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통문화교육의 일고찰

        김행심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0 중앙민속학 Vol.- No.15

        오랜 역사와 함께 만들어 내고 유지하면서 전승해온 전통문화는 오늘날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 여전히 남아서 면면히 전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문화는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우리 고유의 전통과 정신문화에 소중한 내용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현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교의 이론학습과 방과후 박물관 등과 연계한 살아 움직이는 체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교과서의 공교육과 사회교육기관의 연계로 학교 밖에서의 문화유물이나 박물관을 통한 방과후 학교프로그램과 사회체험프로그램에서 직접 체험으로 병행 할 수 있다. 한편 체험학습은 주중과 주말, 방학이라는 시간적 특성을 살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전통문화의 맛과 멋을 느끼고 배울 수 있으며 유물을 직접 만져 볼 수 있는 전시체험학습도 있다. 또 역사체험과 민속교실이 있으며, 박물관캠프를 통한 역사와 민속이 있는 현장에서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여기에 포함된다. 더불어 앞으로도 전통문화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주체적이고 지속적인 개발로 전통문화를 계승하며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교육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Along with our long history,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continuously brought into our daily life as a living culture.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for children, provides our distinct moral culture and traditions. Currently, 7th curriculum in education includes programs such as methodological study and visiting museum after school. Current curriculum includes programs that coordinate public and social education with diverse experience outside of school. This kind of on-the-spot experience study make the most of using weekdays, weekends, and vacations to find out and study the beauty of our tradition. Display experience study gives students a chance to touch the artifacts as well. There is history experience and folklore class. It also includes museum camp which offers traditional experience like folklore. Diverse experienc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should independently and continuously be developed and restructured with the pursuit of contemporary value of education.

      • 일반논문 : 마을숲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고찰 -원주 성황림을 중심으로-

        김인선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1 중앙민속학 Vol.- No.16

        마을숲은 마을 주민들에 의해 조성되고 보호되는 숲으로서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한국의 마을숲은 그 자체로 신성하게 여겨져, 일체의 훼손 행위를 금지하는 금기(禁忌)가 굳건히 전승되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산물로서 마을숲이 가진 고유한 의미와 기능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마을숲이 생태문화의 주요 요소로서 마을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이러한 서술을 뒷받침하기 위해 원주시 신림면 성남2리에 위치한 천연기념물 제 93호 원주 성남리 성황림(原州城南里 城隍林)을 중심으로 한국 마을숲을 연구한 제 분야의 문헌 자료와 원주 성황림의 현지조사 자료를 토대로 마을 주민들과 마을숲의 관계, 마을숲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그 공간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유의 생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동시에 성황제 등의 마을민속을 양호하게 보존하고 있는 마을숲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중요한 자연유산으로서 국가의 보호를 받기도 한다. 원주 성황림 또한 원주지역의 대표적 자연유산으로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원주 성황림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후에도 마을 주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존재하면서, 주민들의 휴양 공간?놀이 공간?생산 공간 등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마을의 인구가 불어나고 외지인들의 출입이 잦아지면서 하부 식생이 파괴되어 숲의 생태가 훼손되는 결과가 나타나자, 1990년도부터 마을 주민들과 시 당국은 협의 하에 원주 성황림 주위를 철제 울타리로 봉쇄하고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폐쇄 정책 이후 원주 성황림은 과거 주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삶의 터전``으로서 기능하던 공간이 아닌 주민 생활과 유리된 숲으로서 주민들 사이에서도 그 존재감이 희박한 공간이 되었다. 최근 마을숲은 환경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심신의 안정을 주는 동시에 전통문화를 전수할 수 있는 장(場)으로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마을민속의 장으로서, 공동체문화를 반영하는 산물로서 마을숲은 민속학에서 앞으로도 주목해야할 소재임이 틀림없다. Maeulsoop is built and preserved by the village residents. It reflec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Maeulsoop is considered sacred, thus the tradition of forbidding any damage to Maeulsoop has been well preserved. This study examined unique meaning and function of Maeulsoop as a reflec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village. It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Maeulsoop to become a representative space of the village as a major ele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ly Wonju Seonghwanglim (Sacred Forest) in Wonju-shi, Shinrim-myeon, seongnam-2ri which is the 93rd Natural Monument was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Korean village groves and fieldwork data. Here, I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village residents and Maeulsoop as well as symbolicity and spatial function of Maeulsoop. Maeulsoop whose unique ecology is well preserved and with which village folklore is well conserved such as Seonghwangje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hence the protection from the government. Wonju Seonghwanglim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and representative natural heritage in Wonju and consequently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After the designation, Wonju Seonghwanglim remained as a ``base of life`` for village residents and it was used as recreational, playing and productive spaces. However, as the village population grew and tourists frequently visited Seonghwanglim, vegetation in a lower level was destroyed and ecology of the forrest damaged. As a result of discussion, residents and the local authority erected a metal fence surrounding Seonghwanglim in 1990 to restrict entry of the general public. Such restrictive policy changed the space of Seonghwanglim from the ``base of life`` where people freely entered, into an isolated forrest. It lost a meaning as a significant space among residents. Maeulsoop is gaining attention as a space to educate people with environmental sensibility, provide them with mental and physical comfort,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It is a significant theme in ethnography as a space of village folklore and a product reflecting community culture.

      • 일반논문 : "전통문화"의 상징적 공간, "인사동"의 역사성 재고`

        김승유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1 중앙민속학 Vol.- No.16

        본 연구는 서울에서 가장 전통적인 공간으로 자명하게 인식되고 있는 ``인사동``이 어떻게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는지, 즉 이 공간에서 다량의 ``전통 이미지``가 생산되고 소비되는지에 대한 배경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된 ``인사동``의 역사성 재고를 통해 ``인사동``은 ``전통문화의 거리``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서점의 거리``, ``병원의 거리``, ``골동품의 거리``, ``정치 일번지``, ``문화·예술의 거리``라는 이미지가 공존하며 형성되어 온 것임을 밝혔다. 또한 다양한 이미지가 공존하던 ``인사동``에 1980년대를 전후로 하여 ``전통문화의 거리``라는 새로운 이미지가 등장하고, 이로 인해 다른 이미지들이 점차 이것에 수렴되는 현상을 ``전통문화`` 담론의 등장 배경과 함께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전통문화`` 담론을 통해 ``인사동``의 지역정체성과 이미지는 ``전통문화``로 대변하게 되었고, 이것을 지속·강화시키기 위해 다량의 ``전통 이미지``가 창출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근대적 상업공간이라는 역사성을 갖고 있는 ``인사동``은 ``역사 만들기`` 작업을 통해 전근대적인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 타자화 되었으며, 이를 통해 ``인사동``의 ``전통문화``는 반드시 지켜야할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이상화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Insa-dong`` that is recognized obvious most traditional place in Seoul how to be symbolic place ``traditional culture``, that is to say a background to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discourse on abundant ``Tradition image`` in this place. First, I insist ``Insa-dong`` has been formed various images such as a ``street of bookstore``, a ``street of hospital``, a ``street of antique``, a ``1 street address of politic``, a ``street of culture and art`` and a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reconsideration of recorded in historicity. And it has appeared a new image called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in ``Insa-dong`` in the nineteen eighties. I hereby analyze aspect various images integrate into an image called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with backgrounds of ``traditional culture`` discourses. As a result, a region identity and image of ``Insa-dong`` represent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discourses, which is affected to create abundant ``Tradition image``. Eventually, ``Insa-dong`` that has historicity titled modern commerce place was othering as a pre-modernity via working ``making history``, which is ``tradition culture`` of ``Insa-dong`` idealized invaluable cultural heritage to protect surely.

      • 울룽도 마을 신앙의 전승과 변모양상

        하정숙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6 중앙민속학 Vol.- No.11

        울릉도 개척 당시에는 산신제의 형태이던 마을신앙이 고기잡이가 시작되면서 해신 제의 성격도 갖추게 되었다. 예로부터 어부가 새로운 배를 마련하면 당연히 성하신당에서 울릉도를 지켜주는 성하지 여신에게 제를 올린다. 우리나라 어촌지역의 마을신앙의 구조를 살펴보면 산신제는 상당이고 할아버지 신을 서낭제는 하당에 할머니 신을, 그리고 풍어제의 제당이 첨가된 삼중구조를 가지고 있다. 울릉도의 마을신앙도 이러한 구조를 가졌을 것이다. 1900년도에 들어와 일본인들이 대거 들어오면서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에서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변화가 시작되었다. 한일합방이 이루어지면서 모든 정치적, 경제적 권한을 가지게 된 일본은 대거 이주하게 되면서 오징어잡이에 박차를 가하게 된 다. 광복 후 오징어잡이로 인하여 본토보다 훨씬 높은 소득을 올리면서 풍족한 생활을 하였다. 1980년 이후 관광의 붐으로 인하여 안전한 정기 여객선들도 증가하게 되고, 외지의 사람들이 땅을 사서 공장을 짓고, 음식점 들을 경영하는 둥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주민들의 모든 관점이 경제적인 부에 쏠리게 되었다. 지금은 경제 수입의 69% 이상을 관광업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울릉도 마을신앙은 관광 화를 목표로 하는 생업의 전환에 따라, 점점 사라질 위기에 있다. 여기에 기독교 등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늘어감에 따라 당제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태하리에는 태하신당 이외에 천제당, 산신당, 해신당 등이 있지만 이미 법화당은 없어져 산신당가 합해졌으며, 다른 신당의 경우는 형식적으로 3월 1일 간단히 제물을 올려 제사를 지내고 있다. 태하신당은 특별히 옛날부터 배와 관련된 신앙을 가진 곳으로 지금도 어업, 선주 등은 꼭 참석해야하는 당제이기에 특별히 군차원에서 보존되고 육성되고 있지만, 다른 당들의 전승은 앞으로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울릉도는 천연기념물인 향나무들, 원시림, 그리고 너와집, 투막집 둥 많은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다. 산신제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신앙은 농민, 어민, 산민 등이 어우러져 지내는 점이 매우 가치가 있다. 이러한 특징이 살아있는 전통문화인 산신제, 해신제가 울릉도만의 장점을 마을사람들이, 소중한 마음으로 가꾸어 간다면 우리의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A Changing Phase and Transmitting Phase of Ullengdo village belief In Ullengdo`s pioneering time, the village belief of Sansin service was began with fishing. From former times, Ullengdo fishers have made sacrifices to the local gods of Sungha shirine whenever they made a new ship. The sea village` belief of Korea is made of Sansin-service that worships grandfather spirit, a local god-service that worships grandmother, and a service that worships sea to ensure a good harvest. Ullengdo village belief is assumed to have the same style. In the early l9century, as Japanese attacked Korea, Ullengdo people`s life style was changed from farming to fishery. Japanese had political and economical right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Japan as many of them migrated to Ullengdo and they put a lot of effort into cuttlefishing.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People of Ullengdo were better off as a result of cuttlefising. Since 1980, the production of a ship were increased by many tourists, Many foreigners came here, they built factories, and opened restaurants. Ullengdo depends on tourism for most of its income. Now above 69% of income is from tourist trade. Ullengdo village belief is in danger to vanish, as their occupation are changing to tourism. The biggest reason of this is that as the number of christians and others rise dramatically, they don`t participate in village service any more. There are Taeha shirine, the house of worship of Heavens, Sansin shrine, and Haesin shirine in Taehali, but Bubwha shrine has disappeared. Worship is done formally on March 3rd by offering something to a god as a sacrifice. Only Taehasin shrine which has been belief relating a ship is managed by the county office attendance of shipowner. The transmission of other shrines is unclear. Ullengdo has many tourism resources such as chinese juniper, virgin forest single-roofed house, and Tumak house, Ulleng village belief like Sansi service are along with peasants, fishermen, and mountainmen and its value is very high. If Ullengdo natives keep their traditional beliefs and culture with all their heart, these could be kept as precious culture heritage.

      • 한국(韓國)의 산간축제(山間祝祭)와 산간유회(山間游戱)고찰(考察)

        김선풍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7 중앙민속학 Vol.- No.12

        놀이는 신의 세계를 구현한 것이라 하거니와 인간이 현실의 세계를 떠나 신의 세계를 알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놀이의 높은 상징성에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놀이는 종교적 행식(行式)이나 세시풍속에서 출발한다. 한국의 전통 놀이의 역사는 한국인의 정신사를 대변한다. 원시사회의 제사는 공동체의 복지에 빼놓을 수 없는 성스러운 놀이며, 그것은 우주적 통찰에 충만된 사회적 발전을 잉태한 놀이며, 결국 제사행위, 그 중요한 부분은 언제나 놀이의 범주 속에 남아 있고 놀이에 종속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짓고 있다. 한국적 무대 (stage)로서의 판, 그것은 둥근 원형이여 이는 둥근 태양과 달 모습의 재현으로 달의 상징성을 그리며 예술적 생산성을 창출하고 있는 신성유회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둥글어 모난 데가 없고 원만한 인격체를 상징하며 크게는 생생력까지 발동하는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인격인 원판형의 인격이다. 놀이가 인간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은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으며, 한국축제의 남상은 산간축제로부터 비롯되었음을 여기서 말하고자 한다. Play embody in the divine world, in order to know about the divine world it is best to study the meaning of play. Play starts with a religious ceremony or annual customs.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play can relate to Koreans` motive in spiritual mind. In old days, religious service was a unexcludable holy play. This is a ceremony that depends on social development through the study of the universe. In conclusion, religious service is always in the category of play and it is subordinate to it. The meaning of ``stage`` in Korean term means that it is shaped round. It symbolizes the sun and the moon which bring productivity of art to a divine play. It has no angular, symbolizing the harmony of personality which is the best personality mankind can pursuit. This is the greatest gift that mankind can achieve from the play. Korean mountain rituals have originated from this notion.

      • 일반논문 : 민속학에서 세간 이야기세간화(世間話) 연구의 위치와 가능성

        고이케준이치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10 중앙민속학 Vol.- No.15

        이 글의 목적은 일본민속학사에서 세간 이야기가 변천해온 과정과 그 위상, 그리고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먼저 야나기타 구니오의 구승문예 연구와의 연관성을 통해 당해 개념이 내포한 모순과 특징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세간 이야기와 소문 그리고 도시전설, 현대전설 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시민속학으로 계승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결론으로서 세간 이야기가 단순히 연구 대상만이 아닌 연구 관점으로서의 유효성을 (1) 민속학적 인식구조의 전환, (2) 라이프 히스토리 연구로의 발전, (3) 커뮤니케이션의 장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In this article, I discuss looked back on the study of the SEKEN-BANASHI(世間話) in the Japanese folklore and discussed it about the possibility. At first I spoke an oral tradition literary study of Kunio Yanagita here. I discussed it about the point that contradicted the specialty of the SEKEN-BANASHI. Next, I discuss the rumor and the relations with the urban legend. The SEKEN-BANASHI study succeeds in particular as city(urban) folklore. Furthermore, I insisted the SEKEN-BANASHI study as a viewpoint to think about (1) A Recognition structure of the investigation, (2) The approximation with the life history study, (3) A property of the communication area, is important.

      • 단오절 용주문화(龍舟文化)의 연원과 실제 -대만 의란현 용주경도를 중심으로-

        장정룡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6 중앙민속학 Vol.- No.11

        단오절은 춘절, 중추절과 함께 삼절이라 하여 중국의 3대 명절에 속한다. 현재 중국 전역 단오절의 대표적인 행사는 시식으로 종자먹기와 민속놀이로 용주경도, 제의로 단오절 굴원제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모두 애국시인 굴원을 기일을 추념하는 절일의 용주경도로 진행된다.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조선족의 경우도 단오명절을 중시하나 용주경도는 하 지 않고 씨름, 널뛰기, 그네뛰기 등 한민족 고유의 단오민속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 단오문화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대만 단오절 용주경도 행사의 전통과 변화된 상황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의 단오명절 때는 볼 수 없는 용주경도와 시식인 쭝즈는 중국단오의 큰 특징이다. 의란현 용주경도는 이러한 時流에 비해 비교적 단오절의 행사를 지켜나가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용주경도가 지역축제화된 사례로 많은 관람객들이 모여들고 있으며 각 단체에서는 한 해에 한 번 용주경도 행사에 참가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생각된다. 대만의 단오절은 중국전통을 유지 계승하는 측면에서 용주경도를 강조하고 있으며 초나라 시인 굴원을 문화상징인물로 부각시키고 있는 점은 한국단오절과 다르다. 한국과 중국은 음력 단오절을 지속화시키고 있으나 일본은 양력 5월 5일 어린이날과 합쳐지면서 단오고유의 의미가 날로 쇠퇴하고 있음도 비교문화의 측면에서 보면 흥미로운 일이다. 의란현 단오절 용주경도는 중국의 세시풍속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으나 축제인프라나 조직 등에서 국제축제화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단오절 용주경도의 다양한 경쟁방식을 개발하고, 굴원제의의 확대, 단오용주의 조각대회, 쭝즈만들기 체험행사, 단오부채만들기, 단오관련 기념품개발, 국제관광단 유치 등을 통한 세계축제화의 기획과 전략이 마련된다면 대만단오절은 바람직한 전통계승과 현대적 재창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is about som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Dano festivals. In particular. I try to emphasize ongoing tradition and changes of Dragon Boat race in the Taiwanese Dano festival In compare to the Korean Dano festival. The Taiwanese Dano festival is still premature and local rather than international. For this sense,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Dano festival is good lesson for the Taiwanses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