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과 학교적응유연성간 관계 =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4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practice of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increasing rapidly due to family breakdown, change in family structure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resilience which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have experienc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argets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lla South Province where the percentag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was the highest in Korea from July 2011 to August 2011. A total of 136 cases were utiliz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first, depressive symptoms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resilien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ower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resilience.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ppeared due to interaction of depressive symptoms and empower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s about depressive symptoms and promotion of empowerment as efforts to promote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based on the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practice of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increasing rapidly due to family breakdown, change in family structure and social and environ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oundation of practice of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increasing rapidly due to family breakdown, change in family structure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resilience which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have experienc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argets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lla South Province where the percentag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was the highest in Korea from July 2011 to August 2011. A total of 136 cases were utiliz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first, depressive symptoms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resilien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ower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resilience.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ppeared due to interaction of depressive symptoms and empower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s about depressive symptoms and promotion of empowerment as efforts to promote school resil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옥경, "한국인의 한 (恨)과 탄력성(Resilience):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11 : 7-29, 2001

      2 윤수정, "한국 주재 국제학교 학생들의 이문화수용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 지각된 사회적 지지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송정아,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심리적ㆍ행동적 학교 적응강화 프로그램 개발을위한기초연구(Ⅰ)" 19 (19): 35-50, 2001

      4 도기봉,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역량강화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49-174, 2011

      5 양국선,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야간실업고등학교 근로청소년대상" 13 (13): 127-148, 2001

      6 정진숙,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ㆍ우울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4 (4): 125-150, 2008

      7 김정은, "초등학교 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비교"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 9-44, 2008

      8 김예성, "초등학교 또래괴롭힘 피해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관한연구" 195-201, 2006

      9 김예성, "초등학교 또래괴롭힘 피해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3) : 65-97, 2007

      10 유정선,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이 심리사회학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75-183, 2004

      1 양옥경, "한국인의 한 (恨)과 탄력성(Resilience): 정신보건사회사업에의 적용" 11 : 7-29, 2001

      2 윤수정, "한국 주재 국제학교 학생들의 이문화수용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 지각된 사회적 지지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송정아,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들의 심리적ㆍ행동적 학교 적응강화 프로그램 개발을위한기초연구(Ⅰ)" 19 (19): 35-50, 2001

      4 도기봉,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역량강화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49-174, 2011

      5 양국선,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야간실업고등학교 근로청소년대상" 13 (13): 127-148, 2001

      6 정진숙,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ㆍ우울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4 (4): 125-150, 2008

      7 김정은, "초등학교 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비교"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 9-44, 2008

      8 김예성, "초등학교 또래괴롭힘 피해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관한연구" 195-201, 2006

      9 김예성, "초등학교 또래괴롭힘 피해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3) : 65-97, 2007

      10 유정선,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이 심리사회학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75-183, 2004

      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자살의원인및예방정책에관한국제비교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137, 2002

      12 김영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임파워먼트의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 : 163-190, 2007

      13 김희성, "청소년의 정치사회 임파워먼트에 대한 참여의 효과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2 (12): 325-345, 2005

      14 오선영,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에 있어서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15 박은민,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75-88, 2010

      16 박현선,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및 지도감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399-427, 2008

      17 정순상, "집단미술치료가 한 부모 및 조손가족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8

      18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9 류재중,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모형 적합도 검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4 (14): 49-69, 2007

      20 이창식, "조손가족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1-20, 2010

      21 김혜선, "조손가족 아동의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2 최혜지, "조손가족 아동의 우울에 관한 연구 아동의 성별, 차이를 만드는가?"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6 : 135-163, 2010

      23 이정이, "조손가정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아동 행동 문제" 한국놀이치료학회 10 (10): 63-72, 2007

      24 박충선,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105-125, 2010

      25 최해경, "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적응유연성"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3) : 37-58, 2006

      26 주소희,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0) : 97-131, 2009

      27 박미노, "조손가정 손자녀들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손자녀들이 인지하는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7

      28 정효미, "조손가정 손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9 류정희, "저소득층 조손 가정의 특성과 그들을 위한 가족지원체계에 관한 질적 연구 : 아이 돌보미이용자 가정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1

      30 조한익, "자기효능감,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59-271, 2010

      31 김민정, "위탁부모 양육행동이 위탁보호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97-110, 2009

      32 임양화, "우울한아동의귀인유형" 8 (8): 69-76, 1989

      33 이정숙, "우울로인해자율성이부족한아동의놀이치료" 5 (5): 37-55, 2001

      34 차성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의 정서지능의 매개적 역할" 한국아동학회 31 (31): 125-137, 2010

      35 정미경,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 41 (41): 123-137, 2003

      36 배주미,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인지변인의 지속성과 상호예측 : 18개월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37 서혜석,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409-439, 2004

      38 김순규,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03-123, 2009

      39 김희성,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35-157, 2004

      40 김희성,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1 좌현숙, "빈곤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역간 종단적 상호관계 : 심리, 사회, 학교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247-278, 2010

      42 조문효, "빈곤 조·손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기초연구"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43 이영환,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5 (5): 43-71, 2009

      44 송은하, "부부갈등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에 미치는 영햐: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2 (12): 1-13, 2008

      45 장신재, "부모-자녀관계, 아동의 우울 및 공격성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5-29, 2007

      46 송유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통한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41-68, 2009

      47 박정란,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48 한경리, "농촌조손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6 (16): 75-111, 2010

      49 최정민,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1 (31): 63-77, 2011

      50 이경탁, "기능적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중등교육연구소 58 (58): 145-175, 2010

      51 유평수, "고등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71-196, 2008

      52 노혜련, "가출청소년의 자살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5-34, 2005

      53 박세경, "가족의 회복탄력성 제고를 위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의 현황과 발전과제" 151 : 18-28, 2009

      54 신현숙, "가정환경 역경과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 보호요소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71-84, 2003

      55 朴炫宣, "貧困靑少年의 學校 適應柔軟性"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56 Edwards, O. W., "Value of Family and Group Counseling Models Where Grandparents Function as Parents to their Grandchildren" 32 (32): 178-190, 2010

      57 Hamer, M., "Using stress models to evaluat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nutritional intervention in healthy individuals" 23 (23): 637-646, 2004

      58 Cicchetti, D., "The role of self-organization in the promotion of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9 (9): 797-815, 1997

      59 Hochwlder, J.,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burnout among Swedish registered and assistant nurses: The main,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empowerment" 9 (9): 205-211, 2007

      60 Luthar, S. S., "The construct of resilience :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71 : 543-562, 2000

      61 John, K., "The Social Adjustment Inventor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SAICA): Testing of a New Semistructured Interview" 26 (26): 898-911, 1987

      62 Timberlake, E. M., "The General method of social work practice: McMahon’s generalist perspective, 4rd Ed" Allyn and Bacon 2002

      63 Lee, J. A. B., "The Empowerment Approach to social work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64 Edwards, O. W., "Teachers’perceptions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unctioning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43 (43): 565-572, 2006

      65 Cowen, E. L., "Resilience in Highly Stressed Urban Children Concepts and Findings" 73 (73): 267-284, 1996

      66 Condly, S. J., "Resilience in Children: A Review of Literature With Implications for Education" 41 (41): 211-236, 2006

      67 Ungar, M., "Resilience across cultures" 38 : 218-235, 2008

      68 Leder, S., "Psychotherapeutic Treatment Outcomes in Grandparent-Raised Children" 16 (16): 5-14, 2007

      69 Huygena, A. C. J., "Psychological, behavioural, and 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juvenile chronic arthritis" 59 : 276-282, 2000

      70 Greenberg, M. T., "Promot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youth: Preventive interventions and their interface with neuroscience" 1094 : 139-150, 2006

      71 Shih, M., "Positive Stigma: Examining Resilience and Empowerment in Overcoming Stigma" 591 (591): 175-185, 2004

      72 Naglieri, J. A.,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nxiety/depression on the WISC-III and Cognitive Assessment System(CAS)" 21 (21): 32-42, 2003

      73 Masten, A. S,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56 (56): 227-238, 2001

      74 Dolbin-MacNab, M. L., "Navigating Interdependence: How Adolescents Raised Solely by Grandparents Experience Their Family Relationships" 58 (58): 162-175, 2009

      75 Dolbin-MacNab, M. L., "Just Like Raising Your Own· Grandmothers’Perceptions of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55(5) : 564·575 55 (55): 564-575, 2006

      76 Edwards, O. W., "Helping grandkin·Grand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 Expand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35 (35): 173-181, 1998

      77 Crabtree, V. 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with suspected sleep-disordered breathing" 27 (27): 1131-1138, 2004

      78 Bryan, J., "Foster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Through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8 (8): 219-227, 2005

      79 Banyard, V. L., "Exploring links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empowerment" 30 (30): 687-707, 2002

      80 Cox, E. O., "Empowerment-oriented social work practice with the elderly" Books/Cole Pub 1994

      81 Gutierrez, L. M., "Empower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 Sourcebook" Brooks/Cole Pub 1998

      82 Sanchez, E. A., "Empowering children in mediation: An intervention model" 42 (42): 554-575, 2004

      83 Kam, P. K., "Empowering Elderly People: A Community Work Approach" 31 (31): 230-240, 1996

      84 King, C. A.,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epression and Suicidality Using the NIMH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DISC-2.3)" 25 (25): 173-181, 1997

      85 Stoddard, F. J., "Depression in children after recovery from severe burns" 13 (13): 340-347, 1992

      86 Yorker, V. B., "Custodial Relationship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Results of a home-based intervention study" 49 (49): 15-26, 1998

      87 Kourkoutas, E. E., "Counseling children at risk in a resilient contextual perspective: a paradigmatic shift of school psychologists’role in inclusive education" 5 : 1210-1219, 2010

      88 Zimmerman, M. A., "Citizen participation, perceived contro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16 (16): 725-750, 1988

      89 Wallander, J. L., "Children With Chronic Physical Disorders: Maternal Reports of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13 (13): 197-212, 1988

      90 Walsh, D. J., "Applying the construct of resilience in schools: Cautions from a developmental systems perspective" 27 (27): 407-417, 1998

      91 Crick, N. R.,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115 (115): 74-101,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2 1.2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