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일본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지원정책의 운영체제를 비교 분석하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57325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2017. 2
2017
한국어
서울
Comparative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policy for the support of family and children of prisoners and released prisoners
iv, 153 p. : 표 ; 30 cm
지도교수: 이동훈
부록: 1. 미국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 지원 프로그램, 2. 미국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 3. 영국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 지원 프로그램 외 수록
참고문헌: p. 88-9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일본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지원정책의 운영체제를 비교 분석하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일본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지원정책의 운영체제를 비교 분석하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길버트와 테렐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급여체계, 할당체계, 전달체계, 재정체계를 범주로 분석하였다. 국내외 학위논문, 학술지, 보도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정부 및 관련부처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자료검색을 이용한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국내외 정책 비교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6개 국가 중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에게 물질적 지원, 심리ㆍ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구부분 프로그램과 여성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이 비교 국가 중 가장 우수하였다. 영국의 경우, 물질적 지원으로 현금과 기회가 있었으며, 심리ㆍ정서적 지원은 상담, 접촉 그리고 체포 후 자녀보호 프로그램으로 고루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독일은 사회복지제도가 안정적으로 정립되어 있는 나라로서 수용자와 가족이 제공받을 수 있는 금전적 현금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반면, 이에 비해 여성수용자나 출소자와 가족 및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는 본 연구에서 다른 국가들과 다르게 수용자 가족 및 자녀지원단체인 ‘샤인포키즈’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샤인포키즈’는 장기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단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비교국가 중 수용자와 출소자 가족 및 자녀에 대한 지원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정부차원, 민간차원의 보다 활발한 역할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한국은 물질적 지원, 심리ㆍ정서적 지원 모두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었으나, 여성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부족했으며, 정확하고 체계적인 연구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의 수용자와 출소자의 가족 및 자녀를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