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1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국내 석사와 박사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관련 논문 42편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관련 논문은 2011년부터 발간되어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에서의 주 연구 대상은 만5세였고,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으로는 그림책을 읽고 다양한 교수 활동 및 방법을 진행함으로써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유아의 사회 및 정서적 기능에 있어서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밝히고 있었다. 그림책에 있어서는 인성교육의 덕목중 배려가 포함된 그림책이, 인성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장르로는 환상 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의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국내 석사와 박사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그림책을...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국내 석사와 박사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성교육 관련 논문 42편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 관련 논문은 2011년부터 발간되어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에서의 주 연구 대상은 만5세였고,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으로는 그림책을 읽고 다양한 교수 활동 및 방법을 진행함으로써 인성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유아의 사회 및 정서적 기능에 있어서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밝히고 있었다. 그림책에 있어서는 인성교육의 덕목중 배려가 포함된 그림책이, 인성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장르로는 환상 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의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2 Korean academic theses for master‘s, Phd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lated to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ses o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1 and are gradually increasing. Secondly, the main targets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were 5 year olds. Th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studies where reading picture books and various teaching activities and methods were conducted to se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is mainly focused on revealing th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s. Most picture books included caring as one of themes of character education virtue and fantasy picture books were the most common genre of picture book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oundation to fi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2 Korean academic theses for master‘s, Phd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la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2 Korean academic theses for master‘s, Phd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lated to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ses o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1 and are gradually increasing. Secondly, the main targets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were 5 year olds. Th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studies where reading picture books and various teaching activities and methods were conducted to se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is mainly focused on revealing th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s. Most picture books included caring as one of themes of character education virtue and fantasy picture books were the most common genre of picture book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oundation to fi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경,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양서원 2004

      2 姜銀珍,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 소집단 그림책 읽기활동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7

      3 최상은,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남, 여 유아의 언어반응"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김은설,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5 장경은, "포스트모던 관점을 통한 한국의 유아 인성교육 담론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 1-20, 2013

      6 최영해, "인성덕목 관련 가정연계 그림책 대여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29-248, 2014

      7 손봉호,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10-24, 2010

      8 손경원, "인성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97-133, 2016

      9 김순환, "인성교육에 대한 유·초등 교사의 신념"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19-146, 2015

      10 최예솔, "인성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89-517, 2016

      1 이민경,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양서원 2004

      2 姜銀珍,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 소집단 그림책 읽기활동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7

      3 최상은,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남, 여 유아의 언어반응"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김은설,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5 장경은, "포스트모던 관점을 통한 한국의 유아 인성교육 담론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 1-20, 2013

      6 최영해, "인성덕목 관련 가정연계 그림책 대여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29-248, 2014

      7 손봉호,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10-24, 2010

      8 손경원, "인성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97-133, 2016

      9 김순환, "인성교육에 대한 유·초등 교사의 신념"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19-146, 2015

      10 최예솔, "인성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89-517, 2016

      11 윤옥한,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KCI 학회지(2010-2015) 논문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23, 2016

      12 권영심, "인성교육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김수혜,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14 지미정, "인성 그림책 활동이 만2세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5

      15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1

      16 김영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7-324, 2009

      17 강신옥, "유아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실행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43-268, 2016

      18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경향" 대한사고개발학회 10 (10): 87-103, 2014

      19 이대균,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에 대한 분석" 2 (2): 93-108, 2001

      20 유영의, "유아문학 연구의 동향 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1982-2010)"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07-130, 2012

      21 이대균, "유아문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1995년~2003년을 중심으로-" 5 (5): 105-124, 2004

      22 백경순,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관련학회 학술지」와「어린이문학전문 학술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177-199, 2009

      23 나은숙,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인성교육 경향 분석-베스트셀러 그림책을 중심으로" 1 (1): 53-77, 2014

      24 김향미,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 덕목에 관한 연구" 7 (7): 55-84, 2015

      25 유수경,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3-314, 2009

      26 손은경, "유아교사의 인성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의 인식 및 실태"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915-8926, 2015

      27 김치곤,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05-333, 2013

      28 정희영,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77-296, 2012

      29 박균섭, "유교의 인성교육론: 공자의 경우와 성리학의 관점" 한국교육사상학회 25 (25): 59-77, 2011

      30 서의정, "예비유아교사의 자기 인성 및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29-52, 2016

      31 이은영,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33-455, 2013

      32 최애경, "영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인성 관련 그림책 지도에 대한 실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33 고문숙, "아동문학교육" 양서원 2007

      34 이춘희, "아동문학교육" 태영출판사 2010

      35 남성희, "아동·청소년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경향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9-158, 2013

      36 이은해,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6

      37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 방안" 교육부 1995

      38 김미라, "소학(小學)을 통해 본 유아 인성교육 학습모형 도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11-234, 2011

      39 김양선,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40 박성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41-368, 2011

      41 이보영,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149-171, 2015

      42 이미식, "배려의 윤리(Ethic of Ca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인성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109-129, 2003

      43 김규수, "미래사회의 주역, 어린이 그리고 인성교육: 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Ⅱ" 45-57, 2011

      44 김성미,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239-260, 2015

      45 남궁달화, "도덕교육의 개념과 과제" 2 : 27-40, 2001

      46 김정원, "누리과정에 근거한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27-249, 2014

      47 현은자, "그림책의 그림읽기" 마루벌 2004

      48 서정숙,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양상과 문제점" 1 (1): 99-113, 2000

      49 김영미,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231-247, 2015

      50 김미정,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행동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대학원 2013

      51 김민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 교육 관련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43-63, 2011

      52 이지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47-67, 2012

      53 박찬옥,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221-244, 2012

      54 서정숙, "그림책 장르별 만 3세 유아의 반응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23, 2014

      55 윤진주,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7-66, 2009

      56 신현숙, "그림이야기 장르에 따른 만3세와 5세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7 송미선,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17, 2012

      58 류혜숙, "교육연한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93-116, 2010

      59 김석우,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07

      60 박현진, "공존지향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61 국립국어원, "개정표준국어대사전"

      62 정희영, "가정연계 인성덕목관련 그림책 대여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질서, 나눔, 존중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1-20, 2015

      63 이현아, "가정내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역할 지원 방안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65-82, 2013

      64 모용희,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도덕적 판단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65 Routman, R., "Transitions: from literature to literacy"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98

      66 Bettleheim, B., "The uses enchantment: meaning and importance of fairy tale"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76

      67 Paley, V. G., "The boy who would be a helicopter: the uses of storytelling in the kindergarte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68 Zeece, P. D., "Supporting children'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literature choices that make a difference" 27 (27): 239-242, 2009

      69 Haskins, C., "Power picture books: tools for teaching peace" 20 (20): 32-37, 2008

      70 Owens, W.T., "More than just pictures: using picture story books to broaden young learners' social consciousness" 92 (92): 33-40, 2001

      71 Gutzwiller‐Helfenfinger, E., "Moral emotions and moral judgments in children's narratives: comparing real‐life and hypothetical transgressions" 129 : 11-31, 2010

      72 Burke, E. M., "Literature for the young children" Allyn and Bacon 1990

      73 Russell, D. L., "Literature for Children: a short introduction" Longman 1991

      74 Helterbran, V. R., "Linking character education and global understanding through children's picture books" 45 (45): 69-73, 2009

      75 Young, T. A., "International children's trade books: Building blocks for character education" 89 (89): 379-386, 2013

      76 O'Sullivan, S., "Books to live by: Using children's literature for character education" 57 (57): 640-645, 2004

      77 Anderson, K., "A school of fish: A lesson in character development" 12 (12): 27-32, 2000

      78 Tunks, K.W., "A feeling for books: using literature to promot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25 (25): 14-19, 2013

      79 Lukens, R. J., "A critical handbook of children's literature" DIANE Publishing 1998

      80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해설서"

      81 최민수, "3-5세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아 인성교육 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1-3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