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문제를 지닌 ADHD 성향 아동들의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for depression problem with ADHD-prone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7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program for ADHD-prone children with depressive problem and to evaluate its effects. ADHD symptoms leads to several secondary difficulty. Current treatments for ADHD have focused on ADHD children with externalizing problems. However many ADHD children have depression, anxiety and other internalizing problem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new treatment for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low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CBT program was developed and used to decrease ADHD symptoms, a level of depression and improve a level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t is used to help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into their family, schools and other various environment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23 children who are qualified for Korea ADHD Rating Scale were selected. The treatment group(n=9) were treated with a CBT program while the attention placebo control group(n=6) had various art activities and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n=8)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at all. Total twelve terms of the CBT program and the ar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and each term took an hou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HD symptoms of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attention placebo and no-treatment control groups. Second,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treatment group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attention placebo and no-treatment control groups. Third,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ve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but not in the two control groups. The study reveals that the CBT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ADHD-prone children with depressive probl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program for ADHD-prone children with depressive problem and to evaluate its effects. ADHD symptoms leads to several secondary difficulty. Current treatments for ADHD have foc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program for ADHD-prone children with depressive problem and to evaluate its effects. ADHD symptoms leads to several secondary difficulty. Current treatments for ADHD have focused on ADHD children with externalizing problems. However many ADHD children have depression, anxiety and other internalizing problem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new treatment for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low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CBT program was developed and used to decrease ADHD symptoms, a level of depression and improve a level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t is used to help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into their family, schools and other various environment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23 children who are qualified for Korea ADHD Rating Scale were selected. The treatment group(n=9) were treated with a CBT program while the attention placebo control group(n=6) had various art activities and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n=8)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at all. Total twelve terms of the CBT program and the ar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and each term took an hou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HD symptoms of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attention placebo and no-treatment control groups. Second,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treatment group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attention placebo and no-treatment control groups. Third,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ve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but not in the two control groups. The study reveals that the CBT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ADHD-prone children with depressive probl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조수철,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29 (29): 943-956, 1990

      3 장수진, "한국어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의 부모용 규준연구"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18 (18): 38-48, 2007

      4 이현수, "치료심리학" 대왕사 1998

      5 최진오,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ADHD성향, 사회기술수준과 정서적 문제간의 관계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20, 2011

      6 박진아,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과 우울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7 김옥정, "주의력결함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후에 따른 치료효과 비교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8 신지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ROS-Methylphenidate의 처방현황과 효능 및 부모 인식: 4주 동안의 다기관 관찰 연구" 대한정신약물학회 18 (18): 50-59, 2007

      9 김지혜,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아동의 진단도구로서 부모용 행동 평가지의 타당도 연구" 11 (11): 282-289, 2002

      10 이명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중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87-103, 2008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03

      2 조수철,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29 (29): 943-956, 1990

      3 장수진, "한국어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의 부모용 규준연구"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18 (18): 38-48, 2007

      4 이현수, "치료심리학" 대왕사 1998

      5 최진오,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ADHD성향, 사회기술수준과 정서적 문제간의 관계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20, 2011

      6 박진아,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과 우울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7 김옥정, "주의력결함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후에 따른 치료효과 비교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8 신지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ROS-Methylphenidate의 처방현황과 효능 및 부모 인식: 4주 동안의 다기관 관찰 연구" 대한정신약물학회 18 (18): 50-59, 2007

      9 김지혜,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아동의 진단도구로서 부모용 행동 평가지의 타당도 연구" 11 (11): 282-289, 2002

      10 이명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중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87-103, 2008

      11 신민영,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 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903-916, 2005

      12 이명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유형에 따른 행동특성과 주의기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3 오경자,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증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활용" 8 (8): 135-142, 1989

      14 최진오, "주의결핍/과잉행동성장애(ADHD)의 뇌과학적 기재와 교육중재방안" 한국학습장애학회 5 (5): 23-42, 2008

      15 정귀옥, "종이접기 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집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고영임, "정서 및 행동장애를 공존질환으로 갖은 ADHD 아동의 개인 인지행동접근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17 Bandura, A.,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과학사 1997

      18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9 심성희, "인지적 행동수정이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장애(ADHD)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1999

      20 원호택, "이상심리학" 법문사 2000

      21 박은정, "아동 우울 예방을 위한 인지 행동 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5

      22 배주미,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인지변인의 지속성과 상호예측 : 18개월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3 조혜나, "소리내어 생각하기'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문제행동 및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19-38, 2007

      24 배금예, "로샤검사에서 나타난 ADHD 아동의 심리적 특성"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1 (21): 45-69, 2005

      25 이주영, "내재화 문제를 지닌 ADHD 아동의 집단 심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6 국민일보, "교육. 희망을 말하다-2부 위기 극복을 향한 도전들 ⑩ 학습부진 교육 실험과 실태"

      27 Chronis-Tuscano A, "Very early predictors of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67 : 2010

      28 Camp, B. W., "Think aloud : Increasing social and cognitive skills—A problem-solving program for children" Research Press 1981

      29 Paul Stallard, "Think Good-Feel Good, In 좋은 생각 좋은 느낌(소아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여문각 2007

      30 두정훈, "Think Aloud 훈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31 오현경, "Think Aloud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06

      32 Taylor, J., "The three faces of self- esteem (Research Bulletin No. 80)"

      33 Reynolds, W. M., "The study of internalizing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Internalizing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ley 1992

      34 August G. J., "The Nosolog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32 (32): 1993

      35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man 1967

      36 Swanson, J. M., "Stimulant medi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HD, In Advances in clicinal child psychology" Plenum Press 365-322, 1995

      37 Higgins, R. L., "Self-handicapping : The paradox that isn't" Plenum 1990

      38 Holahan, C. K., "Self-efficacy, sor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aging : A longitudinal analysis" 42 : 65-68, 1987

      39 Rosenberg, M., "Self-control behavior in hyperactivity and nonhyperactivity children" 8 : 1984

      40 William, R. B., "Prevention of Childhood Depression: Recent Findings and Future Prospects" 48 : 2001

      41 Mitchell, J., "Phenomenology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7 : 1988

      42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28): 1993

      43 Hoza, B., "Peer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DHD" 32 (32): 2007

      44 DuPaul, G. J.,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HD symptoms :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20 (20): 1991

      45 Goyette, C. H.,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6 (6): 1978

      46 박난숙, "Methylphenid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11 (11): 235-248, 1992

      47 Lewinsohn, P. M., "Major depression in community adolescents : age at onset, episode duration, and time to recurrence" 33 : 1994

      48 Malone, M. A.,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Impulsive Respond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8 (8): 1993

      49 Biederman, J.,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conduct, depressive, anxiety, and other disorder" 148 (148): 1991

      50 Jensen, P. S., "Comorbidity in ADHD : Implications for Research, Practice, and DSM-V" 36 (36): 1997

      51 Kendall, P. C., "Cognitive deficit or cognitive distortion in childhood depression" 18 : 1990

      52 Lodge, J., "Children’s self-talk under conditions of mild anxiety" 12 (12): 1998

      53 Barkley, R. A.,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121 : 1997

      54 Gresham, F. M., "Behavioral disorder assessment: Conceptual, definitional, and practical issues" 14 (14): 1985

      55 Smith, B. 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ssessment of Childhood Disorders(4th)" Guilford Publications 2009

      56 Barkley, R. A.,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lford 2006

      57 Mash, E. J., "Abnormal Child Psychology" 시그마프레스 2001

      58 이미아,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간의 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7-35, 2008

      59 Modesto-Lowe, V., "ADHD: Does parenting style matter?" 47 (47): 2008

      60 조영경, "ADHD 학업수행평가를 위한 학업수행 평가척도(K-APRS) 부모용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173-1189, 2009

      61 김평선, "ADHD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62 배은경, "ADHD 성향 아동, 부모, 교사를 위한 학교 현장 인지행동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1 (41): 169-198, 2013

      63 Barkley, R. A., "ADHD and the nature of self-control" Guilford 1997

      64 Rabiner, D., "ADHD Children and Depression"

      65 McGrath, E. P.,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self-perceptions, and cognitive distortions about the self" 111 (11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72 1.07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