25 조미나, "레스토랑 고객의 서비스 인카운터에 대한 인지적·감정적 반응이 서비스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6 임채운, "가격 촉진이 점포혼잡도 및 촉진가치를통하여 점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학회 7 (7): 45-68, 2003

      27 Wakefield, K.,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on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in leisure service settings" 10 (10): 45-61, 1996

      28 Li, J., "The Effects of store Physical Environment on Perceived Crowding and Shopping Behavior" Auburn University 2004

      29 Donovan, R.,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and Utilitarian Sources of Consumer Attitudes" 58 (58): 34-57, 1982

      30 Lee, H., "Social Carrying Capacity of Tourism Destination: Crowding, Satisfaction and Behavior"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7

      31 Dawson, S.,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60 (60): 408-427, 1990

      32 Eroglu, S., "Retail Crowding: Theoretical and Strategic Implications" 62 (62): 346-363, 1986

      33 Westbrook, R., "Product/Consumption-based Affective Responses and Post Purchase Processes" 24 : 258-270, 1987

      34 Andereck, K., "Perceptions of Carry-over Crowding in Recreation Environments" 15 : 25-35, 1993

      35 Machleit, K., "Perceived Retail Crowding and Shopping Satisfaction: What Modifies This Relationship?" 9 (9): 29-42, 2000

      36 Eroglu, S., "Perceived Retail Crowding and Shopping Satisfaction: The Role of Shopping Values" 58 : 146-153, 2005

      37 Hui, M., "Perceived Control and the Effects of Crowding and Consumer Choice on the Service Experience" 18 : 174-184, 1991

      38 Stokols, D., "On the Distinction between Density and Crowding: Some Implication"

      39 Cronin, J.,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56 : 68-81, 1992

      40 Hirschman, E.,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46 (46): 92-101, 1982

      41 Yoo, C., "Effect of Store Characteristics and In-Store Emotional Experiences on Store Attitude" 42 : 253-263, 1998

      42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54 : 163-170, 1988

      43 Baum, A,., "Crowding, In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Wiley 1987

      44 Stockdale, J., "Crowding : Determinations and Effects" 11 : 197-245, 1978

      45 Oliver, R.,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 Bases of the Satisfaction Responses" 20 : 418-430, 1993

      46 Babin, B., "Atmospheric Affect as a Tool for Creating Value and Gaining Share of Customer" 49 (49): 91-99, 2000

      47 Holbrook, M.,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14 (14): 400-410, 1987

      48 Eroglu S., "An Empirical Study of Retail Crowd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66 (66): 201-221,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