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통 세시문화유산의 보호와 보호원칙

        위앤리(Wien Lee),꾸쥔(Ku Jwin),김호걸(번역자)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006 중앙민속학 Vol.-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세시문화의 보호문제와 관련한 사항들을 논의함이다. 전통 세시문화의 보호 요점으로 전통세시의 음식문화, 전통세시의 복식문화, 전통세시와 함께 전승되는 민간의 각종 장식기술, 전통세시가 전송하고 있는 세시의례, 전통세시의 윤리와 교화(敎化) 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통 세시문화유산 보호의 기본 원칙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어떻게 ‘유형화’시켜야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곤란이 없는가를 탐구하는 것이고, 둘째는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자를 어떻게 보호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가능한 특별한 통로를 만들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두 가지는 바로 전통 세시문화유산 보호의 양대 원칙이다. 무형문화유산에 대해 보호를 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의식에서 철저한 혁명을 일으킬 필요가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식을 가져야만 한다.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은 자체의 상태나 보호방식이 서로 완전히 다르다. 만약 물고기로 비유한다면, 전자가 ‘어포(魚脯)’라면 후자는 ‘살아있는 물고기’인 것이다. 전자에 대한 보호 방법은 주로 썩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후자의 보호방법은 주로 양생(養生)에 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protection of annual customs. The traditional annual customs are a kin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ntain food, clothing. rituals, decorative technique, etc.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absolutely different principles in comparison to tangible cultural heritage.

      •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 관리와 활용

        천진기(Jin Gi Cheon)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009 중앙민속학 Vol.- No.14

        우리는 문화강국을 자처하고는 있지만 실제로 '한국'하면 떠올릴 수 있는 문화의 실제 모습은 무엇인가. 세계에 자랑할 만한 예술인들이 적지 않고 김치 같은 독창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만큼 기업과 문화가 손을 잡는다면 '문화의 국부화(國富化)'가 어려운 과제만은 아니다. 역사적 사실(Historical reality) 지닌 실체로서 역시성이나 의미성, 공공성을 지녔다면 지정을 통한 보존 · 관리의 전향적인 의식변화가 필요하며 동시에 근대문화유산을 문화시설과 관광자원으로서 문화인프라로 파악하는 전향적인 의식변화가 요망된다. 무형문화재에 대한 관광에 있어 민속마을로 지정된 지역의 경제성보다는 사회 문화적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민속촌 또는 야외박물관 형식의 모형문화(model culture), 무대화된 허위 민속문화(staged phony-folk culture), 관광무대(tourist stage), 전시지역(front region)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관광객과 주민 사이에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주민들의 사생활이 침해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죽어 가는 전통을 보존하고 관광객의 행동반경도 자유롭게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근대문학현장의 보존, 관리와 활용이 필요하다.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현장인 강원도 봉평은 한 작가의 명작의 고향과 생가가 자취 없이 사라진 전형적인 현장이다. 현재 작고문인이 작품을 남겼던 '창작의 산실'로 온전히 남은 곳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생가 지정 못지않게 작품의 무대가 되었던 곳을 찾아 안내판을 세우거나 기념관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의 문화유산,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 속에서 많은 재난을 견디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문화, 문화유산을 알고 찾고 가꾸는 일은 곧 나라 사랑의 근본이 되며 겨레사랑의 바탕이 된다. 문화유산은 그 자체로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해줌과 동시에 새로운 문화를 태동시키는 공간이다. Although we pretend to cultural powerhouse but actually we can't rem ind practical culture when we think of Korea. If enterprises go hand in hand with culture, it's not difficult problem to be cultural powerhouse. Because Korea has the proud artist and creative culture as Kim-chi. If something has historicity and public, we should change recogni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designation. It seemed that a social-cultural problem is serious than an economic problem about region which is designated as folk village. We introduced concept like model culture, staged phony-folk culture, tourist stage and front region to solve such problem. Such concepts are evaluated to not only protect the natives's private life but also preserve dying tradition. Also we need preservation, administr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literature field. Gang won Do Bong Pyong, background of novel 'In the buckwheat flower-blossom time' is a typical field that disappeared his hometown and the house of his birth. we can count on the fingers of one hand the place that survived wholly as locality of creation. It is important to find stage of literary works and put up the guideboard or build memorial hall. Our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culture has stood much calamity in history. Therefore it is based on love nation to take care of our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culture. The cultural heritage give us abundant life and new culture at the same time.

      • 무형문화재의 도제제도에서 나타난 상황 학습에 대한 고찰 :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세 사례를 중심으로

        안주영(Ju Young An)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009 중앙민속학 Vol.- No.14

        이 글은 교육인류학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도제제도에 대한 세 사례 연구를 비교 ·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적 상황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실행 공동체 내에서 장인-중간 기술자-도제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Lave와 Wenger는 도제제도의 실행 공동체에서 학습자가 완전한 참여자로 발전하여 학습의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실행 속에서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제제도에서 이루어지는 상황 학습은 단순히 장인-도제의 관계 속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를 포함한 실행 공동체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초보자는 주변적인 위치에서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점차 완전한 참여자가 되어 가는 것이다.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도제제도에 대한 세 사례를 비교 연구한 결과, 각각의 도제제도의 상이한 역사 ·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른 특성과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세 사례에서는 그 분야별로 매우 다른 사회적 · 경제적 상황에 처해 있었고, 그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전수 교육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사례에서는 공통된 교육적 측면이 있다. 그것은 도제제도라는 맥락에서 스승과 여러 제자들로 이루어진 실행 공동체 내의 다양한 관계를 속에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때 교육과 실행이 동시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장인정신이 특히 중시되었고, 도제가 중간 기술자를 거쳐 한 사람의 장인이 되는 데에는 후천적인 노력에 더해 선천적인 재능 역시 간과될 수 없었으며, 도제는 도제제도의 상황 학습을 통해 새로운 장인으로 거듭나고자 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무형문화재의 사려에서 보이는 특별한 “장인정신”, 최고의 장인이 되기 위한 노력과 재능, 기 · 예능분야에 대한 장인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의지라는 측면은 한국의 무형문화재의 전수교육 방식의 한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ducational anthropology, and compares three case studies about apprenticeship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gi province. Also, this article analyzes the method in which situated learning is done i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relationship between a craftsman and a middle technician and an apprentice. In result, there were three instances, that were different from form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ural context of apprenticeship system. There is four educational sides which are common in three instances. First, The education and practice became accomplished at the same time from the relationships which are various. In second, craftsmanship is considered importantly. In third, in order to become a craftsman, not only the effort which is acquired also the talent which is inherent is important. In fourth, an apprentice endeavored in order to become the new craftsman. This side shows one side of the educational method which initiate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 무형문화재의 도제제도에서 나타난 상황 학습에 대한 고: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세 사례를 중심으로

        안주영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9 중앙민속학 Vol.- No.14

        이 글은 교육인류학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경기도 무형운화재의 도제제도에 대한 세 사례 연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동체적 상황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실행 공동체 내에서 장인-중간 기술자-도제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Lave와 Wenger는 도제제도의 실행 공동체에서 학습자가 완전한 참여자로 발전하여 학습의 정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실행 속에서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도제제도에서 이루어지는 상황 학습은 단순히 장인-도제의 관계 속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를 포함한 실행 공동체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초보자는 주변적인 위치에서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점차 완전한 참여자가 되어 가는것이다.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도제제도에 대한 세 사례를 비교 연구한 결과, 각각의 도제제도의 상이한 역사·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른 특성과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세 사례에서는 그 분야별로 매우 다론 사회적·경제적 상황에 처해 있었고, 그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전수 교육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사례에서는 공통된 교육적 측면이 있다. 그것은 도제제도라는 맥락에서 스승과 여러 제자들로 이루어진 실행 공동체 내의 다양한 관계들 속에서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때 교육과 실행이 동시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장인정신이 특히 중시되었고. 도제가 중간 기술자를 거쳐 한 사람의 장인이 되는 데에는 후천적인 노력에 더해 선천적인 재능 역시 간과될 수 없었으며, 도제는 도제제도의 상황 학습을 통해 새로운 장인으로 거듭나고자 했다는 것을 불 수 있었다. 무형문화재의 사례에서 보이는 특별한, “장인정신”, 최고의 장인이 되기 위한 노력과 재능, 기·예능분야에 대한 장인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의지라는 측면은 한국의 무형문화재의 전수교육 방식의 한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ducational anthropology, and compares three case studies about apprentioeship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gi province. Also, this ariticle analyzes the method in which situated learning is done i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relationship between a craftsman and a middle technician and an apprentice. In result, there were three instances, that were different from form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ural context of apprenticeship system. There is four educational sides which are common in three instances. First, The education and practice became accomplished at the same time from the relationships which are various. In second, craftsmanship is considered importantly. In third, in order to become a craftsman, not only the effort which is aoquired also the talent which is inherent is important. In fourth, an apprentice endeavored in order to become the new craftsman. This side shows one side of the educational method which initiate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 일반논문 : 마을숲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고찰 -원주 성황림을 중심으로-

        김인선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1 중앙민속학 Vol.- No.16

        마을숲은 마을 주민들에 의해 조성되고 보호되는 숲으로서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한국의 마을숲은 그 자체로 신성하게 여겨져, 일체의 훼손 행위를 금지하는 금기(禁忌)가 굳건히 전승되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산물로서 마을숲이 가진 고유한 의미와 기능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마을숲이 생태문화의 주요 요소로서 마을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이러한 서술을 뒷받침하기 위해 원주시 신림면 성남2리에 위치한 천연기념물 제 93호 원주 성남리 성황림(原州城南里 城隍林)을 중심으로 한국 마을숲을 연구한 제 분야의 문헌 자료와 원주 성황림의 현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마을 주민들과 마을숲의 관계, 마을숲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그 공간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유의 생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동시에 성황제 등의 마을민속을 양호하게 보존하고 있는 마을숲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중요한 자연유산으로서 국가의 보호를 받기도 한다. 원주 성황림 또한 원주지역의 대표적 자연유산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원주 성황림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후에도 마을 주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존재하면서, 주민들의 휴양 공간?놀이 공간?생산 공간 등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마을의 인구가 불어나고 외지인들의 출입이 잦아지면서 하부 식생이 파괴되어 숲의 생태가 훼손되는 결과가 나타나자, 1990년도부터 마을 주민들과 시 당국은 협의 하에 원주 성황림 주위를 철제 울타리로 봉쇄하고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폐쇄 정책 이후 원주 성황림은 과거 주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삶의 터전``으로서 기능하던 공간이 아닌 주민 생활과 유리된 숲으로서 주민들 사이에서도 그 존재감이 희박한 공간이 되었다. 최근 마을숲은 환경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심신의 안정을 주는 동시에 전통문화를 전수할 수 있는 장(場)으로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마을민속의 장으로서, 공동체문화를 반영하는 산물로서 마을숲은 민속학에서 앞으로도 주목해야할 소재임이 틀림없다. Maeulsoop is built and preserved by the village residents. It reflec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Maeulsoop is considered sacred, thus the tradition of forbidding any damage to Maeulsoop has been well preserved. This study examined unique meaning and function of Maeulsoop as a reflec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village. It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Maeulsoop to become a representative space of the village as a major ele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ly Wonju Seonghwanglim (Sacred Forest) in Wonju-shi, Shinrim-myeon, seongnam-2ri which is the 93rd Natural Monument was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Korean village groves and fieldwork data. Here, I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village residents and Maeulsoop as well as symbolicity and spatial function of Maeulsoop. Maeulsoop whose unique ecology is well preserved and with which village folklore is well conserved such as Seonghwangje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hence the protection from the government. Wonju Seonghwanglim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and representative natural heritage in Wonju and consequently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After the designation, Wonju Seonghwanglim remained as a ``base of life`` for village residents and it was used as recreational, playing and productive spaces. However, as the village population grew and tourists frequently visited Seonghwanglim, vegetation in a lower level was destroyed and ecology of the forrest damaged. As a result of discussion, residents and the local authority erected a metal fence surrounding Seonghwanglim in 1990 to restrict entry of the general public. Such restrictive policy changed the space of Seonghwanglim from the ``base of life`` where people freely entered, into an isolated forrest. It lost a meaning as a significant space among residents. Maeulsoop is gaining attention as a space to educate people with environmental sensibility, provide them with mental and physical comfort,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It is a significant theme in ethnography as a space of village folklore and a product reflecting community culture.

      • 일반논문 : "전통문화"의 상징적 공간, "인사동"의 역사성 재고`

        김승유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1 중앙민속학 Vol.- No.16

        본 연구는 서울에서 가장 전통적인 공간으로 자명하게 인식되고 있는 ``인사동``이 어떻게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는지, 즉 이 공간에서 다량의 ``전통 이미지``가 생산되고 소비되는지에 대한 배경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된 ``인사동``의 역사성 재고를 통해 ``인사동``은 ``전통문화의 거리``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서점의 거리``, ``병원의 거리``, ``골동품의 거리``, ``정치 일번지``, ``문화·예술의 거리``라는 이미지가 공존하며 형성되어 온 것임을 밝혔다. 또한 다양한 이미지가 공존하던 ``인사동``에 1980년대를 전후로 하여 ``전통문화의 거리``라는 새로운 이미지가 등장하고, 이로 인해 다른 이미지들이 점차 이것에 수렴되는 현상을 ``전통문화`` 담론의 등장 배경과 함께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전통문화`` 담론을 통해 ``인사동``의 지역정체성과 이미지는 ``전통문화``로 대변하게 되었고, 이것을 지속·강화시키기 위해 다량의 ``전통 이미지``가 창출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근대적 상업공간이라는 역사성을 갖고 있는 ``인사동``은 ``역사 만들기`` 작업을 통해 전근대적인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 타자화 되었으며, 이를 통해 ``인사동``의 ``전통문화``는 반드시 지켜야할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이상화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Insa-dong`` that is recognized obvious most traditional place in Seoul how to be symbolic place ``traditional culture``, that is to say a background to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discourse on abundant ``Tradition image`` in this place. First, I insist ``Insa-dong`` has been formed various images such as a ``street of bookstore``, a ``street of hospital``, a ``street of antique``, a ``1 street address of politic``, a ``street of culture and art`` and a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reconsideration of recorded in historicity. And it has appeared a new image called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in ``Insa-dong`` in the nineteen eighties. I hereby analyze aspect various images integrate into an image called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with backgrounds of ``traditional culture`` discourses. As a result, a region identity and image of ``Insa-dong`` represent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discourses, which is affected to create abundant ``Tradition image``. Eventually, ``Insa-dong`` that has historicity titled modern commerce place was othering as a pre-modernity via working ``making history``, which is ``tradition culture`` of ``Insa-dong`` idealized invaluable cultural heritage to protect surely.

      • 일반논문 :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통문화교육의 일고찰

        김행심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0 중앙민속학 Vol.- No.15

        오랜 역사와 함께 만들어 내고 유지하면서 전승해온 전통문화는 오늘날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 여전히 남아서 면면히 전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문화는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우리 고유의 전통과 정신문화에 소중한 내용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현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교의 이론학습과 방과후 박물관 등과 연계한 살아 움직이는 체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교과서의 공교육과 사회교육기관의 연계로 학교 밖에서의 문화유물이나 박물관을 통한 방과후 학교프로그램과 사회체험프로그램에서 직접 체험으로 병행 할 수 있다. 한편 체험학습은 주중과 주말, 방학이라는 시간적 특성을 살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전통문화의 맛과 멋을 느끼고 배울 수 있으며 유물을 직접 만져 볼 수 있는 전시체험학습도 있다. 또 역사체험과 민속교실이 있으며, 박물관캠프를 통한 역사와 민속이 있는 현장에서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여기에 포함된다. 더불어 앞으로도 전통문화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주체적이고 지속적인 개발로 전통문화를 계승하며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교육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Along with our long history,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continuously brought into our daily life as a living culture.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for children, provides our distinct moral culture and traditions. Currently, 7th curriculum in education includes programs such as methodological study and visiting museum after school. Current curriculum includes programs that coordinate public and social education with diverse experience outside of school. This kind of on-the-spot experience study make the most of using weekdays, weekends, and vacations to find out and study the beauty of our tradition. Display experience study gives students a chance to touch the artifacts as well. There is history experience and folklore class. It also includes museum camp which offers traditional experience like folklore. Diverse experienc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should independently and continuously be developed and restructured with the pursuit of contemporary value of education.

      • 통일민속학 시고(試考)

        박환영(Hwan-Young Park)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007 중앙민속학 Vol.- No.12

        한국민속학은 한민족의 일상적인 생활문화를 그 연구대상으로 한다. 또한 민속학은 현지조사를 기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속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민속의 현장을 직접 조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북한 현지에서의 민속조사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도 사실이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보면 한국민속학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 한국의 민속을 비롯해서 북한의 민속을 포괄할 수 있는 통일민속학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정치와 경제구조가 바뀌어도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민속문화는 여전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령 예를 들어서 북한의 속담과 수수께끼를 보면 정치적인 색채가 뚜렷하지만 역시 그 속에는 한민족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한민족문화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민족이 공유하고 있는 민속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통일민속학은 그 중심에서 한민족문화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Folklore studies in Korea generally deal with ordinary Koreans' daily life culture. Also, in folklore studies, fieldwork carried out by folklorists plays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delicate aspects of folk culture. Until quite recently doing fieldwork in North Korea has been nearly impossible, because it was almost unaccessible. Nevertheless, today, there is some possibility to visit North Korea and probably to do some field research on North Korean culture. This is because folklorists who promote purely traditional Korean culture are well treated in terms of promoting the same cultural identity. From this standpoint and perspective, it seems to be the right time now to discuss the so called "folklore for unific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are similar folk culture even though each side has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Hence the consistent efforts for cooperative researches on Korean folk culture between South and North led to the "folklore for unification" contributing to form "one" cultural community for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