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탈중심화,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CT-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of the Socia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3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에게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탈중심화, 자아탄력성 및 직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 소재 5개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 중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실험집단에게 2018년 2월 3일부터 3월 24일까지 주 1회 80분씩 총 8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탈중심화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 및 직무 스트레스 대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모수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사의 탈중심화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직무 스트레스 대처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에게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탈중심화, 자아탄력성 및 직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 소재 5개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에게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탈중심화, 자아탄력성 및 직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 소재 5개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 중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실험집단에게 2018년 2월 3일부터 3월 24일까지 주 1회 80분씩 총 8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탈중심화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 및 직무 스트레스 대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모수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사의 탈중심화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AC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직무 스트레스 대처 점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A total of 16 social welfare workers from fiv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B city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for 80 minutes per week from February 3rd to March 24th, 2018. Eight social welfare work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eight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wo groups'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scores were measured by pre-post tests and compared by nonparametric test using the SPSS 23.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ACT-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scores of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of the social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A total of 16 social welfare workers from fiv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B city were recruite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A total of 16 social welfare workers from fiv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B city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for 80 minutes per week from February 3rd to March 24th, 2018. Eight social welfare work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eight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wo groups'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scores were measured by pre-post tests and compared by nonparametric test using the SPSS 23.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ACT-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scores of decentering,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coping of the social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미선,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시설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2 김빛나,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4 비즈트리뷴, "창원 한 아파트서 신입 사회복지사 투신"

      5 이승정,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9

      6 김정은,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 (6): 187-213, 2013

      7 정혜경, "직무 스트레스 대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ACT 개념을 토대로" 광운대학교 2016

      8 심용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 연구" 청주대학교 2015

      9 홍은선, "중년 여성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탈중심화, 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587-611, 2016

      10 주옥남, "정신보건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114-143, 2014

      1 차미선,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시설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2 김빛나,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4 비즈트리뷴, "창원 한 아파트서 신입 사회복지사 투신"

      5 이승정, "집단미술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9

      6 김정은,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 (6): 187-213, 2013

      7 정혜경, "직무 스트레스 대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ACT 개념을 토대로" 광운대학교 2016

      8 심용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 연구" 청주대학교 2015

      9 홍은선, "중년 여성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탈중심화, 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587-611, 2016

      10 주옥남, "정신보건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114-143, 2014

      11 이항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우울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4 (44): 48-75, 2016

      12 나동석,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8

      13 박보미,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14 강문주,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15 이윤선, "요가심신치료가 사회복지사의 건강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혼합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16 김인구, "심리적 수용과 직무스트레스 : 직장인용 ACT프로그램 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17 문현미,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8 노푸른,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제 및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19 최혁재,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대졸 신입사원의 분노반추, 직무소진 및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2017

      20 Luoma, J. B., "수용전념치료 배우기" 학지사 2012

      21 문임숙, "수용-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임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16 (16): 85-102, 2013

      22 정창훈, "서울특별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23 장경은,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일선 사회복지사와 관리직 사회복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23 (23): 1-23, 2013

      24 손영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공공·민간부문 비교" 경북대학교 2015

      25 고재욱,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9) : 65-94, 2013

      26 최현민,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2018

      27 김혜진,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63-195, 2014

      28 이화연,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29 김여민, "노래심리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2017

      30 최영미, "낙관성증진 프로그램이 학교폭력피해 고등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1 최지형,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금융종사자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2015

      32 성연옥, "감정노동의 개념화 및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KNU 기업경영연구소 4 (4): 63-85, 2013

      33 임지영,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한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4 Sedlmeier, P.,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meditation: A meta-analysis" 138 (138): 1139-1171, 2012

      35 Hayes, S. C., "The impact of acceptance versus control rationales on pain tolerance" 49 (49): 33-47, 1999

      36 Chambers, R., "Mindful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29 (29): 560-572, 2009

      37 Wharton, A. S., "Managing emotions on the job and at home: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multiple emotional roles" 18 (18): 457-486, 1993

      38 Fresco, D. M.,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xperiences questionnair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decentering" 38 (38): 234-246, 2007

      39 Sayers, W. M., "Handbook of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Springer 9-22, 2015

      40 ATSUSHI OSHIO, "Development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35 : 57-65, 2002

      41 Alberts, H. J., "Dealing efficiently with emotions: Acceptance-based coping with negative emotions requires fewer resources than suppression" 26 (26): 863-870, 2012

      42 Salovey, P., "Coping: The psychology of What 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141-164, 1999

      43 Hayes, S. 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44 (44): 1-25, 2006

      44 전민아, "ACT를 기반으로 한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

      45 Marcks, B. A., "A comparison of thought suppression to an acceptance-based technique in the management of personal intrusive thoughts: A controlled evaluation" 43 (43): 433-445, 2005

      46 프레시안, "1년 간 4명의 사회복지사 자살, 출구는 없는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