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요인에 대한 가정폭력경험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n the Community Factor Influencing School 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on school violence aimed at juvenile. The subject was 724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chool viole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mmunity factors such as harmful environment, violence tolerance of society, the contact with mass media related to violence. Be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ng effect between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community factor, and there was als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n harmful environment and the contact with mass media related to violence having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on school violence aimed at juvenile. The subject was 724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chool violence was signific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on school violence aimed at juvenile. The subject was 724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chool viole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mmunity factors such as harmful environment, violence tolerance of society, the contact with mass media related to violence. Be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ng effect between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community factor, and there was als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n harmful environment and the contact with mass media related to violence having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기봉,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성과 생태체계요인의 상호작용효과" 10 (10): 73-92, 2008

      2 도기봉,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효과" 22 : 5-34, 2008

      3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실태조사, 연구보고 RR 2006-8-4"

      4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요인의 조절효과" 19 : 5-28, 2007

      5 도기봉,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6 도기봉, "학교요인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요인의 조절효과" 10 (10): 51-74, 2008

      7 이서원, "폭력목격경험 및 폭력허용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3 : 111-131, 2005

      8 노성호,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9 허남순, "청소년의 건전한 발달을 위한 가정과 지역사회 구성요인의 규명과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15) : 171-203, 2003

      10 김정옥,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 연구-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7 (7): 93-115, 2002

      1 도기봉,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성과 생태체계요인의 상호작용효과" 10 (10): 73-92, 2008

      2 도기봉,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효과" 22 : 5-34, 2008

      3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실태조사, 연구보고 RR 2006-8-4"

      4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요인의 조절효과" 19 : 5-28, 2007

      5 도기봉,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6 도기봉, "학교요인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요인의 조절효과" 10 (10): 51-74, 2008

      7 이서원, "폭력목격경험 및 폭력허용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3 : 111-131, 2005

      8 노성호,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9 허남순, "청소년의 건전한 발달을 위한 가정과 지역사회 구성요인의 규명과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15) : 171-203, 2003

      10 김정옥,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 연구-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7 (7): 93-115, 2002

      11 김재엽,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26 : 31-59, 2008

      12 김선희,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부모감독 및 자아개념 상호작용효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3 전상혁, "청소년 유해환경 변화와 청소년 보호전략-학교폭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5

      14 윤옥경,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영향력 비교" (38) : 107-138, 2008

      15 김영한, "청소년 문제행동 종합대책 연구Ⅲ"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16 조유진, "집단괴롭힘 목격과 피해경험의 가해화 경로에 대한 중재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7 김남선, "지역사회체계의 불균형과 청소년문제의 연계성" 5 : 1-14, 2000

      18 김교정, "지역사회중심의 청소년복지 서비스 탐색적 연구" 10 (10): 29-48, 2008

      19 남순현, "부모의 언어학대와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25 (25): 953-967, 2006

      20 김재엽, "부모간 폭력 목격경험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지지적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15 (15): 89-115, 2008

      21 이명선,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청소년 비행과 유해환경의 관련성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8 (18): 37-58, 2001

      22 김남현, "가정폭력과 대중매체폭력이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23 김재엽, "가정폭력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7 : 27-52, 2007

      24 김재엽, "가정폭력 노출 아동 문제의 심각성 및 이에 대한 복지적 대책" 20 (20): 83-119, 2006

      25 이상준,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임파워먼트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5 (5): 63-82, 2008

      26 Ozer,E.J, "the impact of violence on the urban adolescents: Longitudinal effects of perceived school connection and family support" 20 : 167-192, 2005

      27 Josephson,W.L, "Violence in young adolescents relationships" 23 (23): 189-208, 2008

      28 Elliott, D. S, "Violence in American schools: An overview, Violence American Scho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8, 1998

      29 Mckibben, L, "Victimization of mothers of abused children: A controlled study" 84 : 531-535, 1989

      30 Maschi,T, "Unraveling the link between trauma and male delinquency, the cumulative versus differential risk perspectives" 51 (51): 55-70, 2006

      31 Danish,S.J, "Understanding the media'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and prosocial behavior, Preventing violence in America" Sage Publications 133-155, 1996

      32 Breslau,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population of young adults" 48 : 216-222, 1991

      33 Kalmuss,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aggression" 46 : 11-19, 1984

      34 Suh,E.K, "The impact of spouse violence on the children of the abused" 4 (4): 27-34, 1990

      35 McCloskey, L. A, "The contribution of marital violence to adolescent aggression across different relationships" 18 : 390-412, 2003

      36 Straus,M.A, "The conflict tactics Scale and its critics: An evaluation and new data on validity and reliability,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y" Transactions Books 1990

      37 Astor,R.A, "The conceptualization of violence-prone school subcontexts: Is the sum of the parts greater than whole?" 36 : 374-399, 2001

      38 Bancroft,L, "The batterer as parent-Addressing the impact of domestic violence on family dynamics" Sage publications 2002

      39 Furlong,M.J, "The School in School-related violence: Definitions and fact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ummer. Retrieved May 15, 2001 from Findarticles.com database on the World Wide Web site: http://www.findarticles.com/"

      40 Akiba,M, "Student victimization: National and school system effects on school violence in 37 nations" 39 (39): 829-853, 2002

      41 Waschlag,L.S, "Relation of maternal responsiveness during infancy to the development of behavior problems in high-risk youths" 35 (35): 569-579, 1999

      42 O'Keefe, M,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12 (12): 546-568, 1997

      43 Jouriles, E. N, "Predicting Child Behavior Problems in Maritally Violent Families" 15 (15): 165-173, 1987

      44 Comstock,G.C, "Media violence: Q and A. Adolescent Medicine" 4 : 495-509, 1993

      45 Straus,M.A, "Measuring inf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tactice(CT) Scales" 41 (41): 75-88, 1979

      46 Perry,D.G, "Learning of aggression,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lenum 135-146, 1990

      47 Bandura,A, "Learning and Behavioral Theories of Aggression, Violence" Jossy- Bass Publishers 25-57, 1978

      48 Sherer,M, "Internaltional journal of Intercultrual Relations, Relations" 28 (28): 93-109, 2004

      49 Evans, S. 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 meta-analysis of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13 (13): 131-140, 2008

      50 Mejia,R, "Domestic violence exposure in Colombian adolescents: pathways to violent and prosocial behavior" 19 (19): 257-267, 2006

      51 Kolbo.J.R, "Children who witnessed domestic violence: A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5 : 283-293, 1996

      52 Massachusetts Coalition of Battered Women Service Groups,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Working report of the children's Working Group). Boston, Author"

      53 Olweus,D, "Bully/Victim problem among school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Erlbaum 1993

      54 Straus, M. A,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Anchor Press 1980

      55 Johnson,R.M, "Adverse behavioral and emotional outcomes from child abuse and witnessed violence" 7 : 179-186, 2002

      56 Colder,C.R,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nteractive effects of impulsivity and anger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 27 (27): 255-274, 1998

      57 Colvin,M, "A Critique of Crimnology: Toward an Integrated Structural Marxist Theory of Delinquency Production" 89 : 513-551, 1983

      58 여성가족부, "2007년 전국가정폭력실태조사"

      59 한국인터넷진흥원, "2005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