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들에게 오랫동안 사랑과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Marcus pfister의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에 나타난 상호적 친구관계 형성에서의 유아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6102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5-114(3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들에게 오랫동안 사랑과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Marcus pfister의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에 나타난 상호적 친구관계 형성에서의 유아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기 ...
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들에게 오랫동안 사랑과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Marcus pfister의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에 나타난 상호적 친구관계 형성에서의 유아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친구관계 형성에 필요한 사회적 관계 기술의 주요 개념과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으며 이들 내용을 중심으로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 6권의 내용을 각각의 에피소드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에는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사회적 관계 기술에 해당하는 나누어주기, 공유하기, 공감하기, 소속되기, 갈등해결하기, 마음열기, 모험하기, 도움주고받기의 내용을 고루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교육적 활용가치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 그림책을 활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교사와 부모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Marcus Pfister’s series of books titles “the Rainbow Fish”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eries has long been loved by preschoolers, their teachers and parents. After an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Marcus Pfister’s series of books titles “the Rainbow Fish”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eries has long been loved by preschoolers, their teachers and parents. After an analysis framework was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major related concept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friend relationship building and curriculum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icture 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series dealt with imparting, sharing, empathy, belonging, conflict resolving, mind opening, venturing and helping, which belonged to friend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ciprocal friend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was well reflected in the way of describing the main character rainbow fish in conjunction with the subcategories, and this series was consequently found to be very worth utilizing for educational purposes. Accordingly, sustained efforts should be made to seek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make the best use of this ser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黃善熙, "한국인 상용식품의 식이섬유 함량 분석과 한국 남자 대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현황 평가"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2 이은해,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25-241, 1999
3 왕영선, "학교청소년의 소속감과 부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4 정승원, "학교소속감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안경숙, "초등학생의 친한 친구 사귀기 과정 :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6 박애경, "전조작기 유아의 인지발달 및 이타행동 수준확인 연구" 한국보육학회 12 (12): 213-227, 2012
7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8 신유림, "유아의 친구관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42, 2004
9 백경순,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2006
10 박경자,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지도" 교문사 2005
1 黃善熙, "한국인 상용식품의 식이섬유 함량 분석과 한국 남자 대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현황 평가"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2 이은해,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25-241, 1999
3 왕영선, "학교청소년의 소속감과 부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4 정승원, "학교소속감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안경숙, "초등학생의 친한 친구 사귀기 과정 :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6 박애경, "전조작기 유아의 인지발달 및 이타행동 수준확인 연구" 한국보육학회 12 (12): 213-227, 2012
7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8 신유림, "유아의 친구관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42, 2004
9 백경순,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2006
10 박경자,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지도" 교문사 2005
11 신혜선, "유아 그림책의 기호학적 구조분석을 통한 교육적 이해 '무지개 물고기'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47-171, 2006
12 배선영, "아동의 친구관계 질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15 : 80-88, 2001
13 김보경,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친구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23-37, 2009
14 김보경,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 친구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5 김희태, "상호적인 친구관계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25-48, 2004
16 반금남,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서미옥, "문학적 접근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상호협력행동에 미치는 효과" 23 (23): 91-113, 2003
18 문혜련, "만 5세 유아들의 우정의 질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9 배지희, "또래관계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기술:친구관계와 비친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63-84, 2006
20 배지희, "또래관계에서 사용하는 유아의 요구전략"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21 정계숙,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프로그램의 효과: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29, 2006
22 이연승, "동화구연을 활용한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과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사고력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9-36, 2011
23 이기영,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213-222, 2008
24 안방지,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법 교수전략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및 활용 실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9-39, 2009
25 김선영,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형태 및 가족관계 분석" 7 : 165-187, 2004
26 유수경, "그림책 속에 나타난 친구관계 유형과 우정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9-67, 2008
27 최윤정, "그림 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해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20 (20): 275-291, 1999
28 박성희, "공감학: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29 Bukowski, W. M, "popularity and friendship: issues in theory, measurement, and outcome, In Peer relations in child development" Wiley 15-45, 1989
30 Jalongo, E, "Young children and picture books: Literature from infancy to six" NAEYC 1990
31 Strasser, J, "Using picture books to support young children's literacy" 83 (83): 219-231, 2007
32 Hartup, w. w, "The three faces of friendship" 12 : 569-574, 1993
33 Ladd, G. W,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74 (74): 1344-1367, 2003
34 Hartup, w. w,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 and Their Developmental Significance" 67 : 1-13, 1996
35 Rubin, K.. H, "The best friendships of shy/withdrawn Children: Prevalence, Stabi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34 (34): 143-157, 2006
36 Levinger, G, "The Temporal Course of Close Relationships: Some Though abou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ies. In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Erlbaum 1986
37 Bellack, A. S, "Social skill training for unassertive children: A multiple baseline analysis" 10 : 183-195, 1977
38 Gresaham, F. M, "Socai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American guidance service 1990
39 Bal-Tal, D, "Prosocial behavior theory and research" John Willey & Sons 1976
40 Ladd, G. W,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1 : 1081-1100, 1990
41 Parker, J. G,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29 : 611-621, 1993
42 Degeorge, K. L, "Freindship and stori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to teachb friendship skill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33 (33): 157-162, 1998
43 Berndt, T. J, "Exploring the effects of friendship quality on social development, In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6-365, 1996
44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Bantam Books 1995
45 Newcomb, A, F,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 A meta-analytic review" 117 : 306-347, 1995
46 Duck, S. D, "Attraction and communication in children's imteractions, In Friendship and social relations in children" Wiley 1980
47 Washburn M, "A sense of belonging in school: Exploring the patterns and corrwlates among urban adolescents" New York University 2009
48 Vaughn, B. E, "A Longitudinal Analysis of Social Competence In a Sample of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Construct and Index Indicators"
49 박혜란, "5세 유아의 우정 형성과 유지과정 탐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0 성지현,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유아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사진을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