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인식 = A Study on the Familia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6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milia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 childcare cent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mode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milia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 childcare cent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model. 205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were sampled.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liminary study and validity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measure parents' familiari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familiarith with multicultural was found to include a typical understanding but their perception of its necessity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familiari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with i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efferences in parents' familiari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or job nor with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한 설문지를 배부․회수한 후 205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부모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의 배경변인인 연령, 학력, 다문화 교육 경험 유무, 직업 및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다문화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유아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의 경험도 함께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2 최성규, "초등학교 학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객관적?주관적 태도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93-116, 2005

      3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 실태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지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1996

      5 권창길,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발달수준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8

      6 황현주,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사회적 행동-종일제유아교육기관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7 김선희, "유아교육기관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탐라대학교 2006

      8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69-297, 2008

      9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실시를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10 : 21-41, 2007

      10 김영옥,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1-38, 2002

      1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2 최성규, "초등학교 학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객관적?주관적 태도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93-116, 2005

      3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 실태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지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1996

      5 권창길,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발달수준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8

      6 황현주,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사회적 행동-종일제유아교육기관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7 김선희, "유아교육기관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탐라대학교 2006

      8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69-297, 2008

      9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실시를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10 : 21-41, 2007

      10 김영옥,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1-38, 2002

      11 배미애,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계 및 지리교과에서의 의의" 8 (8): 105-122, 2004

      12 윤갑정,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47-168, 2006

      13 한석실,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29-53, 2007

      14 이미혜,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실제 비교"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5 하숙현, "다문화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실제 연구조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16 정선희,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1997

      17 김윤숙, "다문화교육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한국유아교육학회 302-314, 2007

      18 임갑자, "다문화 배경을 가진 유아의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8

      19 엄미숙, "다문화 교육을 위한 유아의 인종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20 오은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방안" 97-116, 2007

      21 노은경,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 실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김희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95-118, 2007

      23 김영옥,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43-164, 2008

      24 조영달, "다문화 가정 교육지원을 위한 자료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25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33-52, 2004

      26 구효진,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3-67, 2007

      27 박성연,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유아의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8 Ramsey,P.G, "Teaching and learning in a diverse worl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College Press. N. Y.: Columbia Univ. 1998

      29 Day, B. B., "Public 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ho, what, why, and how" 67 : 24-27, 1998

      30 Banks,J, "Multiethnic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3rd Ed.)" Allyn and Bacon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