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이 지각하는 적응관련 요인인 자아정체성, 의사소통기술, 대인관계기술, 문화수용, 교사지지, 또래지지, 가족지지, 지역사회지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인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50536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5-154(30쪽)
6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이 지각하는 적응관련 요인인 자아정체성, 의사소통기술, 대인관계기술, 문화수용, 교사지지, 또래지지, 가족지지, 지역사회지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인구...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이 지각하는 적응관련 요인인 자아정체성, 의사소통기술, 대인관계기술, 문화수용, 교사지지, 또래지지, 가족지지, 지역사회지지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적응관련요인 및 사회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아동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관련 요인들의 일반적 경향은 개인내적요인으로서 의사소통기술이 가장 낮고 문화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환경요인으로서 지역사회지지가 가장 낮고 가족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경제수준에 따라 적응관련 및 사회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의사소통기술과 지역사회지지, 경제수준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적응관련 요인을 모두 투입한 모델에서 경제수준은 유의성이 사라지고 의사소통기술과 지역사회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족아동의 사회적응은 가정의 경제적인 수준보다는 개인내적요인으로서 의사소통기술과 사회환경요인으로서 지역사회지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적인 지원과 더불어 한국어의 미숙함과 이중문화 노출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의 관심과 지지를 유도하고 원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adjustment-related factors perceived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self 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 skill, cultural acceptance,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family sup...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adjustment-related factors perceived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self 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 skill, cultural acceptance,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family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djustment-related factor and social adjustment level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in 193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Gwangju and Jeonnam.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trend of adjustment-related factors, while a communication skill was the lowest and cultural acceptance was the highest in the personal internal factor, the community support was the lowest and the family support was the highest in the social environment factor. Second, for the difference associated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djustment-related factor and social adjustment levels according to sex, economic status.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 communication skill, community support, and economic status. However, in the model which was inputted by all socio-demographic and adjustment-related factors, the significance of economic status disappeared and as the communication skill and community support was increased, social adjustment became high. It suggested that social adjustment was influenced by a communication skill as the personal internal factor and community support as the social environment factor rather than family`s economic statu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ly, to improve the 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induce social concern and support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stress caused by a poor Korean skill and bicultural exposure as well as provide economic support.
참고문헌 (Reference)
1 Zeilfelder,Eunsook Lee,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양서원 2007
2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37-157, 2006
3 김주희,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피해 유형과 정서 행동문제 및 사회능력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2005
4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15-408, 2003
5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6 박명순, "초등학교 아동의 인터넷 몰입과 사회능력 및 행동 발달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13-327, 2004
7 이명자,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의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 14 (14): 51-60, 2006
8 이해리,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 유연성의 역할" 한양대학교 2007
9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6
10 노충래,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2) : 127-160, 2006
1 Zeilfelder,Eunsook Lee,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양서원 2007
2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37-157, 2006
3 김주희,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피해 유형과 정서 행동문제 및 사회능력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2005
4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15-408, 2003
5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6 박명순, "초등학교 아동의 인터넷 몰입과 사회능력 및 행동 발달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13-327, 2004
7 이명자,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의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 14 (14): 51-60, 2006
8 이해리,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 유연성의 역할" 한양대학교 2007
9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6
10 노충래,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2) : 127-160, 2006
11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1998
12 윤은희, "미술치료프로그램 활용이 비행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2002
13 노충래, "로즈버그의 자긍심척도와 집단 자긍심 척도를 활용한 교포청소년의 심리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 10 : 107-135, 2000
14 김교정, "다문화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8 (8): 272-285, 2008
15 박경동,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7
16 조혜영,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ㆍ학생의 수용성 연구. in: 한국여성정책연구원ㆍ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7 박순희, "다문화가족 자녀의 적응유연성 연구" 동신대학교 2009
18 박순희,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7) : 53-76, 2008
19 정하성,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방안. 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20 금명자, "다문화가정 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 아름기획 2006
21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지원 방안 연구"
22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23 이영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2007
24 정하성, "다문화 청소년이해론" 양서원 2007
25 양순미, "농촌지역 다문화가족의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족생활행복에 작용하는 요인"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559-576, 2007
26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27 이순형, "농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적응문제" 13-28, 2007
28 박옥임, "농촌 다문화가족의 복지" 29-47, 2007
29 안은미, "농어촌 국제결혼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30 장온정,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7
31 박순희,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18 : 135-152, 2008
32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3 행정안전부, "결혼이민자 자녀의 연령별 현황"
34 유한규, "가출청소년을 위한 집단 놀이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02
35 Garmezy,N,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 Studying lives through tim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7-397, 1993
36 Erikson,E.H, "The life cycle completed: Review" Norton 1982
37 Kim,K., "Relationship of maternal employment status and support for resilience with child resilience among korean immigrant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141 : 41-60, 1998
38 Miller,D.B., "Promoting resilience in urban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Racial socialization and identity as protective factors" 23 : 159-170, 1999
39 오경자, "K-YSR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 중앙적성연구소 2001
40 Kirchler,E., "Developmental tasks and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nd family. In Adolescence and its social world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41 Masten,A.S., "Competence and resilience in development"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27, 2006
42 Chesebro,J.W.,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perceive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at-risk students" 41 : 945-360, 1992
43 Olsson,C.A.,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26 : 1-11, 2003
44 Borman,G.D., "Academic resilience in mathematics among poor and minority student" 104 (104): 177-193, 2004
45 Hunter,A.J,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16 (16): 172-179, 2001
초등학생 대상 한 부모가족에 대한 반 편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아동복지론 교과목의 개발과 효과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5 | 2.11 | 2.512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