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유아교육 학제 개편 방향

        이순덕(Lee Soon Duk)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본 연구는 학제 개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유아교육 학제 개편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여러 가지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되고 있는 학제 개편의 필요성을 점검하였다. 그리고 학제 개편 논의에서 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주요 쟁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취학연령을 만 5세로 하향화 하는 방안, 초등학교에 만 5세 유치반을 두어 학제화 하자는 방안, 취학전 교육을 통합화 하자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선진적인 학제의 특징을 갖는 대표적인 국가인 미국, 영국, 프랑스, 스웨덴 유아교육 학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나라들의 유아교육 관련 학제의 특징 및 개혁 동향을 토대로 하여, 향후 우리나라 유아교육 학제의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 학제 개편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최소한 만 3~5세, 점진적으로는 0~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취학전 교육이 교육인적자원부로 일원화되어 기본학제화 되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t this time discussions on reforming the school system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address some ways to reform school system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as to contribute nat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Under this objective, this study reviewed the necessity of reform school system in various point of view. And we discussed several prominent issues that age for entering elementary school must be lowered 5, that only 5-year-old children must be included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that pre-school education must be incorporate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n US, UK, France, and Sweden.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and reform trends in these countries, we suggest that some desirable ways of reform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study recommends that separate public education systems be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or between 0 and 5. This suggests that in the coming reform, kindergarte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s free education.

      • 한국 유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이신화(Lee Sin Hwa),이영순(Lee Young Soon),천성문(Cheon Seong M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2

        본 연구는 한국 유아발달검사와 한국판 유아발달선별검사의 상관연구를 통하여 한국 유아발달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마산시에 소재한 A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36개월에서 53개월에 해당하는 유아 총 47명을 대상으로 생활연령별로 6개월 단위로 3개 집단으로 나누어 한국 유아발달검사와 한국판 유아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유아발달검사와 한국판 유아발달선별검사는 발달영역(운동, 인지, 언어, 자조기술, 사회성)에 따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유아발달검사와 한국판 유아발달선별검사는 생활연령간에 운동, 인지, 언어, 자조기술, 사회성영역에 있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 유아발달검사와 한국판 유아발달선별검사는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유아발달검사의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실시된 본 연구에서 한국 유아발달검사는 유아의 발달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검사도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throug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and K-DIAL-3(Korean Developmental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Learning-Third Edition). The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and K-DIAL-3 test were given to 47 preschoolers in Masan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and Sheffe's test were used to data processing.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and K-DIAL-3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area( exercise, cognition, language, self paced skill, sociality). Second,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and K-DIAL-3 have relevance according to the chronical age in the developmental areas. As shown above,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and K-DIAL-3. So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which was tested for relevance analysis was suitable for measuring development of preschoolers.

      •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안병환(Ahn Byung-Hwa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2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에 진입하고 있다는 논의들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20년에는 이주여성농업인이 평균 2명의 자녀를 출산할 경우 19세미만 농가인구의 49%가 다문화자녀로 구성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교육현황을 토대로 다문화교육 접근방향을 논의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다문화교육의 접근방법은 먼저 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다문화이해를 통한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를 모색해야 한다. 이렇게 선정된 교육내용은 편견 없는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교생활과 교수-학습지도는 다문화사회의 다양성이 상호 존중되는 학교풍토가 조성될 때 그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교육과 교사연수 등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즉, 다문화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은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과서정책, 교수-학습, 상담 및 학급경영방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broad term that includes a wide range of goals and practices in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confus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makes clear the concept and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quires a various of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ncret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a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how is the present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rd, how to approach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what is the sugges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have a great influence on school life of students. Especially teacher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qual opportunity of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s and school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e school. Therefore teachers must consider students from diverse racial, ethnic, cultural and social class groups.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seeks to reform the process of schooling in the diverse perspectives. The knowledge construction, curriculum and textbook policies, teaching and learning, and empowering school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of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revised and supplemen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y.

      • 개화기 천주교의 제주도(濟州島) 신교육운동 考

        안영후(An Young Hoo)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2

        이 연구는 개화기 천주교 선교사들이 제주도(濟州島)에서 펼친 신교육운동과 관련된 몇가지 쟁점사항, 즉 제주도 근대교육의 출범 시기, 천주교가 세운 신성여학교의 성격 및 교육내용, 그리고 폐교의 원인과 그 영향 등에 관련된 논의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 복음전례100년사자료집」 등,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교육사(1979) 등은 제주도 신교육의 출발점을 1907년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P. M, Lacrouts신부의 서한 등에 비추어 볼 때, 천주교에 의한 신교육은 1902년 12월 이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둘째, 신성여학교졸업생들의 회고 및 당시의 정황 등에 비추어 볼 때, 개교당시 이 학교는 여성 초등교육기관이었으며, 교육내용은 불분명하다. 셋째, 폐교의 원인은 1차 대전의 발발로 인한 프랑스 외방선교회의 보수적 소극성 때문이 아니라 일제의 탄압이며, 폐교결과는 졸업생들의 구국교육운동으로 승화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a few debatable issues concerning the New Education Movements performed by Jeju’s Catholic clergies in the Enlightened Ages, such as when and how Catholic was introduced into Jeju Island, what Jeju’s educational environment was like at those times, and what wer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New Education Movements. For the purposes, I analysed some of Jeju’s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he 100 Years of Jeju Island’s Gospel Diff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History of Jeju Education」 states Jeju’s New Education began in 1907 when the first elementary schools were opened. But P.M. Lacrouts’s letters and some other materials indicate it had started much earlier. Secondly, according to Choi Jung Sook’s memoirs and some other references, Shin Sung Girl School was only an elementary institute for girls. Finally, Shin Sung Girl School was closed because the French Assembly for International Propagation of the Faith, its founder, was too conservative and hesitative to push ahead its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First World War. The abolition of Shin Sung Girl School resulted in a save-the-nation movement led by its graduates.

      • 동중서의 교육사상연구

        박영진(Park Young-Ji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4 韓國敎育論壇 Vol.3 No.1

        동중서는 유가교육에 있어서 공자와 주자를 잇는 한대(漢代)의 주요한 인물이다. 특히 동중서는 유가를 중국에서 독보적인 국학으로 확립시킨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인물이기에 그에 대한 연구는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동중서의 교육사상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부족함을 인식하여 문교정책, 도덕교육, 교육방법 등을 중심으로 교육사적 관점에서 교육사상을 연구, 조사하는데 주력하였다. 동중서는 정치와 교육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파악하여 이 양자의 상호 영향력을 심도 있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유가를 국학으로 삼고, 다른 학파를 배척함으로써 유학사상을 통치 이데올로기로 확고히 했으며, 도덕성을 교육의 주요 목표와 내용으로 체계화하여 안정적인 국가통치를 추구하였다. 또한 교육방법에 있어서 동중서는 현대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바를 직접 실천하면서 오늘날에도 귀감이 될 만한 자세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가 철학계에서는 심도 있게 연구해 왔지만, 교육학계에서는 초보적인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는 동중서의 교육사상을 원전 중심의 문헌조사법을 통해 연구하여 현대 교육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Dong Zhong Shu was a leading figure in Han Dynasty who connected Om Hsi and Confucius in the field of Confucian education. Especially, it would be worthwhile to study Dong Zhong Shu, because he affected greatly on succeeding Confucianism as peerless national classic. Recognizing the lack of the national study on Dong Zhong Shu's educational philosophy, this study concentrated on examining his educational policy, moral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 and so on. Dong Zhong Shu grasp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and he didn't fail to notice the power of the mutual influence. Regarding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classic and rejecting other schools, Dong ㅠU placed Confucian philosophy on a firm basis as a reign ideology. He also personally practiced what modem education is pursuing today, and set a good model to the present society. In the modem educational field, the level of the study on Dong Zhong Shu is still beginning, while it has already been profound in the philosophic filed. This study examined such Dong Zhong Shu's educational thoughts based on the original text, and investigated him from the modem educational point of view.

      • 교육정책연구 DB시스템 구축 및 활용방안

        서정화(Suh Chung Wha),조동섭(Cho Dong Sup),전제상(Jeon Je Sang),박영숙(Park Young Suk),김숙이(Kim Sook Yi),김용호(Kim Young Ho),김지희(Kim Gy Hee)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정책 연구 성과를 데이터베이스화여 연구자들이 수시로 관련정보들을 검색ㆍ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를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우선 지난 50년간 이루어진 교육정책 연구결과, 즉, 정부와 학술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학술지 게재 논문, 단행본, 교육 관련 단체 및 기관의 보고서 등을 수집하여 연구자들이 효과적으로 검색ㆍ활용할 수 있도록 DB 시스템을 설계ㆍ구축하고 이들 자료를 가공하여 입력하였다. 따라서 교육정책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 구축된 교육정책연구정보DB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이 우리나라 교육정책 연구결과를 영역, 주제, 대상,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찾을 볼 수 있고, 특정한 교육정책 연구의 목적, 내용, 방법, 결과 등을 개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향후 시스템을 보다 보완하여 효율화한다면 웹상에서도 우리나라 교육정책 연구를 개괄적으로 확인하고 그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imed to suggest the way of the efficient appli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data base system, which has been integrated processed and preserved with the related information to the educational political research, which can be used to various consumers as their demands. Thus, this has been researched and confirmed with the educational political resources and inform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B system based on the various journals and researche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institutions, the 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last 50 years. The definite reports have been classified by the subjects and the functions named with the characteristic codes each, and also have been input into the data table with the informational records and the instructional resources of each research. As a result, it is constructed the appropriated educational political research DB system for the internet environment that could be supplied through the homepage of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KEDI)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School Education(KoRISE). It is surely approached that the efficient uses of this research can be useful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policy and its research.

      • 경기도 교육청 직제 변천에 관한 연구

        김갑수(Kim Gap-Soo)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5 韓國敎育論壇 Vol.4 No.2

        본 연구는 경기도 교육청의 직제변화과정을 해방이전, 정부수립 이후, 한국전쟁, 재건과정인1950년대, 재편 및 개혁기인 1960년대, 발전과 정착기인 1970년대, 도약 선진 창조와 조화의 기치로 미래를 이끌어 나가는 1990년대, 늘 푸른 경기교육과 으뜸경기를 지향했던 2000년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를 주로 활용하였다. 즉 논제와 연관된 국내외에서 간행된 저서와 출판물, 공공기관이 보관중인 기록물과 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등의 문헌에 주로 의존하였다. 이들 문헌을 기초로 작성된 교육사 연표와 자료집을 중심으로 경기도 교육청의 직제 변천과정을 분석하였다. 경기도교육청의 변천을 시기별로 보면 민족해방과 정초기(1945-1949), 지방교육자치제의 태동기(1950-1959), 지방교육자치제의 중단기(1960-1968), 교육의 양적 성장기(1969-1979), 교육내실화 추구기(1980-1988), 지방교육 자치제의 부활기(1989-1999), 선진교육 실현기(2000-2004) 로 나누고 시대별로 경기도 교육청의 직제 및 분장업무, 경기교육시책, 지방교육자치제 둥의 변천을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경기도 교육행정의 직제변화는 교육정책의 요구와 교육요소의 다양성 및 양적인 팽창과 폐지, 흡수라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변화의 흐름을 보여준다. 아울러 경기도 교육정책의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요소로서 좀 더 체계적이고 전향적인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Geonggi-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the period of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the Korean War and rehabilitation period of the 1950s, the reform period and reorganization period of the 1960s, the developmental period and initial period of the regime in the 1970s, the take-off period, advancement/ creation period and harmonization and creation period, the future leading period of the 1990s, and the ever-green Geonggi education and supreme Geonggi province of the 2000s. It was aime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the Geonggi Province.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First,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policy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the Geonggi Province. Second, to examine and present the desirable plan for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the Geonggi Province. The literature review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o conduct this study. That 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volutional process of the organiza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the Geonggi Province based on books and periodical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lated to the study issues, white papers and evaluation reports published by public bodies, archives kept by public bodies, reports published by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Geonggi Province made changes in keeping with the deman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via the process of quantitative expansion and abolition and amalgamation. Accordingly, it is required that more systematic and proactive studies be conducted to be practically used as data capable of predicting the developed conte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7he Geonggi Province in the future.

      • 지방교육행정체제의 현황 진단 및 개선방향

        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2

        최근 지방교육행정체제는 학교자율화정책의 일환으로 2008년 이래로 학교자율과 책무성 강화를 위한 교육행정정책을 도입하였다. 교육행정체제는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지원청, 학교로 위계적으로 연계되면서 불합리한 기능을 가졌다. 지방자치 단체장의 역할은 교육적 투입과 산출, 절차 등에 대한 융통성이 부족하였으며, 교육행정과 지방행정간의 협력이 부족하였으며, 지방교육행정기관에 대한 불만이 상존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행정의 효과성 증진을 요구하는 교육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지방교육행정체제의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지방교육행정기관으로서 현행 지방교육행정체제를 현황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중앙교육행정기관과 지방교육행정기관의 권한 정립, 일반행정과 교육행정간의 협력 증진, 교육감 및 교육위원 선출방식 개선,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지원청 또는 단위학교 기능과 역할 정립 등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lternatives for advancement of the reg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which requires the provision of effective educational servic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s of the reg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of local educational agencies and issues that those systems faced.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core values and components of the advance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which using an examination frame from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reorganization of their roles and functions. This study explore the tasks of network-oriented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educational agencies.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needs to be modified for better administrative support. The role and function of district education offices should be redirected toward providing more supportive service for individual schools. Also a new selection method for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and Members od the Board is desired such as restrictive general election.

      • 주민 직선 1 · 2기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

        백평구(Baek Pyoung Gu),이희수(Lee Hee Su)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이 연구는 두 차례의 주민 직선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를 지역 교육정책에서의 집단의사결정 맥락에 입각하여 분석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교육 양극화 개념에 의한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을 위해 집단 수준의 동질성-이질성 접근(Esteban & Ray, 1994)을 적용하였다. 투표 지지율 격차 및 카이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강남 대 비강남의 대립적 구도를 포함해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용산구 대 관악구, 노원구, 마포구, 동작구 등의 대립적 지지성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서울시 교육에 관한 지역적 분리를 나타내며 자치구들이 지니는 특성을 의사결정 맥락을 고려해 선택과 참여로 범주화하여 논의하였다. 참여에서는 교육감 선거 투표율, 선택에서는 소득계층분포, 주거환경 대 교육환경 만족도, 서울시 인문계고등학교 지원경쟁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액 등을 통해 교육 양극화 개념 적용에 있어 지역적 분리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began from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group decision making perspective in local education policy on elections fo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Seoul 2008/2010. Group-leve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pproach(Esteban & Ray, 1994) of polarization conceptualization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both elections. Oppositive support orientation was revealed between two ward groups: Seocho-gu, Gangnam-gu, Songpa-gu, Yongsan-gu versus Gwanak-gu, Nowon-gu, Mapo-gu, Dongjak-gu by percentage of the votes for the top two candidates and chai statics. This difference implies the local educational segregation in Seoul, accordingly,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ard which revealed the considerable voters'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decision making. Criteria were categorized into choice and participation. Voters' turnout in participation, income level,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competition rates for academic high schools, monthly averag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in choice were considered. Finally this indicates that local segregation is relevant to understand educational polarization.

      • 한국유아교육의 당면과제 진단

        송규운(Kyu-Woon Song)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4 韓國敎育論壇 Vol.3 No.2

        본 연구는 최근 유아교육계에서 주요하게 논쟁의 핵심에 있는 유치원공교육에 관한 한국유아교육학회의 여러 주장을 중심으로 엮었다. 유아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들이 공교육의 틀 속에서 제도적인 뒷받침을 제공 받아야 하는데 최근에 유아교육법의 통과와 함께 유아교육법시행령 제정에 따른 여러 기관들의 목소리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어 매우 어려운 난제를 안고 있다 하겠다. 이 논문에서 유아미술학원의 주장을 유야교육대표자연대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현 시점에서 유아교육 기관이나 보육기관들의 위치를 간략하게 점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pinion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bout public education in Korea kindergartens. To provide benefits and advantages for all young children, the public education has been requied really. The study explored what the mean of the public education is? And the study introduced opinions which the leader group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stressed related to opinions of Korea art institute for young children. And reflected of the current statues Korea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