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곳곳에서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고, 영재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재를 위한 적절한 진로지도나 상담활동은 매우 부족하며, 이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49442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9-415(17쪽)
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영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곳곳에서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고, 영재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재를 위한 적절한 진로지도나 상담활동은 매우 부족하며, 이에 ...
최근 영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곳곳에서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고, 영재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재를 위한 적절한 진로지도나 상담활동은 매우 부족하며, 이에 관한 연구도 미미하다. 영재 진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과학영재 집단으로는 부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139명이 참여하였으며, 일반학생 집단으로는 일반 중학교 학생 187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과학영재 중학생은 일반 중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며,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모두에서도 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과학영재 중학생 내에서는 진로성숙도에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중학생의 경우 성차와 학년차가 모두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과학영재의 진로성숙도를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검토함으로써 그 차이와 특성을 밝히고 영재를 위한 진로지도와 학교상담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etween the gifted in science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y gender and school grade were also investigate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etween the gifted in science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y gender and school grade were also investigate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139 gifted students in science enrolled in the Education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187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gifted in science showed higher scores in career maturity comparing to the average students. Second, within the gifted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gender. However, difference was found in career maturity by grade.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ird, in average student group,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were found by both gender and grade. Average gir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career maturity than average boy students, and higher-grade leve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than lower-grade level student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etween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and evoked the need of appropriate career counseling for both gifted and average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1992
2 김계현,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2000
3 채유경,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한국상담학회 4 (4): 545-561, 2003
4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1987
5 이충국,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8
6 김원선, "진로의식 성숙도 관련 변인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1988
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성숙도 검사개발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8 장인규, "중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성숙도 조사 연구." 강원대학교 1998
9 정종화, "중학생들의 진로포부수준, 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2002
10 이현림, "중‧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1 : 103-125, 2000
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1992
2 김계현,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2000
3 채유경,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한국상담학회 4 (4): 545-561, 2003
4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1987
5 이충국,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8
6 김원선, "진로의식 성숙도 관련 변인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1988
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성숙도 검사개발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8 장인규, "중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성숙도 조사 연구." 강원대학교 1998
9 정종화, "중학생들의 진로포부수준, 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2002
10 이현림, "중‧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1 : 103-125, 2000
11 임태옥, "중‧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 홍익대학교. 2001
12 윤여홍, "영재상담 및 진로지도. : 영재교육학 원론" 서울:교육과학사. 483-520, 2003
13 신윤호, "생활지도와 진로개발." 서울:교육과학사 2005
14 심재영, "과학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2003)." 13 (13): 95-112, 2003
15 김소아, "과학영재 중학생에서의 진로유형과 자아개념의 상관 연구." 14 (14): 131-150, 2004
16 강호경,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연구." 명지대학교 2003
17 이기학, "고등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정도의 비교 연구." 9 : 335-249, 1997
18 서우석,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1994
19 Super, D. E, "Work salience as a determinant of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25 : 30-44, 1984
20 Westbrook, B. W., "What research says about career maturity: A response to Cites, Wallbrown, & Blha(1985)." 26 : 239-250, 1985
21 Leung, S. A,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choice congruence of gifted and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11 : 325-335, 1998
22 Kaufmann, F. A, "The 1964-1968 Presidential Scholar: A follow-up study." 48 : 164-169, 1981
23 Kortas, L, "Structure and style in career decision making." 18 (18): 1992
24 Kerr, B. A, "Smart girls, gifted women." Columbus, OH: Ohio Psychology Publications. 1985
25 Gassin, E. A, "Sex differences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youth." 41 (41): 90-95, 1993
26 Achter, J, "Rethinking multipotentiality among the intellectually gifted: A critical review and recommendations." 41 (41): 5-15, 1997
27 Milgram, R. M, "Multipotential abilities and vocational interests in gifted adolescents: Fact or fiction?" 34 (34): 81-93, 1999
28 Super, D, "Life 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 282-298, 1980
29 Kerr, B. A, "Intervention for multipotentiality: Effects of a career counseling laboratory for gifted high school students." 66 : 366-369, 1988
30 Kerr, B. A, "Handbook for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Alexandria, VA: AACD Press. 1991
31 Clark, B., "Growing up gifted (4th ed.)." NY: Macmillan. 1992
32 Perrone, P. A, "Gifted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98-407, 1997
33 Greene, M. J, "Gifted adrift? Career counseling of the gifted and talented." 25 (25): 66-72, 2002
34 Schroer, A. C, "Enhancing the career and personal development of gifted college students." 64 : 567-571, 1986
35 Kelly, K,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gender on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carer interests. : Talent development volume II: Proceedings from the 1993 Henry B. and Jocelyn Wallace national research symposium on talent development" Dayton, OH: Ohio Psychology Press. 447-453, 1994
36 Kelly, K, "Effects of academic ability and gender on career development." 13 : 168-175, 1990
37 Phillips, S. D, "Decision- making style and vocational maturity." 20 : 215-222, 1982
38 Silverman, L. K,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Denver: Love. 1993
39 Colangelo, N., "Counseling gifted students. :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1991
40 Colangelo, N, "Counseling gifted students. :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373-387, 2003
41 Kelly, K, "Career maturity of young gifted adolescents: A replication study." 16 : 36-45, 1992
42 Perrone, P. A., "Career development.: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1991
43 Zunker,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99
44 Stewart, J. B, "Career counseling for the academically gifted student." 33 (33): 3-12, 1999
45 Kelly, K, "A profile of 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young gifted adolescents: Examining gender and multicultural differences." 13 (13): 202-206, 1991
46 심규철, "20년 후 자화상 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의 미래 직업에 대한 인식." 13 (13): 57-71, 2003
청소년의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9-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5-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9 | 2.19 | 2.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45 | 2.48 | 3.426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