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한유학생 교양체육수강 여부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분석 = The Analysi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on Foreign Students in Korea that Atten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5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fference of acculturativ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th groups attending and not attending physical education courses to specifically identify how acculturative stress affects college life,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by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foreign students in Seoul city, Incheon city, Gyunggi province, and Chungbuk province from 7 college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people execut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 total of 323 account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out of all the gathered questionnaires, excluding the 27 accounts that were responded insincerel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mographic variables, acculturative stress measur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measures.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SPSS 18.0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educed. First, the group that attende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revealed less homesickness, perceived hostility, fear, culture shock, and guilt factor averages in comparison to the group that did not atten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Second, the group that attende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revealed to have a higher average of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factor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negatively affected college life adaptation .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fference of acculturativ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th groups attending and not attending physical education courses to specifically identify how acculturative stress affects college life, in 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fference of acculturativ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th groups attending and not attending physical education courses to specifically identify how acculturative stress affects college life,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by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foreign students in Seoul city, Incheon city, Gyunggi province, and Chungbuk province from 7 college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people execut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 total of 323 account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out of all the gathered questionnaires, excluding the 27 accounts that were responded insincerel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mographic variables, acculturative stress measur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measures.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SPSS 18.0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educed. First, the group that attende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revealed less homesickness, perceived hostility, fear, culture shock, and guilt factor averages in comparison to the group that did not atten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Second, the group that attended core physical education courses revealed to have a higher average of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factor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negatively affected college life adaptation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한유학생 중 교양체육 수강집단과 비 수강집단 간에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재한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 적응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충북에 소재한 7개 대학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을 실시하여 총 35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7부를 제외한 총 32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양체육 수강집단은 비수강집단에 비해 향수병,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죄책감 요인의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 수강집단은 비수강집단에 비해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만족도 요인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부분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재한유학생 중 교양체육 수강집단과 비 수강집단 간에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

      본 연구는 재한유학생 중 교양체육 수강집단과 비 수강집단 간에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재한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 적응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충북에 소재한 7개 대학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을 실시하여 총 35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7부를 제외한 총 32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양체육 수강집단은 비수강집단에 비해 향수병,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죄책감 요인의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 수강집단은 비수강집단에 비해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만족도 요인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부분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재연, "홀리스틱교육에 기초한 다문화캠퍼스에서 외국인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실태분석과 효과적인 지원방안 연구: 서울 K대학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3 (13): 131-155, 2009

      2 김예성,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과 개인 및 가족 관련 특성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5-138, 2011

      3 하정희,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73-496, 2008

      4 김선남, "중국 유학생의 국내 대학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185-206, 2007

      5 黃海燕,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 왕충승,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7 황지인, "재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8 야노 미찌코, "재한 일본 유학생의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김선주,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실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 12 (12): 17-26, 2012

      10 노윤성,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5 (5): 159-197, 2004

      1 오재연, "홀리스틱교육에 기초한 다문화캠퍼스에서 외국인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실태분석과 효과적인 지원방안 연구: 서울 K대학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3 (13): 131-155, 2009

      2 김예성,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과 개인 및 가족 관련 특성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5-138, 2011

      3 하정희,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73-496, 2008

      4 김선남, "중국 유학생의 국내 대학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185-206, 2007

      5 黃海燕,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 왕충승,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7 황지인, "재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8 야노 미찌코, "재한 일본 유학생의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김선주,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실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 12 (12): 17-26, 2012

      10 노윤성,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5 (5): 159-197, 2004

      11 노종희,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국가별, 지역별 대학마케팅 전략" 교육인적자원부 2003

      12 현진원,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1992

      13 임호남, "여대생의 교양체육수업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대학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27 (27): 71-82, 2013

      14 송형석, "스포츠를 통한 사회통합, 그 가능성의 고찰" 한국체육학회 50 (50): 31-44, 2011

      15 이문진, "생활체육 참가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4 (24): 47-56, 2013

      16 이인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17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6

      18 김병준, "목표성향으로 예측한 스포츠 재미와 스트레스" 12 (12): 125-140, 2001

      19 김용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건강상태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6) : 749-757, 2014

      20 박소연, "대학생의 교양체육수업 참여 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171-182, 2007

      21 이우승,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중 스트레스와 수업 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7 (37): 115-124, 2009

      22 김은정, "대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 8 : 85-114, 1992

      23 정우관, "대학교양체육 참가자의 수업만족도와 지속적인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5 (15): 147-162, 2006

      24 박용범, "대학교양체육 요가 참여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과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97-207, 2011

      25 김주희, "대학교양 골프수업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843-853, 2009

      26 김재필, "대학 교양체육 참여 학생들의 웰니스와 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5-19, 2008

      27 김금주, "대학 교양체육 수업의 선호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8 김종화, "대학 교양체육 수업 참가에 따른 학교 적응 관계 모형"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277-284, 2007

      29 김우석, "다문화사회 소통 통로로서의 스포츠 : 문화적응 과정에서의 스포츠의 역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30 주동범,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23-145, 2013

      31 백지숙,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개인적 배경,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19-131, 2011

      32 권순재,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여가만족 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283-293, 2012

      33 나종훈, "교양체육 수강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4 Iso-Ahola, S. E.,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W. C. Brown Co 1980

      35 Baker, R. W.,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Wer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9

      36 Pekka. O., "Sport for All"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91

      37 Furukawa, T., "Sojourner readjustment : Mental health of international studies after one year's foreign sojourn and its psychosocial correlates" 185 : 263-268, 1997

      38 Williams, C. L.,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46 : 632-641, 1991

      39 Cohen, S. S.,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3 : 99-125, 1983

      40 Tappe, M,, "Personal investme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physically active middle age and older adults" 122 (122): 557-566, 1989

      41 Erikson, E. H., "Identity and the life cycle" International Universitits Press 1959

      42 Sandhu, D. S., "Development of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 Preliminary findings" 75 : 435-448, 1994

      43 Berry, J. W.,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21 (21): 491-511, 1987

      44 법무부 출입국, "2013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