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삿갓의 자아 찾기, 웃음과 울음

        김준형 ( Kim Joon-hyeong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6 동방문학비교연구 Vol.6 No.-

        김립은 `시`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았다. 그의 시는 때로는 비유적으로, 때로는 직설적으로 세상에 대해 말한다. 욕설과 조롱의 시. 그 때문에 그는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점은 욕설과 조롱 자체가 아니다. 오히려 그 이면에 담긴 김립의 사유가 더 중요하다. 노골적인 웃음 뒤에 감춰진 서글픈 자기 연민. 이 글에서 주목한 키워드다. 김립의 방랑은 개인적 분노에서 출발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분노는 사회로 향했다. 사회적 모순에 대한 분노가 크지만, 그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그런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도 커졌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사회에 대한 공격, 민중에 대한 애정, 자아 성찰은 이런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특히 그의 시를 지배하는 웃음은 그 이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바탕 웃고 넘어가면 그만인 작품 뒤에 숨겨진 통곡. 그것은 탈출구조차 찾지 못한 김립 시의 실체이기 때문이다. 그의 시가 울분의 시대를 살았던 식민지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애송되었다는 점도 그와 맥을 같이 한다. The Joseon Dynasty poet Kim Lib (金笠) found his raison d`etre through poetry. Popularly known as “Kim Sat-gat the Wandering Minstrel,” Kim Lib, or Kim Byeong-yeon (金炳淵, 1807~ 1863) as his real name, speaks of the world sometimes metaphorically or sometimes bluntly. Because he wrote poems of profanity and mockery, he was often criticized by scholars. But, what should be noted as important is not profanity or mockery per se but the poet`s personal reason behind his works. The keyword is sad self-pity hidden behind obvious laughter. Kim Lib`s wandering started from personal rage. As time passed by, the rage was directed towards society. He was angry against social contradiction but he could not do anything. His sense of shame toward himself grew larger. His attack against society, affection for people and self-examination appearing his poems were made from such a background. Laughter in particular that dominates Kim`s poems should be noted in this regard. Behind the poems inviting simple bursts of laughter are wails of pain. That is the true nature of Kim Lib who could not find his way out.

      • KCI등재

        고전여성문학의 연구사적 전환을 위하여 碑誌,傳狀,哀祭類로 본 조선후기 여성의 지식 습득과 향유 양상

        김준형 ( Joon Hyeo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women`s enjoyment and acknowledgement of knowledge by epitaphs, letters of condolences, and records of dead person`s life in personnel collections of works during the Chosun dynasty. Books which were read by women during Chosun dynasty generally were moral standard books for women like Sohak, Naehun, Yeogae, Yeobum, and Yeolneo-Jeon etc. In addition to these books, women read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and literary works like the Chulsapyo etc. This means that the woman read many sorts of work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thesis researched on the acknowledgement of knowledge on the sides of their position in family, especially as daughter, daughter-in-laws, and mother. The woman as daughter in family acquired the knowledge through two ways. One was directly taught by their father or grandfather, and the other was indirectly heard the reading by their male family members. The woman as daughter-in-law acquired the knowledge like these ways. First, she learned from the books and screens written by their family members. Second, she learned letters and knowledge from looking her husband studying and enjoyed it. Third, she learned knowledge from the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family members-in law, for example by writing letters. The woman as mother used her knowledge for teaching her son, self-reflection, and recreation. She had plenty of scope for learning knowledge and enjoying it in old age. She gradually showed her abilities for studies in old age.

      • KCI등재

        소통으로서의 웃음, 패설

        김준형 ( Joon Hyeong Kim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논문에서 제기한 문제는 두 가지다. 하나는 패설에서 다루어진 소통의 문제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모했는가? 다른 하나는 소통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당시 사람들이 말하고자 했던, 혹은 꿈꾸었던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이 두 가지 문제는 문학이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이기도 하다. 첫 번째 물음에 대해 답변하면, 소통의 문제는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점 많아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성격도 개인적인 차원에서 점점 사회적인 데로 확장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문제는 소통의 문제가 개인을 넘어서서 사회 구조의 모순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두 번째 물음에 대해서는 두 형태로 접근했다. 하나는 정치를 통해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의 가치를 중시하는 세상을 기대했다는 점이다. 더불어 사는 세상, 인간의 존엄성이 강조되는 세상을 조선 후기 패설 문학은 말하고 있었다. 그것은 개인과 사회가 조화롭지 못한 사회에서 문학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이기도 하다. There are two issue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one is how Paeseol treat the problems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iods of ages. The other one is that the world what the people wanted at the periods by addressing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These two issues are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what the functions of the literature can be in the society. The conclusion about the first question is as follows. The problem in communication is increasingly popular as the latter. Moreover, the character of the problem in communication is been extended more and more social from the personal level. For the second question is approached in two ways. The one is the desire of the political and the living together. The other one is the world that expects the emphasizing the value of the people. Paeseol literature in latter half year of Chosun tells the world living together and the world emphasizing the value of the people. It is the answer what the literature needs to do in discordant societ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항공케이터링 공급망에서 나타난 회사차원의 지속가능한 실천 - 웹 내용 분석과 심층면담기법을 이용하여 -

        김준형 ( Joon Hyeong Kim )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본 연구에서는 항공케이터링 공급망에서 회사차원의 지속가능한 실천은 어떠한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탐색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편의적인 그리고 준거 표본추출 전략을 이용하여 2008년 6월에 항공사 7개사, 항공 케이터러 3개사 그리고 글로벌 음식 공급업자 3개사에 대하여 웹사이트 내용들 및 관련 리포트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공케이터링 실무자들(항공사 5; 케이터러 3; 음식공급업자 4; 비음식공급업자 3; 물류회사 3)과의 심층면접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택된 회사들의 웹 내용들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환경적 요소들은 배출감소(reducing emissions), 자연자원 보존(conserving natural resources) 및 쓰레기감량(waste reduction), 재활용(recycling) 그리고 패키징(packaging) 이슈들을 포함함을 발견하였다. 사회적으로 지속가 능한 성과에 관련하여 회사 내의 사람들(people within the company)과 관련된 이슈들은 인간의 기본권(basic human rights)과 복지문제들(welfare issues)의 관점에서 다루어 졌으며 회사 밖의 사람(those outside the company and their living environment)들과 관련된 측면들은 지역 커뮤니티 후원 (supporting local communities) 그리고 건강과 안전 및 보안(health and safety & security)의 이슈들과 관련된다. 둘째, 회사차원의 지속가능한 성과들을 실행함에 있어서 공급망에서의 회사들 간에 정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공급망에 위치한 이해관계자들은 각자의 주된 임무에 따라 각기 다른 영역에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aspects of corporate sustainable activities across the flight catering supply chain at the corporat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dopting a convenient and criterion sampling strategy, 7 airlines, 3 global flight caterers and 3 global food suppliers were recruited. In addi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this study has also conducted 18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light catering experts (for example, five airlines, three caterers, four food and three non-food suppliers and three logistics companies). As a result of these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ree point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found that environmental aspects include reducing emissions, conserving natural resources and waste reduction, recycling and packaging. Furthermore, as far as socially sustainable performances are concerned, whilst issues concerning people within the company are dealt with in two ways including basic human rights and welfare issues, those outside the company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relates to supporting local communities and health and safety/security issues. Second, there have been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option between the players when implementing corporate sustainable performances.

      • KCI등재
      • KCI등재

        사건(事件)의 기록(記錄)과 한문학(漢文學) 사실의 기록과 야담의 진실성

        김준형 ( Joon Hyeong Kim ) 동방한문학회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There was a tradition of writing which based on fact and some real thing. But it changed into fictitious writing in a narratives. Why? This thesis aims to clear the question, and paid attentions to the change of Pilgi and the birth of Yadam. At first, Pilgi were regarded as supplementary recordings on historical records. So Pilgi recorded only real things fact based on facts and also none doubted the truth of recording. But the circumstance of writing Pilgi started to change, there were false recordings and a writer emphasized that he only wrote facts. But it also meant that there would be fictions on recordings. As fact, there were false stories and it started to increase at the late of 17th century. And the writer insist that he write facts even though it were fictions. Though, outwardly, the writer went after former writers` writing patterns, and practically they changed their writing patterns. After all, Yadam born at the 18th century. Yadam was a kind of fictional stories. And writers took positive attitude toward fictions and writing to fictions. Concrete facts of Yadam were fiction but the background of Yadam were real. It means that Yadam was born based on recording fact but it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narrative circumstances. So Yadam is a sort of fictional genre based on real things.

      • KCI등재

        조선후기 거지, 문학적 시선과 전승

        김준형(Kim Joon Hyeon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조선전기 거지는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조선후기 거지는 서울의 상업도시로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존재들이었다. 당시 조정에서의 거지 정책은 두 가지로 요약되는데, 구휼과 분리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 그려진 거지도 시대별로 달리 나타난다. 허균이 쓴 〈장생전〉에는 거지보다는 이인에 초점을 맞췄다. 반면 성대중이 쓴 〈개수전〉에는 거지 그 자체에 초점을 두었다. 허균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거지를 다룬 반면, 성대중은 실재 거지들의 삶을 그려 사회적 원망(願望)을 담았다. 이런 글쓰기의 변모는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며 나타난 한 현상이었다. 거지를 소재로 한 작품 가운데 이인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 조선 초?중기의 현상이라면, 생활 주체로서 거지를 담담하게 기술하는 방식은 조선 후기의 특징으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거지를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 양태로 나뉜다. 그 하나는 동정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혐오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전자는 거지를 가엾고 불쌍한 존재로 이해하는 한편, 후자는 나태하고 게으른 존재로 이해한다. 혐오의 시선은 거지를 도덕적 해이로 환치시킴으로써 거지 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에 머물게 했고, 동정의 시선은 거지 자체에 대한 동정 보다 거지를 통해 권력층을 비판하는 도구로 쓰였다. This paper purposes how the begg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reflected in the literature. There is great differences between a begger in the later and earlier Chosun Dynasty. The begger in the earlier Chosun Dynasty had made by a war and a natural disaster as a passing phenomenon. The other hand, the begg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had made by a change in situation of commercial city of Seoul. Therefore, the begger in Chosun Dynasty reflects the conflicting social structure. There are clear two main policies for the begger. The one is a relief and the other one is a separation. The beggers in the literatures are different between different ages. 〈Jangseang-Jeon〉 by Heo-Guen focuses in the a prodigy instead of a begger itself. On the other side, 〈Gaesu-Jeon〉 focuses on the begger itself. Also there are two main viewpoints how to look the begg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The one is an object of compassion and the other one is an object of disgust.

      • KCI등재

        사실과 허구, 『동상기찬』에 나타난 야담 인식

        김준형(Kim, Joon-hyeong)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8

        Mr. Doo-Yong Back have published “Dong-Sang-Gi-Chan” in 1918. It consists of a collection of made based on historical drama “Dong-Sang-Gi” and “Compile” that collected Yadam. The first one is one book and the other one is 5 books. That, Yadam follows the intention of the drama “Dong-Sang-Gi”. “Dong-Sang-Gi-Chan” presents the diagram like “[Fact=Lesson=Positive] and [Fiction=Amusement=Negative]. Characters are introduced in detail at the end of the literature and it fixed the fault of contents. However, fictions are intervened in particular story. In this case, Mr. Doo-Yong Back has covered it by Lesson. The lesson becomes the parent concept. 〈Gim-An-Guk〉 is one of clear example. It criticizes the fiction, but it also accepts the fiction under the name of Less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