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영재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0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verify the magnitude of effects of a study on mathematical gifted programs by carrying out a meta-analysis. For research, 21 researches and 48 effect sizes based on the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9 in Korea,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R.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of the Mathematics gifted program was 0.7, which is a middl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rogram type variable which is the control variable, the project type program had the highest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is greater in the cognitive domain than the affective domain of the gif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atistical and objective analysis of the math program for the gifted, and will be valid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verify the magnitude of effects of a study on mathematical gifted programs by carrying out a meta-analysis. For research, 21 researches and 48 effect sizes based on the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verify the magnitude of effects of a study on mathematical gifted programs by carrying out a meta-analysis. For research, 21 researches and 48 effect sizes based on the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9 in Korea,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R.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of the Mathematics gifted program was 0.7, which is a middl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rogram type variable which is the control variable, the project type program had the highest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is greater in the cognitive domain than the affective domain of the gif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atistical and objective analysis of the math program for the gifted, and will be valid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통해 수학영재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국내에서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연구된 국내의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를 바탕으로 PRISMA에 의한 21개의 단일집단연구와 48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R을 통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영재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는 .7로 중간 효과 크기에서 높은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변인인 프로그램 유형변인에 따라서는 주제탐구 프로젝트형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 크기가 높았으며. 종속변인인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영재의 정의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에 더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영역에서는 창의성 발달에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는 수학적 성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재를 대상으로 한 수학영재 프로그램을 통계적·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적절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통해 수학영재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국내에서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연구...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통해 수학영재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국내에서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연구된 국내의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를 바탕으로 PRISMA에 의한 21개의 단일집단연구와 48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R을 통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영재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는 .7로 중간 효과 크기에서 높은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변인인 프로그램 유형변인에 따라서는 주제탐구 프로젝트형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 크기가 높았으며. 종속변인인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영재의 정의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에 더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영역에서는 창의성 발달에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는 수학적 성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재를 대상으로 한 수학영재 프로그램을 통계적·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적절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현, "합리적 의사결정을 강조한 수학영재교육프로그램이 초등수학영재의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2 정민수, "프로젝트 학습이 영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12 (12): 69-91, 2013

      3 이신동,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4 정예진, "컴퓨팅 사고력을 활용한 수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 영재 학생의융합적 사고력 및 협업 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5 김한나, "초등학교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영재아동의 비인지적 특성 변화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임대욱, "초등 영재들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프로그램 개발과 수학적 창의성 및 융합인재역량의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7 김우진,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D-Frame 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홍은자, "초등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9 (9): 65-84, 2005

      9 신민철, "체육 텍스트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수학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8 (8): 67-81, 2016

      10 최성택, "차원을 주제로 한 기하탐구프로그램을 통한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의 창의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1 김영현, "합리적 의사결정을 강조한 수학영재교육프로그램이 초등수학영재의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2 정민수, "프로젝트 학습이 영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재교육학회 12 (12): 69-91, 2013

      3 이신동,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4 정예진, "컴퓨팅 사고력을 활용한 수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 영재 학생의융합적 사고력 및 협업 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5 김한나, "초등학교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영재아동의 비인지적 특성 변화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임대욱, "초등 영재들을 위한 보드게임 활용 프로그램 개발과 수학적 창의성 및 융합인재역량의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7 김우진,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D-Frame 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홍은자, "초등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9 (9): 65-84, 2005

      9 신민철, "체육 텍스트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수학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8 (8): 67-81, 2016

      10 최성택, "차원을 주제로 한 기하탐구프로그램을 통한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의 창의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11 김선희,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113-124, 2005

      12 장문경, "중등 수학영재를 위한 공간시각화 활동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2015

      13 이재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8, 2016

      14 안순희, "영재학급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수학적 학습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 조현수,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초등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6 전경남,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문제연구소 (45) : 115-139, 2012

      17 강충렬,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173-198, 2015

      18 윤수미,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9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20 이은경, "실생활 예를 활용한 수학 기반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1 이명숙, "스토리텔링 활용 STEAM 프로그램이 과학적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22 배아완, "수학적 유망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 초등 수학 영재학급용 프로그램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김진희, "수학영재학생의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4 조윤희, "수학영재 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5 한영실, "수학영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중학교 수학동아리활동 후 수학적 자기효능감, 흥미도 및 태도의 변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6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27 박정윤, "수학 중심 STEAM 교육이 초등영재학생의 창의성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28 김용직, "수학 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 연산 게임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29 서정희, "수학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프로그램이 영재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0 양윤정,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진로지향도 및 STEAM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7 (27): 607-629, 2017

      31 문은혜, "비형식적 통계추론 활동이 초등수학 영재학급 학생의 수학적 창의성 및 태도에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32 조선미,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재학회 24 (24): 45-61, 2014

      33 신영애, "방과후학교 수학영재학급 참여 경험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4 이정희, "방과후학교 수학 프로그램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35 최성이, "민주시민의식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1 (21): 415-441, 2017

      36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37 한기순,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114-135, 2006

      38 한국교육개발원, "국가 영재교육프로그램 기준: 초-중학교 수학" 2017

      39 신문승,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이 영재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7 (17): 5-24, 2018

      40 한기순, "과학영재교육원 효과성에 관한 진단과 분석" 교육연구소 9 (9): 273-297, 2008

      41 김미숙,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2 김태미, "STEAM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중등 수학 영재의 창의성 변화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43 황성동, "R을 이용한 메타분석" 학지사 2016

      44 Cohen, H.,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 Inc 2010

      45 R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46 Glass, G. V.,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10 : 3-8, 1976

      47 Moher. D.,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62 : e1-e34, 2009

      48 NAGC, "Pre-K-Grade 12 gifted programming standard"

      49 VanTassel-Baska, J., "Perspectives on evaluation : Local considerations" 11 : 118-128, 1997

      50 Vaughn, V. L., "Meta-analyses and review of research on pull-out programs in gifted education" 35 : 92-98, 1991

      51 권윤신,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들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2 이정훈, "EPL을 활용한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각도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53 VanTassel-Baska, J, "Developing scope and sequence in curriculum for the gifted learner: A comprehensive approach(Part 1)" 11 (11): 2-7, 1988

      54 Higgins, J.,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 (5.1 vers.)"

      55 Kulik, J. A., "An analysis of the research on ability grouping: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rcives"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University of Connecticut 1992

      56 Kulik. J. A., "A nation deceived: How schools hold back america’s brightest students Vol. 2" The University of Iowa, The Connie Belin & Jacqueline N. Blank International Center for Gifted Education and Talent Developement 13-22, 2004

      57 이주용, "4D 프레임 활용 학습이 초등 수학영재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