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대인 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0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isure activity influenc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total 159 subjects of the elderly were interviewed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 result suggest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the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relatives. It also shows that the elderly who has the low frequency of meeting weekly or monthly is more likely to have the high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 of multi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that the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fami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The level of depression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nd religious activities is also significant. A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 of multi regression analysis shows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family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urther, the frequency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leisure activities, show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Overall,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igh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family is more likely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high level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leisure activities, is more likely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sequently, in the development of supportive programs an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depress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rather than simple support, educational and participative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isure activity influenc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total 159 subjects of the elderly were interviewed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 result suggests ...

      This study examines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isure activity influenc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total 159 subjects of the elderly were interviewed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 result suggest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the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relatives. It also shows that the elderly who has the low frequency of meeting weekly or monthly is more likely to have the high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 of multi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that the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fami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The level of depression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nd religious activities is also significant. A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 of multi regression analysis shows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family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urther, the frequency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leisure activities, show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Overall,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igh frequency of connecting/meeting with friends and family is more likely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high level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leisure activities, is more likely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sequently, in the development of supportive programs an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depress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Further, rather than simple support, educational and participative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涍植, "老父母-成人子女 간의 結束度, 自我尊重感, 心理的 損傷 간의 因果模型 探索"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3

      2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34): 621-647, 2000

      3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4 양민희,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윤지혜, "특성분노와 의도-모호성이 타인비난과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713-728, 2004

      6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24): 127-151, 2004

      7 송지준,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 고독감간의 관계"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43-62, 2008

      8 김신열, "종교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5 (25): 147-168, 2004

      9 한내창, "종교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36 (36): 7-25, 2002

      10 "재가노인을 위한 보건의료복지정책의 발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 申涍植, "老父母-成人子女 간의 結束度, 自我尊重感, 心理的 損傷 간의 因果模型 探索"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3

      2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34): 621-647, 2000

      3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4 양민희,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윤지혜, "특성분노와 의도-모호성이 타인비난과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713-728, 2004

      6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24): 127-151, 2004

      7 송지준,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 고독감간의 관계"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43-62, 2008

      8 김신열, "종교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5 (25): 147-168, 2004

      9 한내창, "종교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36 (36): 7-25, 2002

      10 "재가노인을 위한 보건의료복지정책의 발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1 김지연, "자녀와의 관계와 성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김병하, "유 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19 (19): 173-192, 1999

      13 한혜원,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형태가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2 (22): 47-58, 2008

      14 조경욱, "여성 노인의 건강 지위, 사회적 지위와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8 (8): 203-229, 2005

      15 송지은,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581-599, 2006

      16 김재중,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8

      17 강현욱, "복지관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스포츠 여가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231-239, 2008

      18 손의성, "배우자 사별노인의 종교참여와 대처자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41): 183-204, 2008

      19 윤설민, "문화적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동기, 제약 및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8 (18): 259-275, 2009

      20 임창희, "무배우자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11): 43-65, 2007

      21 임미숙, "도시노인의 노인정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실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2 이혜자,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인구학적 관련변인 : 심리적 복지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22 : 127-150, 2003

      23 이수애,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6, 2002

      24 김숙경,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3 (23): 179-202, 2004

      25 석말숙,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생태 체계적 접근 : 지역사회거주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26 (26): 237-261, 2004

      26 윤혜진, "노인의 종교활동정도와 우울에 관한 연구 : 복지관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7 김수정,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33 (33): 29-50, 2006

      28 성기월,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27 (27): 44-45, 1996

      29 정미자, "노인의 여가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30 이동수,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인지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4

      31 윤귀현,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가 고독감과 사회적 연결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5 (5): 9-20, 2009

      32 김도훈, "노인의 여가기능이 우울척도에 미치는 영향" 1 (1): 73-80, 1997

      33 김소진, "노인의 여가경험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34 임재구,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에 의한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73-84, 2006

      35 김대훈, "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체육활동 참가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4 (14): 95-104, 2005

      36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37 김태일, "노인대학 수강생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1 (31): 285-292, 2007

      38 손용진, "노인기의 종교변화에 따른 생활 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183-202, 2007

      39 김정엽, "노인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8 (48): 7-30, 2010

      40 김진희, "노인과 성인의 우울특성 : GDS와 BDI의 비교"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4

      41 김선자, "노년기의 여가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42 백경숙,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5 (35): 87-106, 2007

      43 이상연, "노년기 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0 : 787-797, 2007

      44 이형룡, "노년기 여가활동과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7 (17): 149-165, 2008

      45 유재남, "노년기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6 장석준, "경로대학 활성화를 통한 전인적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1

      47 Exile, J. J., "When God disappoints : Difficulty forgiving God and its role in negative emotion" 4 : 364-379, 1999

      48 Silverstein, M., "Too much of a good thing?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58 (58): 970-982, 1996

      49 Neugareten, B. J.,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16): 134-143, 1961

      50 Vaillant, G. E., "Successful aging" 158 (158): 839-847, 2001

      51 Daleman, T. P., "Spirituality and well-being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atient perspective" 53 : 1503-1511, 2001

      52 Fiori, K. L., "Social network typologies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61 (61): 25-32, 2006

      53 Levin, J., "Religious attend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exican Americans : A panel analysis of three-generations data" 36 : 454-463, 1996

      54 Strawbridge, W. J., "Religiosity buffers effects of some stressors on depression but exacerbates other" 53 : 118-126, 1998

      55 Williams, R, W., "Relig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 Community Ample" 32 : 1257-1262, 1991

      56 Smith, B. W., "Noah revisited : Religious coping by church members and the impact of the 1993 midwest flood" 28 : 169-186, 2000

      57 Adelmann, P., "Multiple Ro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Natural Sample of Older Adults" 49 : 277-285, 1994

      58 Bosse, R., "Mental health differences among retirees and workers : Finding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2 : 383-389, 1987

      59 DuPertuis, L. L., "Does in source of support matter for difference health outcome?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13 : 494-510, 2001

      60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 and Education(3rd ed. )" David Mckay 1972

      61 Yesavge, J.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17 (17): 37-49, 1983

      62 조맹제, "DMS-M-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38 (38): 48-63, 1999

      63 Krause, N., "Common facets of religion, unique facets of relig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frican Americans" 59 : 104-117, 2004

      64 Mitchell, J., "Beyond church attendance :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mong rural older adults" 15 : 37-54, 2000

      65 Jenkins, K.,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24 (24): 124-149, 2001

      66 "2008 고령자통계" 통계청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esure & recreation ->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KCI등재
      2015-12-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Leisure & Recreation -> 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lesure & recreation -> korean Journal of lesure & recre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6-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9 1.91 1.62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