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공(反共)과 민주(民主)의 시김석(試金石) -대만잡지 『자유중국(自由中國)』의 1950년대 한국보도와 인식-

        증천부 ( Tseng Tien-fu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8 동방문학비교연구 Vol.8 No.-

        본문은 대만의 주요 정론잡지 『自由中國』의 한국 관련보도를 대상으로 1950년대 자유주의 지식인들이 견지했던 반공, 자유, 민주의 가치가 한국을 매개로 어떻게 사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 전반기의 관련내용은 한국전쟁 보도와 분석이 주를 이룬다. 주로 냉전 지역학의 시각에서 한국전쟁이 세계 냉전의 아시아적 양상임을 매우 일관적으로 주장하고 있는데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해 미국을 위시한 민주국가들이 단결하여 소련의 야욕을 철저히 분쇄해야 한다는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에서 주목할 것은 국제 반공 전략의 입장에서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과 대규모 군사지원을 독촉하는 주장인데 이는 당시 대만의 궁극적인 위협요소인 중공을 방어해 줄 수 있는 대상으로 미국을 지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1950년대 중반기 이후의 한국 관련보도는 반대당인 민주당의 성립과 집권당과의 정쟁, 두 차례의 대선 상황, 이승만 개인과 정권의 통치성격 등에 대한 자세한 보도와 함께 1960년 315부정선거에 대한 한국 민중의 시위에 대해 매우 심도 있는 분석을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한국정치의 변화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데 이런 이면에는 『자유중국』 지식인들이 견지해 온 정당정치와 헌정체제의 가치와 추세에 한국의 상황이 부합되어 자신들의 주장을 재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하는데 일종의 지렛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라고 하겠다. 이렇게 1950년대 『自由中國』의 10년간의 한국보도는 ‘反共’과 ‘民主’로 정리될 수 있는데 자유주의파 지식인들의 반공, 자유, 민주의 가치와 신념, 주장을 시험하는 일종의 시금석 역할을 했으며 자유중국의 민주정치가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데 일종의 근거로 작용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Korean media reports of the Taiwanese Political Journal "Free China", to examine how liberal intellectuals of the 1950s considered the value of anti-communism, freedom, and democracy in Korea.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half of the 1950s there had been abundant reports and analyses of the Korean War, which regards the War as the Asian asp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ld War. Democratic nations, leading b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are united to show the common view that the communist forces of the Soviet Union should be thoroughly crushed. It is worth noting that under the international anti-communist strategy, it was a claim to urge active intervention and large-scale military support from the USA, which means that Taiwanese intellectuals were considering the United States as a target to conte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ince the mid-1950s, Korean media had reported the formation of the Democratic Party in Korea, the two presidential elections, and the nature of Rhee's individual and regime governance. And the electoral fraud on March 15 1960 is reported in detail. Free China had shown that Taiwanese intellectuals took a very positive attitude about the changes in Korean politics. The reason might have resided in the common value of party government and constitutional system that the "Free China" intellectuals advocate. In summary, the Korea Discourse of the "Free China" in the 1950s can be summarized as "anti-communist" and "democratic".

      • 고대한국(古代韓國)의 동요관(童謠觀)과 천인상관사상(天人相關思想)

        岡山善一郞 ( Okayam Zenichiro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5 동방문학비교연구 Vol.5 No.-

        본 고찰은 『고려사』 <오행지>에서 전개되는 동요관을 중심으로 하여 『삼국유사』와 『고려사』의 동요를 재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동요사에 있어서 동요의 발생과 의의, 그리고 그 목적 등에 대해 논리적으로 밝히고 있는 문헌은 『고려사』 <오행지>이다. 그래서 한국의 고전 동요를 연구할 때는 먼저 『고려사』 동요관의 파악이 요구된다. 그런데 동요란 명칭은 고대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漢書』를 비롯한 많은 사서에서는 <오행지>를 두어 동요를 다루어왔다. 그런데 『漢書』 <오행지>의 동요관이 『고려사』 <오행지>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이 사실은, 『고려사』의 동요관은 기본적으로 고려시대의 동요관이지만 고대한국의 동요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그래서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과는 달리 『삼국유사』와 『고려사』를 한 시대로 묶어 고대 동요사를 설정해 보았다. 『고려사』 <오행지>는 서문부터 동요의 발생론까지도 『漢書』<오행지>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먼저 『漢書』를 중심으로 한 고대중국의 동요관부터 검토하였다. 이 방법이야말로 고대한국의 동요관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삼국유사』 『고려사』의 동요와 『漢書』를 중심으로 한 고대중국의 동요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同異점를 찾을 수 있었으며, 고대한국의 동요에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고려사』와 『漢書』의 <오행지>의 공통점은, 동요의 발생과 예언이라는 목적은 천인상관 사상에 의거한 것이라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金行>·<言事>의 오행사상에 의한 동요론인 것이다. 그리고 동요뿐만이 아니라 <오행지>의 異變은 거의가 前兆·예언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수록되어 있다. 한편 고대중국의 동요는 <詩妖>란 의미에서 다루었지만, 『고려사』에서는 동요를 <訛言>·<妖言>으로 취급하였다. 『漢書』의 <오행지>의 동요는 거의가 오행사상에 의해 그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國亡과 같은 사건과 관련되어 있지만, 『고려사』<오행지>에서는 萬壽山謠나 木子謠처럼 인과관계보다는 결과만을 제시하여, 童謠의 내용이 天의 뜻에 의해 일어난 사건처럼다루고 있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회적 사건을 비판하는 내용의 동요는 오행사상과는 직접적인 관계없이 초기부터 존재하고 있었다는 공통점도 있었다. 『고려사』의 동요론에 입각한 각 동요들에 대한 분석은 본문의 참조를 바라며 생략하겠다. 本考察の目的は、『高麗史』「五行志」の童謠觀を基に『三國遺事』や『高麗史』の 童謠を再檢討することにある。『高麗史』「五行志」は、韓國で童謠が發生した 意味や目的について論理的に述べている文獻である。それ故、韓國の古典童 謠を硏究するには先ず『高麗史』に展開される童謠觀を把握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ころで、童謠という名稱は古代中國に始まる。『漢書』を始めとする多くの史書が「五行志」の中で童謠を扱っているのだが、その『漢書』「五行志」の童謠觀が『高麗史』「五行志」に反映されている。高麗時代の史書に古代中國 の童謠觀が反映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は、古代中國の童謠觀が古代韓國に影響し、それが高麗時代まで繼承されたと考えられるのではないか。このことは、つまり高麗時代の童謠觀は古代韓國の童謠觀でもあるという可能性を 示していると言える。そこで從來の韓國文學史の時代區分とは異なるが、『三國遺事』と『高麗史』を同時代として捉え、古代童謠史を論じることを試みた。 『高麗史』「五行志」は、その序文から童謠の發生論まで『漢書』「五行志」の影響 を受けているため、先ずは『漢書』を中心とした古代中國の童謠觀について檢討した。それによって古代韓國の童謠觀の特徵を正確に把握できると思った からである。 『三國遺事』や『高麗史』の童謠と『漢書』を中心とした古代中國の童謠との比較 硏究を通じ、次のような同異点があ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このことは古 代韓國の童謠に對する新たな解釋を可能にした。 『高麗史』と『漢書』の「五行志」に見られる共通点は、童謠が發生した目的は予言であり、これは天人相關思想に依據したものであるという点である。具體的には、童謠は「金行」および「言行」の五行思想によって解釋されている。 これは童謠だけに限ったことではなく、「五行志」に記錄されている異變 は、ほとんどが前兆や予言としての意味を持っている。そしてこのよう な意味を持つ童謠を、古代中國では「詩妖」と言い、『高麗史』では「訛言」、「妖 言」と言った。 これに對し、『高麗史』と『漢書』の「五行志」の違いは、次の通りである。『漢書』「五行志」の童謠は、ほとんどが五行思想による因果關係が說明できるも のであり、その內容は亡國といったような事件と關連している。これに對し、『高麗史』「五行志」では「万壽山謠」や「木子謠」のように、因果關係は無く結果だけを示し、童謠の內容が天の意思によって起きた事件であるように 扱っているものがある。また、五行思想とは直接的な關係が無く、社會的事件を批判する內容の童謠も存在していた。 『高麗史』の童謠論に立脚した各童謠についての分析は本文を參照されたい。

      • 제2부 일반논문 : 한국에 전해진 중국 目連救母(목련구모) 고사의 수용양상과 流變(류변) 경로

        왕멍 ( Meng Wang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4 동방문학비교연구 Vol.3 No.-

        목련구모고사는1) 인도에서 발원하여 중국으로 전이되어 성숙하였고 고려시대에 한국에 들어왔다. 한국이나 중국에 현재 전하는 목련구모 고사와 관계된 자료는 별로 많지 않고 지금까지 목련 구모고사에 관해서 본격적인 연구 성과 는 集積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아직까지 논란에 있는 유변경로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여 한문 이본간의 비교 또한 일본 간본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목련 구모고사의 수용양상과 유변경로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목련 구모고사의 연구사에 있어서 연구자의 관심 밖에 놓여져 있는 한문 이본 11작품을 고찰하였다. 이런 검토는 연구 자료의 부족 및 불교문학으로 논외로 밀려있던 목련 구모고사의 연구사적 반성의 일환으로 행해지고 있는 목련 구모고사에 대한 관심을 좀 더구체화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중국 목련 구모고사의 변천을 논의하 였다는 것을 연구의 시작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한문 이본의 내용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이 11개의 작품을 하나의 계통으로 묶어서 일본의 간본과 비교를 하였다. 사재동은 한국과 일본의 간본을 대조해 본 결과 양자의 내용과 문장이 완전히 합치되는 동일 작품의 이본이라고 밝혔다. 2) 필자가 다시 한 번 대조해 본 결과 일본의 간본은 한국의 간본과 상이점이 몇 군데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본의 『목련경』은 한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취급한 학자 가 있는데 두 간본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목련경』은 일본으로부터 유입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연구를 하면서 지금 논란에 있는 유변경로 (한국→일본 아니면 일본→한국)에 새로운 의문을 품게 되었다. 고려가 과거 일본과의 교류보다는 원나라와의 교류가 훨씬 긴밀하였다는 것을 감안할 때 한국의 『목련경』은 일본이 아닌 중국으로부터 유입했을 가능성이 더 유력 하지 않을까 한다. 실물은 남아 있지 않지만 역사적 사실에 맞추어 연구해 보면 아마 가치 있는 결론을 유출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 부분은 향후 과제로 삼겠다. 또한 향후과제로는 『목련경』의 국문이본을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할것이다. The myth of "Mulian saving his mother (Mulian for short)" which was originated in India, was introduced into Korea from China in the Goryeo Dynasty. Not much material exits about the Mulian myth both in Korea and China.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ception aspects and travel path of Mulian myth according to the Mulian Jing which describes the Mulian myth in Korea, China and Japan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cords. Mulian Jing was written both in classic Chinese and Korea. The existing variant texts which were written in classic Chinese were all 11 kinds, were neglected during the research on the Mulian myth. Based on these material, first of all, the research defines the text by systemizing the bibliography of each variant text. Secondly, the research is focused on finding the distinctivenes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Mulian Jing and the Japanese Mulian Jing. The author have discovered the tangible but "Neglected" distinctiveness between the Korean Mulian Jing and the Japanese Mulian Jing. The results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Mulian Jing and the Japanese Mulian Jing, it is clear that the two group texts have difference in format and phrase. According to some experts, the myth of Mulian was introduced into Japan from Korea. However, the author hold that it is possible to show that the myth of Mulian was introduced into Korea from China and was introduced into Japan from China. The continuous concern and study on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n versions of Mulian Jing could proffer a keynote to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Mulian myth.

      • 제2부 일반논문 : 한국의 <沈淸傳(심청전)>과 베트남의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Thoai Khanh Chau Tuan)>에 나타난 "효(孝)" 사상 비교연구

        이현정 ( Hyeon Jeong Lee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3 동방문학비교연구 Vol.1 No.-

        18~19세기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심청전>과 베트남의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은 양국의 효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민중의 자각의식이 싹트면서 양국에서 공동문어로 사용해왔던 한문을 지양하고 양 국민이 자신의 국어라 생각했던 한국의 한글, 베트남의 쯔 놈으로 창작한 작품이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의 <심청전>과 베트남의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은 양국 민중문학의 특성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양국 민중의 기층의식 속에 녹아있는 효 사상을 추출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다. 양 작품 모두 ‘실명과 개안’의 모티프를 가진 작품으로 현재까지도 양국에서 공연예술 무대에 자주 오르는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작품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양 작품에 나타난 효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양 작품의 문학사적 배경과 작품을 소개하였다. <심청전>은 작가 와 저작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조선 후기에 나온 한글소설로 <심청전>은 판소리로 불리면서 전승되었기 때문에 ‘판소리계 소설’이라고도 불린다. 판소리계 소설은 한글소설의 한 갈래로 민중의식의 성장에 따라 출현되어 당대 현실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 받는다. <심청전>은 설화를 소재로 삼아 구전전승 과정을 거치면서 기록된 소설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되며 <심청전>의 형성에 직간접의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이는 근원설화는 국내외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은 작가나 저작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쯔 놈 문학이 유행하던 18~19세기에 설화를 바탕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쯔 놈문 학은 19세기 전후 혼란했던 정치사회 현실로 인해 베트남 민중들의 자아의식 성장에 따라 출현되었다. 쯔 놈 문학은 6·8체와 7·7·6·8체 형식의 쯔 놈 소설등이 있다.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은 870행으로 된 6·8체 쯔 놈 소설로 쭈엔 놈 빙전의 장르에 속하는 작품이다. 또한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은 다양한 공연예술 극으로 만들어져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가장 유명한 공연예술 극은까이 르엉이다. 까이 르엉은 남부 지방의 민요와 프랑스 낭만류의 영향 받았다. 이러한 까이르엉은 동서 문화교류의 성공작으로 볼 수 있으며 가장 발전된 무대예술로서 베트남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3장에서는 줄거리, 인물, 배경, 구성, 주제로 나누어 두 작품을 실제적으로 비교하였고,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양 작품의 효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청전>의 심청과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에서 토아이 카잉의 효는 모두 부모를 위한 것이나 심청은 친부모, 토아이 카잉은 시부모라는 차이가 있다. 둘째, 심청과 토아이 카잉의 효는 자식으로서 부모님을 위해 자신의 고행과 희생을 감내한 효라고 할 수 있다. 효의 실천 양상에 있어서도 한국은 자신을 희생하는 것으로 나타나나 베트남은 함께 살면서 자신의 신체 일부를 희생함으로 나타난다. 한국은 나를 버리고 부모님을 살리기 위한 효이고, 베트남은 나의 신체를 부분적으로 희생하더라도 가족이 함께 살기를 원하는 가족 결합의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 효행의 목적에서도 차이를 드러낸다. 셋째, 희생의 원인을 살펴보면 <심청전>은 맹인인 친부의 신체적 결함 때문 이었고,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은 남편과의 재회 및 시어머니와 함께 온 가족이 결합하기 위함이었다는 차이가 있다. 넷째, 심청과 토아이 카잉의 효행을 유교적 관념으로 보면 심청은 자신의 친부모에게, 토아이 카잉은 출가하여 다른 사람의 아내가 되어 남편을 따를 뿐 아니라 그 시부모를 섬기며 효행을 실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볼 때 한국의 <심청전>에서는 효 사상 그 자체를 강조하면서 자식이 부모를 위해 자신이나 자식의 목숨을 희생해야 한다는 절대적인 사고를 보이고 있었고, 베트남의 <토아이 카잉과 쩌우 뚜언>에서는 가족이 행복하게 살기 위한 윤리적인 덕목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의효는 부모님을 살아계시나 돌아가시나 한결같이 내 몸을 다하여 섬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베트남은 가족 결합의 의지를 나타내는 효이다. 이러한 양국 효의 차이를 이해하고 발전시켜 나간다면 한국과 베트남에서 거주하고 있는 한-베, 베-한 다문화 가정의 가정문제 해결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The story of <Simcheong>, which appeared around 18th~19th century, and Vietnamese story of <Thoai Khanh Chau Tuan> represent both Korea and Vietnamese`` Hyo, or filial piety. Both stories have their significances due to the fact that as the people realize their nations`` consciousness, instead of using the widespread Chinese writing, both stories were created using their own languages: Korean Hangeul, and Vietnamese Chu Nom. Also, Korea``s <Simcheong> and Vietnamese``s<Thoai Khanh Chau Tuan> are well fitted to extract the idea of Hyo which is melted inside of underpinning cultures of both nations. The two stories have motives of ``blindness and enlightment`` and they are still performed in performing arts stages.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idea of Hyo from the two different sto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n chapter 2, the stories and the backgrounds of history for both stories were introduced. The author of <Simcheong> is not known but it was created with pure Korean writings, Hanguel,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it was handed down by ``Pansori``; a Korean traditional long epic song. So it is also called the ``Pansori novel.`` the Pansori novels appeared as the nation``s consciousness grew through the common people so it is evaluated as the most valuable literatures that can represent the minds and ideas of common people. The original tal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Simcheong> has been discovered widely here and abroad. The author and the actual date of writing of <Thoai Khanh Chau Tuan> are not exact but it seems that this story, based on a tale, was recorded in 18th~19th century when the Chu Nom literatures were widespread. Chu Nom literatures appeared as Vietnamese people``s consciousness grew when there was a political chaos in Vietname around 19th century. In Chu Nom literatures, there are 6·8forms and 7·7·6·8forms Chu Nom novels. <Thoai Khanh Chau Tuan> belongs to Truyen Nom bin dan genre which is composed of 870lines and 6·8forms Chu nom novels. Also <Thoai Khanh Chau Tuan> is being made to be performed in various performing art stages until now. And Cai Luong is the most famous play. Cai Luong used the southern region``s folk songs and the music that was influenced by French romantic-music. In chapter 3, the comparison was done in terms of story lines, characters, backgrounds, compositions, and topics of two stories. and in chapter 4, I tried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Hyo from two different sto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Simcheong in <Simcheong> and Thoai Khanh in the <Thoai Khanh Chau Tuan> showed filial piety for parents but they differed that Simcheong was for parents whereas Thoai Khanh was for parents-in-law Secondly, Simcheong and Thoai Khanh ``s Hyo were actions that sacrificed oneself for their parents. Yet, Simcheong``s Hyo was different from Thoai Khanh’s because Simcheong sacrificed her body to save her father but Thoai Khanh sacrificed in order to make strong bonds and good relationships for her family. Third, when we look at the reasons for the sacfices, it was for fixing her father``s disability to see in <Simcheong> and it was for reunion of husband and mother-in-law in <Thoai Khanh Chau Tuan>. In fourth, when implementing the sacrifices, it was her whole body and life that was scrificed in <Simcheong> whereas in <Thoai Khanh Chau Tuan> she sacrificed only her arm and eyes to protect her mother-in-law. Two stories have big differences on the purposes of Hyo because one was to save her own father by killing herself and one was for reuniting the strong bonds between family members even if it means sacrificing one``s body parts. After all, the Hyo in <Simcheong> emphasized the absolute sacrifice for the parents whereas <Thoai Khanh Chau Tuan>showed that Hyo was placed as a necessary component of ethics to live harmoniously and peacefully with family members. As you can see the Hyo in Korea is to serve the parents constantly with absolute sacrifice whether or not the parents are alive. However, Vietnam``s Hyo emphasize on the relationship bonds between the family members. If we understand the different concepts and ideas of Hyo between two nations, we would be able to solve the multi-cultural family, especially Korea-Vietnamese couple, problems and help the social issues aroused by the problems.

      • 外來美學,抑或在地現實? -台韓文學史對現代主義文學的評價問題

        최말순 ( Mal Soon Choi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4 동방문학비교연구 Vol.3 No.-

        흔히 모더니즘 문학은 계몽의 기획에 대한 회의에서 발생하였고, 근대화 결과 야기된 모순된 현실로부터 일정한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위기에 처한개인의 자아를 다시 회복해 보려는 의식의 산물인 동시에 그러한 근대세계의 경험을 미학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노력이라고 정의된다. 따라서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이해는 근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와 그것을 어떻게 미학적으로 반영할 것인가 하는 점으로 수렴되며, 이 두 가지는 또한 대만을 포함하여 후발 현대를 경험한 동아시아 지역의 근ㆍ현대문학을 파악하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특히 대만, 한국과 같이 저항적, 민족적, 현실적 지향성이 농후한 근대경험을 가진 지역에서 모더니즘 문학은 쉽게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는데 그 이유는 모더니즘의 전파와 접수가 해당지역 문학의 현지성과 외래성의 관계를 검토하는 중요한 기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문은 대만에서 출판, 유통되고 있는 몇 권의 문학사 저작을 대상으로 5ㆍ60년대의 모더니즘 문학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유사한 근대경험을 가진 한국문학의 경우와 비교하여 대 만문학의 발전과 변천에 작용한 객관적인 조건을 찾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this paper, I aim at a few of works of literary history that published and currently circulated in Taiwan, and investigate how they describe and evaluate modernist literature in 50’s and 60’s, to look for objective conditions of understanding of Taiwanese literat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aper also cited the Korean academia on the evaluation of modernist literature as a reference. Modernism is a product of the West, and has been discussed as an important literary topics after it was spread over from the West. The purpose of discussion triggered by surrounding the acceptance state of modernism is to review the relation of native and exotic nature to a regional literature. Such as Taiwan and South Korea, in the areas that is resistant, national, and the hard reality pointed to facing the capitalist modernity, modernism literature easily became the object of criticism. Therefore, the discussion on modernist literature is basically to investigate how these areas look upon their modern experience, and the process how to achieve literary modernity.

      • 김삿갓의 자아 찾기, 웃음과 울음

        김준형 ( Kim Joon-hyeong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6 동방문학비교연구 Vol.6 No.-

        김립은 `시`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았다. 그의 시는 때로는 비유적으로, 때로는 직설적으로 세상에 대해 말한다. 욕설과 조롱의 시. 그 때문에 그는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점은 욕설과 조롱 자체가 아니다. 오히려 그 이면에 담긴 김립의 사유가 더 중요하다. 노골적인 웃음 뒤에 감춰진 서글픈 자기 연민. 이 글에서 주목한 키워드다. 김립의 방랑은 개인적 분노에서 출발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분노는 사회로 향했다. 사회적 모순에 대한 분노가 크지만, 그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그런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도 커졌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사회에 대한 공격, 민중에 대한 애정, 자아 성찰은 이런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특히 그의 시를 지배하는 웃음은 그 이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바탕 웃고 넘어가면 그만인 작품 뒤에 숨겨진 통곡. 그것은 탈출구조차 찾지 못한 김립 시의 실체이기 때문이다. 그의 시가 울분의 시대를 살았던 식민지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애송되었다는 점도 그와 맥을 같이 한다. The Joseon Dynasty poet Kim Lib (金笠) found his raison d`etre through poetry. Popularly known as “Kim Sat-gat the Wandering Minstrel,” Kim Lib, or Kim Byeong-yeon (金炳淵, 1807~ 1863) as his real name, speaks of the world sometimes metaphorically or sometimes bluntly. Because he wrote poems of profanity and mockery, he was often criticized by scholars. But, what should be noted as important is not profanity or mockery per se but the poet`s personal reason behind his works. The keyword is sad self-pity hidden behind obvious laughter. Kim Lib`s wandering started from personal rage. As time passed by, the rage was directed towards society. He was angry against social contradiction but he could not do anything. His sense of shame toward himself grew larger. His attack against society, affection for people and self-examination appearing his poems were made from such a background. Laughter in particular that dominates Kim`s poems should be noted in this regard. Behind the poems inviting simple bursts of laughter are wails of pain. That is the true nature of Kim Lib who could not find his way out.

      • 주몽 관련 남북한 역사만화에 나타난 ‘집단 자기감’의 고양 방식

        김수연 ( Kim Sooyoun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8 동방문학비교연구 Vol.8 No.-

        한국 사람들이 민족적 차원에서 집단적 공명(共鳴)을 이룰 수 있는 서사를 ‘집단적 자기서사’라 부를 수 있다. 한국인의 ‘집단적 자기서사’는 다양한 서사들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것은 “고난 속에서도 자신을 잃지 않고 때를 기다려 독립하는 역량”을 드러내는 ‘주몽’ 이야기이다. ‘주몽’ 이야기는 한국의 ‘집단적 자기서사’를 구성하는 서사 중에서도 초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한국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주몽’ 이야기는 평소에는 역사의 내면에 존재하다가, 민족의 ‘집단 자기감’이 하락할 때마다 나타나 민족 긍지를 높여주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이런 점에서 ‘주몽’ 이야기는 한국 민족의 미래 서사로 기능할 수 있다. ‘주몽’이 미래 세대인 어린이용 역사만화의 주요 테마로 사랑받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주몽’ 이야기는 남한과 북한 국민 모두에게 서사적 공명(共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한국 민족의 ‘집단적 자기서사’라 부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주몽’ 이야기를 대상으로, 통일 한국의 ‘집단적 미래 서사’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특히 미래 세대를 위해 각색된 역사 만화에 나타난 ‘집단 자기감’의 고양 방식에 주목하여, 남북한 국민이 서사의 어느 갈림길에서 만나 통합된 서사를 만들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주몽이 ‘역사 주체인 한국인의 분리되지 않은 일부’인 ‘역사적 자기대상’이라는 점을 고찰할 것이다. 다음으로 남한과 북한에서 어린이용으로 제작한 역사만화의 ‘주몽’ 이야기를 대상으로, 남북한이 주몽 이야기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집단 자기감’을 고양하고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남북이 자율의지와 상호인정의 리더상을 ‘자기대상’으로 상상하고 있고, 양자는 함께 할 때 자기감이 더욱 고양되는 상생의 서사임을 밝힐 것이다. The story that Koreans can sympathize is called Group-self narrative. The 'Group-self narrative' consists of various stories. Representative is Jumong story which tells independence ability without losing oneself even in suffering and waiting for the time. The story of Jumong was made in the early perio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e story of 'Jumong' played a role of raising the national pride whenever the self-esteem of the nation declined. This is why 'Jumong' is loved as the main theme of historical cartoons. In this article, I tried to estimate the Group’s future narrative of the unified Korea with the story of 'Jumong'. Especially, I paid attention to the way of enhancing Sense of Group self in historical cartoons and confirmed how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can make an integrated narrative. To do this, first I considered that Jumong is a historical self-object of Koreans. Next, I ascertained in what way the Sense of Group self is promoted through the Jumong story in the historical cartoons of South North Korea. In conclusion, I have shown that South and North Korea imagine the leader of self-will and mutual recognition as a Self-object, and that they are mutually beneficial narratives when they are together.

      • 제2부 일반논문 : <雲英傳(운영전)>의 글쓰기 방법과 그 사회적 의미

        유요문 ( Yomoon Yoo )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4 동방문학비교연구 Vol.3 No.-

        <雲英傳>은 그 비극성으로 인해 오랜 기간 학계에 주목을 받아왔고, 현재까지 꾸준히 그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작품의 문학사적인 의의도 중요했지만 무엇보다 작가가 미상으로 남아있다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즉, <雲英傳>이 우리 문학사에서 뛰어난 작품으로 인식되는 반면, 작가에 대한 실마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ㆍ전유(專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작품의 글쓰기 방법을 통해 작가의 사상과 의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雲英傳>의 글쓰기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대화체 글쓰기에 대해 집중 하였다. 여기서 대화체 글쓰기란 등장인물 간 대화가 독특하게 돌출되어 있는 지점을 말하는데, 이런 부분은 특히 설득 장면에서 인식을 함께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기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글쓰기 방법을 알아보는 것은 작가의 서술의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었기에 중요해 보인다. 이에 의거하여 주객대화법이 나타난 부분을 한정해 대화부분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雲英傳>의 글쓰기 방법은 일면 대립적으로 나타나지만 이해와 소통을 근간으로 결국 사상이 감염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Woonyoungjeon have received attention for a long spell, because of the tragedy, until now constantly have accumulated the article of studies. These interests not only thought literary value of this work, but also resulted from unknown authorship. Namely, Woonyoungjeon is realized as a outstanding or remarkable work by a student, but don`t have had a clue of author. Therefore, this work is possible of a new interpretation. So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the idea and consciousness of author through the writing method of this work. First, this article focus on conversational styles of writing method. This conversational styles of writing method account for a special point between characters that is recognized as important things which sympathize with conversational scene in this work. Therefore, identifying writing method used of things is associated with designed description of author. Hereunder, this article discovers a part of talking with host and guest. Consequently, writing method of Woonyoungjeon turn up not a mutual oppositive opinion but a infected ideology based o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Second, this article studies to author`s sense at a social side selecting approached point in a work. As a result, Woonyoungjeon is related to reflective intellectuals which appreciate a point of problem in Chosun society from the lat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This reflective intellectuals aim for balance but gap between party. Lastly, in view of the discussion this article determine meaning which author narrate this writing method. Consequently, this writing method is disposed as indirect effect and a side of social, personal, and work constructive strategy by auth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