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미라,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발문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5 (5): 137-156, 2010
2 Torrance, E. P., "토랜스의 창의성과 교육" 학지사 2005
3 이종연,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4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 창의성은 언제, 어디서 무엇에 의해, 어떻게 발현되는가" 쌤앤파커스 2011
6 임선하, "창의성에 초대" 교보문고 1993
7 김재은, "창의성과 감성교육" 창지사 2012
8 한순미, "창의성-사람ㆍ환경ㆍ전략" 학지사 2004
9 박숙희,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5) : 151-170, 2008
10 김호, "창의성 교육이 예비유아교사들의 확산적 사고 및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27-145, 2008
11 전경원,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6
12 정범모, "창의력이란-그 실체와 육성" 교육과학사 2001
13 Osborn, A. F.,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육" 교육과학사 1984
1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15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16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05
17 강승호, "중등학교 창의성 교육의 실태, 문제점 및 발전방향" 14 (14): 71-107, 2001
18 정은이,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9 김호, "유치원 교사의 수업화법과 유아의 언어능력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11-326, 2014
20 김은실,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지원 실행연구 : 과학활동에서의 교사발문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1 김호,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55-278, 2007
22 서현아,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인식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5 (5): 109-121, 2001
23 문미옥,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수행 분석 연구" 20 (20): 223-242, 2000
24 김성숙, "유아교육의 텍스트로서 교수매체의 창의적 융합에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83-305, 2013
25 전경원, "유아교육에서의 창의성 개발 방안: 교사들에게 ‘행복한 창의성 교육’" 27-41, 2010
26 이혜영,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사고양식 및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수행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7 김용성,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관련 배경변인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28 박상희, "유아교사의 창의성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165-185, 2005
29 이춘복, "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73-195, 2015
30 장영숙,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인식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53-74, 2005
31 박옥자,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32 김호,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도 실태" 32 (32): 109-129, 2012
33 권윤경,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인식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4 황정숙,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35 손수연,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교육실습경험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한국보육학회 14 (14): 59-81, 2014
36 박나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경험을 통한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59-178, 2012
37 김경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경험에의 개방성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18, 2011
38 황윤세,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47-259, 2005
39 김호,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인 저널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05-227, 2009
40 윤정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39-261, 2010
41 남미경, "예비보육교사의 창의성에 따른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및 일반적 교사역할인식의 차이" 16 (16): 129-143, 2007
42 박나운, "예비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업 경험을 통한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43 성은현, "예비 유아교사의 내외통제성,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31-52, 2005
44 전경원, "엄마가 키워주는 창의력이 공부력이다" 아주 좋은날 2009
45 배효정,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6 김예경, "신매체 예술, 경계를 넘어서" 한국영상문화학회 (17) : 219-254, 2011
47 전경원,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유아 창의성 교육" 정민사 2012
48 Root-Bernstein, R.,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49 최은영, "사설기관의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0 김재춘, "들뢰즈 감성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차이와 반복』의 ‘강도’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9, 2012
51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학문사 2000
52 조주관, "기술매체 시대의 텍스트와 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39-63, 2012
53 조연순,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2 (22): 333-352, 2012
54 박은숙,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교사 발문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5 정혜영,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173-199, 2013
56 박찬옥, "교수-학습과정의 역동적 평가를 통한 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5-31, 2006
57 노영희,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3-44, 2006
58 박창동,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학습관에 따른 초등교사의 발문 유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9 Williams, G., "Towards lifelong education : A new role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Unesco 1977
60 Torrance, E. P.,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 and technical manual"
61 Hennessey, B. A.,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2 Lilly, F. R., "The dynamics of creative teaching" 38 (38): 102-124, 2004
63 Denzin, N. K.,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1-32, 2005
64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Allyn & Bacon 2007
65 Cropley, A. J. & Urban, K. K.,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481-494, 2000
66 Dawson, V., "In search of the wild bohemian : Challenge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reatively gifted" 19 (19): 148-152, 1997
67 Hayes, J. R.,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8 Feldman, D. H., "Handbook of Creativity" 169-186, 1999
69 Clark, B., "Growing up gifted" Merrill 1988
70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 CEF Press 1989
71 Plucker, J. A., "Generalization of creativity across domains: Examination of the method effect hypothesis" 38 : 1-12, 2004
72 Cheunt, C. K., "Enhancement of creativity through a one semester course in university" 40 (40): 1-25, 2006
73 Torrance, E. P.,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63
74 Marshall, G.,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Sage 1989
75 Cropley, A. J.,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iors" Kogan Page 2001
76 Weisberg, R. W., "Creativity : Genius and other myths" Freeman 1986
77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Collins 1996
78 Guilford, J. P., "Creativity" 5 (5): 444-454, 1950
79 Joyce, B., "Contemporary issues in curriculum" Allyn & Bacon 329-335, 2003
80 조형숙, "Bernstein 생각의 도구를 활용한 창의성 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247-276, 2014
81 Sternberg, R. J.,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 1-31, 1999
82 Shaw. J. M., "A model for training teacher to encourage thinking in young children" 20 (20): 81-87, 1986
83 이경화,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47-160, 2002
84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 해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