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 영향요인 분석

        이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국제화가 심화되고 고등교육의 국제적인 교류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유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대학 학력의 보편화로 인해 석사와 석사 이상 학력의 사람은 직장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고,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래서 대학원 졸업한 후에 대학원 입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내에서 '대학원 진학 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한국으로 온 대학원 지망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정책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은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학원 진학계획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 한국 대학원으로 진학할 계획을 살펴본다. 진학 계획이 있는지, 영향요인이 어떻게 되는지, 각 요인의 영향력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따른 독립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서울 4년제 대학교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6개의 4년제 종합 대학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다. 설문지를 만들어 셀프조사연구 소프트웨어 “問卷星”( www.wjx.cn) 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10월 18일~11월 16일까지 총 47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응답을 완성하지 않은 경우와 표 집단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 46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전공, 부모의 기대와 학교생활 만족도는 진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체능, 사범계열 등 계열의 중국인 대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이공 계열의 학생보다 한국 대학원 진학을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부모의 자녀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중국인 가정에서 부모의 의견은 여전히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준다. 학교생활의 만족도도 중국인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진학 계획이 있는 학생과 진학 계획이 없는 학생 간에 교수영역의 만족도, 교육내용의 만족도, 학생활동의 만족도, 학교환경의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epening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more and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In recent years, people with master's and higher degrees can get better treatment at work, and their unemployment rate is lower. Therefo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choosing to enter graduate school is growing.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postgraduate fever” phenomenon in China leading more Chinese students to study in Korea. Chinese government releases the beneficial policies aiming that more students are willing to enter graduate schools. Therefore, gaining a postgraduate degree has become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e plans for Chinese undergraduates at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about going to graduate schools in Korea. Trying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ha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a four-year university who have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nd those who don't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re. Second, what the Influence Factors in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re. Third, in which degree these factors influence the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o solve these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self-researching software 問卷星(www.wjx.c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nese undergraduates who are sophomore and above in six four-year general universities in Seoul. 460 effective respon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8, 2019, and November 16, 201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ho major in the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prefer to have a postgraduate study plan in Korea than those major in th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education. Parents' expectations of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s. The opinions of parents in Chinese families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의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원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on students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and went to Korean graduate schools for master programs after gradu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y experience in Korea, what challenges they face, and how those challenges can be addressed, so as to find ways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their life in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What experiences and challenges do they face as Korean language maj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How do they cope with the challenges? What are their expectations about their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students at 10 graduate schools in Seoul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China and graduated from, or are currently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as masters or master candid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presents its findings in five categories: the differentiation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at Chinese universities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adapting to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he methods for coping with the challenges arising from the adaptation; and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as graduate student. As for the first categor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have three differentiation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they boast higher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an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received formal Korean language training before coming to Korea; and they researched about life in Korea before coming to the country. Secondly, as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their motivations for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can be broken down into several categories: the goal of improving their Korean and achieving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the revitalization of joint progra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difficulties faced by university graduates in the Chinese job market; the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interest in majoring in new areas. Third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face various academic, socio-cultural, and personal/affective challenges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their life at Korean graduate schools. Fourth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cope with the challenges by seeking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aking time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s,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Fifthly,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reported b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included the changes brought on by their life in Korea as graduate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the expectations they had for their life in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ursued deep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graduate students in Korea, at least partially fill the gap in previous literature, and proposes advices to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질적 연구로서 심층 면담을 통해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떤 경험이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을 것인지, 이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해 해결할 수 있는지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효과를 향상하게 시키려는 방법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은 겪는가?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 갖는 기대는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원 석사 과정에 졸업하거나 재학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10개 대학의 대학원생 11명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의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문제, 적응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대처방식,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의 보람이라는 총 5가지의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은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이 있는데 그 차별성이 다른 유학생에 비해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았고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에 대한 대학원 수업에 대비해서 한국 문화를 사전 수강한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한국어 실력 및 학력 향상, 중한 대학 간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중국 내 대학졸업생 취업난 현황 및 한국에서의 언어 환경 그리고 새로운 전공 학습요구 증가함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가 되었다.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학생들이 한국 대학원에 겪는 유학생활의 적응 문제로 크게 학업적, 사회 문화적, 개인-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은 한국 대학원에 유학생활은 적응하면서 여러 가지 적응 문제들을 겪지만 나름대로 대처방식으로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시간을 들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한국 사회의 특징들에 대해 받음과 이해하며 언어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이 가장 보람 있다고 느끼는 것은 크게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서 나타난 변화와 유학생활을 통한 기대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에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전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대학원 유학생활 경력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결함을 다소나마 보완하고 중국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중국 대학원 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서희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원 교육의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대학원의 교육 투자 수익률은 어떠한가? 둘째, 전공별에 따른 교육 투자 수익률은 어떠한가? 셋째, 성별에 따른 교육 투자 수익률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CGSS (중국 종합 사회조사)이다. 중국 종합사회조사는 국제 기준에 따라 2003년부터 매년 중국의 모든 성, 시 및 자치구에서 10,000명 이상의 가구에 대해 연속적인 조사를 실시해 왔다. 교육 투자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 Mincer의 소득 함수를 기반으로 분석모형을 확정하고 OLS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학위 효과, 전공별, 성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의 학위 효과를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는 학위 효과를 엄밀히 분석하여 대학원 학위 소지자가 학사 학위 소지자보다 받는 급여 효과를 한정하여 분석한 후, 분석 범위를 더욱 확대하여 석사, 박사 등 교육 수준별 급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교육 투자 수익률이 같은 집단 내에서 서로 다른 학문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졸업 이상의 남녀 성별 소득 격차를 알아보았다. 위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교육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의 가치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석사 학위의 효과가 실재함을 확인하였다. 중국의 교육 투자 수익률은 교육 투자와 소득 상승 사이에 4.5% 수준의 플러스(+) 선형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대학원 교육을 받은 사람이 받지 않은 사람보다 4.5%의 급여를 더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개인의 교육 투자가 임금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같은 그룹 내에서도 교육 투자 수익률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중국의 대학원 교육은 경제학, 경영학 투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농학은 근무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플러스(+)의 선형 관계를 나타낸다. 셋째,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남성의 투자 수익률이 여성의 투자 수익률보다 훨씬 낮고 여성의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학위 효과가 남성보다 높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투자 수익률에 대한 세 가지 제언을 정리하였다. 교육을 통한 지원과 투자 방향을 결정할 때 성별 차이로 인한 소득 수준과 교육 수준을 좀 더 세심하게 고려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소득 재분배 등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교육 투자는 소득 상승효과를 보인다. 학원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대학원 교육의 정확성을 높이며, 교육 개혁을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 셋째, 대학의 특성화 교육을 유도하고 지역 고등교육 수준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더불어 대학은 사회와 적극적으로 통합하여 교육 및 연구 성과를 실질적으로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Chinese graduate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is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in Chinese graduate schools? Second, what is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by major? Third, what is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CGSS (China Comprehensive Social Survey). Since 2003, the China Comprehensive Social Survey has conducted continuous surveys on more than 10,000 households in all provinces, cities, and autonomous regions of China every year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n order to calculate the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the analysis model was confirmed based on Mincer's income function and estimated through OLS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university degree effect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degree effect was strictly analyzed, and the scope of analysis was further expanded to confirm the benefit effect by education level such a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Secon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duca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within the same group. Finally, the gender income gap between men and women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was investigated.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graduate education expands rapidly, doubts about the value of graduate education are growing, bu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a master's degree is real. China's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shows a positive (+) linear relationship of 4.5% between education investment and income growth. This means that educated people receive 4.5% more salary than those who do not, and it is interpreted that individual investment in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wage increases. Second,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within the same group, and graduate education in China has a relatively high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in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griculture shows a positive (+) linear relationship as the number of years of work increases. Third,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the return on investment for men is much lower than that of women, 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for women, the higher the degree effect than for 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suggestions for the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are summarized. Policy effects such as income redistribution through education can be expected by more carefully considering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due to gender differences whe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support and investment through education.

      • 청소년 메이커와 일반 청소년의 창의적 특성과 정서지능 비교

        정진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창의적 특성과 정서지능이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메이커 활동 여부와 학교급에 따라 창의적 특성과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창의적 특성과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메이커 활동 여부와 학교급에 따라 창의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메이커 활동 여부와 학교급에 따라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메이커 중·고등학생 127명과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생 12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창의적 인성 척도와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상관분석, 이원 분산분석,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전체, 청소년 메이커, 일반 청소년의 창의적 특성과 정서지능의 대부분의 하위요인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인성 총점, 호기심, 위험감수, 사고의 개방성에서 메이커 활동 여부와 학교급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과제집착, 판단의 독자성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청소년 메이커는 일반 청소년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심미성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청소년 메이커와 일반 청소년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정서지능 총점과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메이커 활동 여부와 학교급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서지능 총점, 정서 인식 및 표현, 정서의 사고촉진, 정서 지식의 활용, 정서조절에서 청소년 메이커가 일반 청소년보다 높았으며 감정이입은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eenag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reative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aker 's activity and grade of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regard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enager’s creative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creative traits according to whether the maker is active or not and the grade of school?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depending on whether the maker is active or not and the grade of school? In this study, 127 middle and high school maker teenag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12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used, and creative personality scal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s were used. For analysis of data, the STSS 22.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two-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most of the sub-factors of the entire teenagers, the maker teenagers, and general teenagers. Second, the creative personality total score, curiosity, risk taking, and openness of thinking resul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ker's activities and the grade of school, while the task concentration and independence of judgement showed no interaction effect, but the maker teenagers scored higher than the average teenager. On the other hand, aestheticism showed no interaction effect an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maker teenagers and the average teenagers. Third,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he maker's activities and the grade of school among the total number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ll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aker teenager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teenagers i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the promotion of emotions, the use of emotional knowledge, and the control of emotions were unchanged.

      •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제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due to frequent private information leaks. While these leaks were limited in the past, nowadays,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leaks has rapidly expanded due to online computerized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Moreover, private-sector data protection is governed by many separate individual law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know in what ways their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and what they should do in case of information leakage. The public sector makes as its primary goal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o achieve this goal, there has been an inevitable, growing need for public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private data. The private information held by the public secto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vate sector in that while it is very sensitive, it is still mandatory to provide. For example, if the records of an individual's divorce, medical or crime history were opened to the public, that is not only a clear privacy infringement, but could also result in that individual suffering other hardships such as loss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character defamation. It is for these reasons that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subject to constitutional protection. This paper takes a close look at legislation on the data protection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uggests controversial issues and solu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ata protection laws in the Republic of Korea govern the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separately. Due to this separate system, regulation dispariti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blind spots i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emerge.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n improved regulatory system that govern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gether, as exists in other OECD countries. Secondly, information on the process of obtaining consent for collecting private data and providing that data to a third party is perfunctory – that is, it is merely offered with other general information. When data processing entities request consent from private entities for private data, information on the consent request process and where the personal data provided ends up should be required to be given separately from other general information. Thirdly, current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should be more expanded and rationalized in terms of protection scope and retention period. Data protection for the deceased is needed as well. Computerized private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excluded from subjects to be protected by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included. It is currently up to the heads of organizations holding the privat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etention period of private data. However, the retention period of private data could be a matter of significant importance to the individuals who provided such information. Therefore, the data retention period should be expressly stipulated in a law or private data supervisory authorities should be granted the power to administer and supervise the retention period. Moreover, data protection for the deceased is needed to protect the right of personality of bereaved families. Fourthly, leakage of private data usually entails multiple victims at a time, and the pattern of damage is the same. Therefore,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should include a collec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that would serve to arbitrate conflicts in a timely manner. Lastly, to effectively protect an individual’s private information, the independence of the data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is critical. For this, two options are under discussion: to establish the supervisory authority under the president's direct authority; or to establish it as a central government agenc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a central government agency is also subject to supervision, it is better to establish the supervisory authority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committee under the president's authority. Since the current data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lacks the substantial power to monitor and investigat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so that the supervisory authority is granted the right to monitor, investigate, order suspension of infringement, decide compensation for damage and intervene in a dispute, to ensure that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work effectively in reality. 최근 개인정보보호는 개인정보의 불법 유출 등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은 개인정보를 전산처리하여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의 범위가 넓다. 이러한 현실에도 민간부문은 일반법 없이 분야별로 개별법이 산재되어 있어 수범자는 규범의 준수에 있어 혼란을 느낄 수 있다. 공공부문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민간의 개인정보수집과 다르게 의무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그 정보의 민감성 또한 민간이 보유하는 개인정보 보다 크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이혼․범죄 기록 등이 공개된다면 프라이버시권, 인격권, 재산권, 사회보장수급권 등 다양한 기본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이 개인정보를 헌법적 차원의 보호 대상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 일반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이원적인 개인정보보호법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규율 체계상 불균형은 물론 개인정보보호의 사각지대가 존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입법 모델 중 OECD, EU, 독일 등과 같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모두 규율하는 통합 일반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정보 관리자가 개인정보의 정보수집 등의 동의를 받는 방법은 다른 정보와 함께 개재하는 경우가 많아 형식적인 동의 절차를 통해 개인정보가 수집되고 제3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정보와 구분해서 고지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셋째, 보유기간의 합리화 및 사인(死人)의 개인정보보호가 필요하다. 현행 규정은 개인정보의 목적달성 여부와 보존기간을 보유기관의 장에게 일임하고 있다. 따라서 보존기간의 명문화 또는 개인정보감독기구에 보존기간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사인(死人)의 개인정보보호를 확대하여 사인과 유족의 인격권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넷째,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은 보호대상에서 수기화된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있다. 따라서 전산 처리되지 않은 개인정보도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대상에 포함시켜 개인정보 보호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제정 이후, 현실적인 개인정보보호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감독기구의 독립이 중요하다. 중앙행정기관 또한 감독기구의 감독대상임을 고려하면 개인정보 감독기구를 대통령 소속의 독립기구로 설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인정보 감독기구가 조사․감독 등에 있어 실질적 권한을 보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개인정보 감독기구에 조사권한, 시정권고권, 침해정지명령권, 피해구제기능과 분쟁조정권한 등을 부여하여 개인정보의 실질적 보장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현재 국회가 추진 중인 개인정보보호 법안도 본 논문의 개선방안과 방향을 같이 하고 있어 바람직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반법으로서의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이 논의 중이지만, 분야별 특수성을 반영한 개별법 제정 등이 남아있는 만큼 개인정보보호 법제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비교

        손우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논문요약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비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 6세 일반 아동 10명과 동일한 연령의 고기능 자폐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림책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글 없는 그림책과 글 있는 그림책 용 이야기 이해도 검사를 각각 시행하였고,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야기 구조, 내용, 주인공 캐릭터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메인 텍스트와 연관되어 있으며 명백히 드러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두 텍스트 간의 적절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글 없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2. 글자 텍스트가 있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3.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 이해에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그림책 초기탐색과 다시 말하기, 명시적 이야기 이해력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암시적 이야기 이해력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글자 텍스트가 있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이야기 구조 이해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이야기 추론 이해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이해하는데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글 있는 그림책과 글 없는 그림책, 상호텍스트성 이해도를 두 집단 간 비교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을 시행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제어 : 글 없는 그림책 , 글 있는 그림책 , 상호텍스트성 , 고기능 자폐아동 , 이야기 이해력 ABSTRACT Comparison of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Sohn, Woo Young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or not. Respectively 10 persons of 6-year-old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measure picturebook comprehension, I tried to test the comprehension for the picturebook without text and with text respectively, to measure comprehension of intertextuality, I investigated point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they have found in structure of story, contents, character of protagonists in relative main text. The topics following this study as below: 1. In case of picturebook without tex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2. In case of picturebook with tex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3. In intertextuality understanding of picturebook,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regarding understanding picturebook without tex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icturewalk, retelling, denotational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ut, in suggestive picturebook comprehension,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showed lower fulfillment than non-disabled children group noticeably, 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 regarding understanding picturebooks with text, excepting for picturebook structure comprehension, non-disabled children group had a high level of achievement of picturebook reasoning comprehension in comparison with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Thir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showed lower fulfillment than non-disabled children group in understanding intertextuality among picturebooks. Thes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alt with comparison of understanding about picturebook without text, picturebook with text, intertextuality of two groups,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education materials in classroom when teachers educate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y picturebook.

      •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별 영향력 분석 연구

        한옥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more specifically,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used two methodolog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arameters of internet addiction that are stated in existing literatur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experts and laymen. For the SEM approach,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signated a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s, and the first order factors were decid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al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given to two different groups of people: adults and adolescents. The adult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while the adolescent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eralized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 Three hundred and ninety-fiv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ult participants, and three hundred and ninety-six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olescent participants. For the SEM approac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and AMOS 20.0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questionnaires from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SPSS 15.0 was used for the analysis. AMOS was used to process and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s analysis was proces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the degree of each factors, and the state of internet addiction.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proposed model analysis and model modific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PSS was use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nternet addi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riable calculation, correlational relationship analysis were performed. This process verified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in SEM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ial factor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internet addiction as the second order factor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Second, self efficacy and self control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personal factor. Third, parental rearing attitud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familial factor.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one’s surroundings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questionnaires of all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Secon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person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r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gener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actors that lead to internet addic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one’s surroundings. This means that depending on each internet user’s situation, a different and specific solution is needed for internet addiction. As this research proves, diverse and comprehensive solutions for internet addiction must b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본 논문은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을 규명하였다.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 영향력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접근법은 구조 방정식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통한 영향력 분석이며, 두 번째 접근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요인 간 영향력 중요도 분석이다. 각 접근법에서 사용할 변수 항목 선정을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 과정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2차 확인 요인으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각의 2차 확인 요인에 대한 1차 확인 요인을 선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 독립변수의 관측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 중독 유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최종 설문지는 성인과 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성인을 위한 자료 수집은 전국 단위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5건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청소년을 위한 자료 수집은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각 2개교씩 총 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6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결과분석은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적용하였으며, AMOS 20.0을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가 무엇인지와 다른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확인 요인에 해당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중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이 인터넷 중독 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자기 통제력과 자기 효능감 2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기능과 가족 내 정서지지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환경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친구지지, 사회 지지와 소속 집단 적응력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관여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분석과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개인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사회 환경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사회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요인은 연령에 따라, 소속 집단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것은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응책이 인터넷 사용자의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양하고 종합적인 인터넷 중독 예방책과 대응책의 제시가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法律行爲의 要件體系에 關한 硏究

        최경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47

        In korean civil law, two viewpoints on the structure of requirements for juristic act has been. The one is what has followed the theory on the structure of requirements for juristic act, which is unique in japanese civil law. According to this theory, there is tow kinds of requirements for juristic act. The first is requirements for existence as an juristic act, and the second is requirements for taking its effect of juristic act. And then each class is also divided into two types; common for all juristic act and particular juristic act. But scholars who have other viewpoints think that distinguishing requirements for existence as an juristic act from taking its effect is distinction without difference. So these scholars focuses on the latter classification; common for all juristic act and particular juristic act. Consequently speaking, according to this viewpoint, If requirements common for all juristic act is fulfilled, any juristic act exists effectively. In this context the differences of consequences of the above two theories are obvious.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provides that an individual cam freely form a legal relation with other person according to his intention. This principle is also called as the principle of autonomy of legal action. The legal method to realize this principle is legal actions. However, all the legal actions could not generate effects as the person concerned wishes. If considering the ideal of the entire order of law, there is any objective reason for which the effects of a legal action cannot be properly recognized without asking intentions of the individuals, the legal action may be invalidated. However, the Civil Act does not provide any stipulation to explain what the invalidation of a legal action means. The invalidation of a legal action is regarded to exist only as a phenomenon. That is, such phenomenon does not actually exist in legal situations. To clarify the concept of the invalidation of legal action, its relation with nonexistence should first be considered. In this connection, we need to analyze the arguments in France, Germany and G메무 that have affected th Korean Civil Act. There is an opinion that sice the essence of the invalidated action is that it has no effect and its existence need not be accepted, the assertion that the tow concepts should be discrimenated is an unfounded concept,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two concepts should be denied of it should not be necessarily discriminated. However, the prevailing view in Korea is that the invalidation and the non-existenc of a legal action should be discriminated. By analyzing other countries' arguments as to this point, we could look into their infulences on the Korean Civil Law. The invalidation of legal action means the limit to private autonomy as well as the limit to the dominant principle of the free legal action.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means the freedom of actions, not the freedom of the legal effects. It is not opposed to the principle of law regarding security of the tracsation or actions, the principle of law such as the rule of indication in legal actions or declaration of intention and the principle of freedom of legal action.

      • 일반화 감마분포 기반 베이지안 주변화 2-부분 혼합효과모형

        권용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Continuous data with a high proportion of zero, such as medical expenses, alcohol consumption, and rainfall, are examples of zero-inflated semicontinuous data. The two-part model consists of a binary sub model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ata is zero or not, and a continuous sub model for data greater than zero, and when expanded to longitudinal data, there is a conditional two-part model and a marginalized two-part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Bayesian method that can solve the frequentist problem of estimation failure and convergence and ignore censored data from repeatedly measured data by adding random effects of each sub model to a marginalized two-part longitudinal model and applying a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that can comprehensively explain data to a model with both subject-specific and marginal interpretation.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medical expenses of young people i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using the model and Bayesian approach. 영과잉 반 연속 자료는 0의 값이 많은 연속형 자료로 의료비용, 음주량 그리고 강수량 등이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는 방법 중 2-부분 모형은 자료를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이항 부모형과 0보다 큰 자료들에 대한 연속형 부모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시적 영과잉 반 연속 자료로 확장시키면 조건부 2-부분 모형과 주변화 2-부분 모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과잉 반 연속 자료 분석을 위한 2-부분 모형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경시적 영과잉 반 연속 자료에서 주변 해석이 가능한 주변화 2-부분 모형을 고찰한다. 주변화 2-부분 모형에는 각각의 부모형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임의효과를 적용하고, 자료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일반화 감마분포를 연속형 부모형에 적용한다. 우리는 빈도주의 관점에서 주변화 2-부분 모형의 모수 추정 및 수렴 실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지안 방법의 모수 추정을 제안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 추정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고, 실제 자료인 한국의료패널의 청년층 의료비를 제안된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