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먼 조건 또는 인간의 조건

        김응준 ( Kim Eung-j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이 인류의 유토피아를 과학기술적으로 구현하는 새로운 인간 조건을 실현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은 불완전하고 유한한 존재인 인간을 완벽한 인간(Homo Magnus)으로 만들 수 있는 도구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과학기술적으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함은 인간을 위한 새로운 인간 조건 산출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질적 차이를 보인다. 휴머니즘이 인간과 과학기술을 분리하면서 인간중심적인 존재조건을 구성한 반면에 포스트휴먼은 과학기술 의존적이며 탈주체적인 인간조건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적으로 재구성되는 포스트휴먼은 인간이 과학기술과 완전히 연결되고 연동되는 곳으로 과학기술적 합리성과 보편성이 지배하는 곳이며 바로 이곳이 인간의 새로운 유토피아가 될 것이라고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은 주장한다. 하지만 과학기술과 인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인간(Homo Creator)의 생산물인 포스트휴먼적-과학기술적 재구성이 파국적 숙명의 인간(Homo Fatalis)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조망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인간조건에 대한 포스트휴먼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ritically evaluate if the Posthuman can set a new human condition that pursues utilitarian universality. Scientifical technology can change the imperfect and finite humankind into a perfect one (Homo Magnus). Overcoming the limits of humankind with technology also means setting a new condition of humankind. 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qualitative different. The former has set the human-focused condition, while the latter is trying to set a human condition that is dependent on technology. And the individuals are becoming de-subjectificative. The condition of post-human rebuilt with technology is that human is perfectly connected to technology, works together with technology and is ruled by technological accuracy and universality. The posthumanists argue that this generation will be the new Utopia. But the technological human condition has always evolved together with the humankind. So we should realize that the product of Homo Creator, the technological reconstruction, can lead us to Homo Fatalis. In this view, this study covers the blind point of the posthuman discussion about the new condition of human.

      • KCI등재

        인문학적 객관성과 현상학적 방법론

        박승억 ( Park Seung U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최근 호킹이나 도킨스와 같은 자연과학 연구자들이 인문학의 전통적인 문제들에 대해 대답을 시도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한 편으로 영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전위적 탐구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인문학적 탐구 영역의 위축이라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기도 하다.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과학 역시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자연과학적 탐구 방식은 학문 탐구 방식에 있어 표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문학적 탐구의 본성과 역할의 문제를 제기한다. 근대 이래로 자연과학이 성공적이었던 까닭은 그 탐구의 객관성에 있었다. 그렇다면 인문학적 탐구에 있어서도 객관성을 말할 수 있을까? 있다면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은 무엇을 의도할까? 이 논문은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주로 현상학적 방법론에 의지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른바 사회적 딜레마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인문학적 탐구가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Recently, it is not strange to see that the famous natural scientists have tried to answer the old metaphysical questions. It is good to see, on a positive side,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but at the same time it negatively means the shrinkage of the research territory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originally aimed at seeking for the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has also adopte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Scientific research becomes the standard of every academic research. This situation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ature and role of humanities research.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key to the success of natural science is the objectivity of their methodology. Then, could we request for objectivity in humanities research? I have tried to argue in this paper the objectivity of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help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it shows which role humanities research has in the research about the so-called social dilemmas.

      • KCI등재

        과학과 문화에 대한 니체의 사유

        서광열 ( Seo Kwang 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반시대적 사상가로서의 니체(1844-1900)의 모습은 과학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도 예외 없이 드러난다. 그는 과학의 성과를 더 이상 거부할 수 없었던 19세기에 태어났고 살다 죽었다. 1870년대의 젊은 니체는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과학서적도 열심히 읽었다. 그러나 그는 과학에 경도되기 보다는 냉정한 비판자의 입장에서 과학을 바라보았다. 그는 과학의 경험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의 확장을 사실적인 진리로 높이 평가하면서도, 과학이 과거 형이상학처럼 절대시되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간단히 말해 그는 과학이 아니라 `과학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는 과학을 문명화과정의 일부로서는 인정하였으나, 문화로 인정하지는 않으려했다. 그렇다고 그가 과학을 외면했던 것은 아니다. 니체가 왕성한 집필을 시작한 1880년대에 들어 그의 과학서적 구입은 줄어들었으나, 그의 저술에서 과학에 대한 관심과 수용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다윈의 진화론 등은 니체의 `위버멘쉬` 사상에 영감을 제공하였고, 로버트 마이어의 열역학은`힘에의 의지`에, 에너지 보존법칙은 `영원회귀`를 착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연과학에 대한 니체의 독서경험과 관심은 그의 철학에 창조적으로 수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후기 철학은 문화로서의 과학(학문)을 창조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과학에 예술적 성격을 불어넣는 것을 통해 비로소 가능해진다. 그의 “즐거운 학문”은 더 이상 좁은 의미의 자연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을 설명하지 않고 해석하는 학문이다. 해석의 자유가 곧 니체에게는 학문의 즐거움이며, “즐거운 학문” 이라야 문명이 아닌 문화가 될 수 있다. Nietzsche`s resistance against his times was, without exception, manifested in his attitude toward science. He was born, lived and died in the 19<sup>th</sup> century when men could not deny the outcome of science any more. Young Nietzsche in the 1870s had an interest in science and read science books devoutly. But he was not hooked on science, but understood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thinker. On the one hand, he admired the realistic fact and knowledge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he rejected absolutization of science like traditional metaphysics. In short, he rejected not science but scientism. He admitted the fact that science was civilization. However, he would not think that natural science was a kind of culture. In the 1880s, Nietzsche wrote many books, and purchased a lesser amount of science books. But his interest and adaptation of scientific ideas increased. His idea of `Overman`, `Will-to-Power` and `eternal recurrenc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science of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He embraced his own readings of natural science books and reflected them in his later philosophy. As s result, the task of Nietzsche was translated into a creation of `science as culture`. According to Nietzsche, this task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union of science and art. His Gay Science was not science in a narrow sense. For Nietzsche, science is an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the freedom of interpretation was the gaiety of science. This gaiety is a necessary condition of science as culture.

      • KCI등재

        특집: 서양근현대철학, 그 나름과다름 :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마투라나와 하이데거의 생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민규홍 ( Kyu Hong Min ),김태경 ( Tae Kyung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9

        본 논문은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의 문제점을 밝히고 새로운 생명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은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을 바탕에 두고 생물학의 분야를 넘어서 인간의 사회, 정치, 윤리에 관한 학문영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단순한 이론적인교류를 넘어선 과학적 생명개념을 통한 환원주의를 표방한다. 따라서 과학적 생명개념은 다양한 학문영역의 토대로 여겨지며 그러한 이론들을포섭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과연 정당한가는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과학적 생명개념이 정당한 개념인지가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이 분명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의발전과 더불어 형성된 개념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 개념이 앞선 두이론으로부터 명확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개념인지는 오히려 불분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이러한 불분명한 점을 밝혀내어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이 결코 환원주의적 모델의 토대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본원적인 생명현상을 사상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그리고 새로운 생명개념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지 모색해 볼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lose the problems of a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and to claim that we need to define a new concept of life.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was based on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has exerted an effect on the domains of knowledge of human society, politics and ethics beyond the realm of biology. This effect claims to support reductionism through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exceeds simple theoretical exchanges. Therefore, there are attempts to embrace other domains of knowledge through this concept which is regarded as a foundation for modern science. But whether this attempt is reasonable or not should be carefully reexamined because there are reasons to doubt some justifications of the scientific concept of life. Though it is evident that the scientific concept of life was developed by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it is obscure whether this concept is supported by these theories. This being so, I will try to explain why this concept is obscure and that this concept is deficient to be foundation of reductionism and eliminates phenomena of life. Then, I will examine where we can seek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concept of life.

      • KCI등재

        틀 내 창의성과 틀 간 창의성 -패러다임과 과학의 창의성-

        이상원 ( Lee Sang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이 논문은 과학의 창의성에 대해 다룬다. 그러므로 이 글은 창의성 일반에 대한 논의라기보다는 특수한 창의성을 다루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특수한 창의성으로서의 과학의 창의성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한다. 과학의 창의성을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틀 내’ 창의성이다. 또 하나는 ‘틀 간’ 창의성이다. 틀 내 창의성을 창의성 A로 나타냈고, 틀 간 창의성을 창의성 B로 나타냈다. 이 두 가지 의미의 과학의 창의성에 대해 다루면서 쿤의 과학관을 활용한다. 패러다임 내에서의 과학적 성취는 틀 내과학의 창의성의 전형이다. 한 패러다임을 폐기하고 다른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과학적 성취는 틀 간 과학의 창의성의 전형이다. 이 글은 과학의 창의성을 틀이라는 시각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며 동시에 쿤 과학철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노력이다.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issue of scientific creativity.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research on specific creativity than general creativity. I try to deal with scientific creativity as specific creativity. I divide scientific creativity into two. One is scientific creativity ‘within a frame’. I refer to this as ‘creativity A’. The other is scientific creativity ‘between frames’. I refer to this as ‘creativity B’. Dealing with these two kinds of scientific creativity, I use Kuhn’s view on science. Scientific achievements within a paradigm is typical of ‘within a frame’ scientific creativity. Scientific achievements in preferring a new paradigm while discarding an old paradigm is typical of ‘between frames’ creativity. This paper is an attempt both to grasp a meaning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o interpret Kuhn’s philosophy of science in light of new philosophical vis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플라톤의 『정치가』에서 치술의 조건

        김태경 ( Tae Kyung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7

        이 논문은 ‘법’과 ‘지혜’가 치술의 중요한 조건임을 밝히기 위해 플라톤의 『정치가』, 291a-303c을 분석한다. 특히 이 논문은 치술의 대상이 되는인간 및 인간사와 관련해 법과 지혜의 성격을 이해하며, 인간사의 가변성과 인간 종의 복잡성 때문에 지혜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법의 완고함과 구별되는 지혜의 유연함을 밝힌다. 지혜는 인간 종의 복잡성 및 이 세계의 무질서로 인해 필요하다. 지혜는 다양하고 변화하는 인간사의 본성에 관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치술에필요한 조건이 될 수 있다. 또한 법도 치술의 조건으로, 인간 종의 복잡성 및 인간사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하다. 법은 지혜의 보존을 통해 인간사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인간의 지성의 차이로 인해 지혜는 치술에서 다시 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법’과 ‘지혜’는 모두 치술의 조건이다. 법은 인간 종의 복잡성 및 인간사의 변화를 잘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지혜를 필요로 하는치술의 조건이며, 지혜는 인간의 지성의 차이 때문에 법을 필요로 하는치술의 조건이다. This paper analyzes Plato`s Statesman291a-303c in order to explore “law (Nomos)” and “wisdom (Phronesis)” as a condition for politics. This paper epecially understands the characters of law and wisdom in relation to humans and human affairs as objects of politics and argues the importance of wisdom because of variability of human affairs and the complexity of human eidos. Thus this paper intends to illuminate the flexibility of wisdom and the distinguished obstinacy of law. It is necessary to examine wisdom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of human eidos and disorderliness of the world. Wisdom can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politics because of the cap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nature of diverse and variable human affairs. Law also is a condition for politics which is necessary to meet with the complexity of human eidos and the variability of human beings. In the face of the difference with respect to human intelligence, wisdom again requires law. Therefore, both law and wisdom are the conditions for politics. Law is a condition for politics which is necessary to wisdom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complexity of human eidos and the variability of human things. Wisdom is a condition for politics which is necessary to law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human intelligence.

      • KCI등재

        “좋은 감정들”의 공간, 추모 박물관-애도 공간 속 “해피엔딩”과 “나쁜 감정들”에 관하여-

        차지민 ( Cha Jim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1

        추모 박물관은 슬픔의 공간이다. 그러나 박물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다면, 감동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으로 박물관을 나선 경험이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애도의 공간에서 “좋은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러한 현상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기존의 박물관 연구는 방문객의 감정적 반응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수용하는데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모 박물관 속 “좋은 감정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연구가 놓친 “나쁜 감정들”을 방문자의 시선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박물관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추모 박물관 속 감정적 경험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방문자가 희생자에게 감정적으로 이입되어 전시를 경험하는 현상이 어떻게 방문객을 이성이 아닌 감정에 “지배”되도록 하는지, 둘째, 과거의 인권유린을 사회 구조적 문제가 아닌 희생자들의 개인적인 비극으로 파편화시키는 전시 형식이 어떠한 단절을 촉발하는지, 마지막으로 과거가 “해피엔딩”에 도달했음을 상징하는 추모 박물관 속 “좋은 감정들”과 “나쁜 감정들”에 대해 살펴본다. 추모 박물관에 존재하는 “나쁜 감정들”은 지금까지의 박물관 연구가 주목하지 않은 요소로, 본 연구는 방문객 인터뷰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바로 이 “나쁜 감정들”을 바탕으로 박물관에 관한 논의의 폭을 넓힌다. 구체적인 토론을 위해 미국 워싱턴 디시의 홀로코스트 박물관(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과 저자가 방문객 인터뷰를 실행한 칠레 산티아고의 칠레 인권박물관(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이 소개된다. A memorial museum is a place of sorrow. However, those who have ever visited a memorial museum might have recalled at least an experience that ended with a positive feeling. Why does a space of mourning provoke “good feelings” and what does this phenomenon imply? Existing research of museums tends to be reluctant to analyze visitors’ emotional responses and to reflect their voices. Thu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voices of the visitor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museum research by considering not only the “good feelings”, but also the “bad feelings” that are provoked in the memorial museums. This study examines the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memorial museum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study examines first, how the phenomenon of the museum-goers being emotionally transferred to the victims makes the visitors “ruled by” emotions rather than reason. Second, the study scrutinizes how an exhibition creates disconnections by compartmentalizing past human rights abuses into individual tragedies of the victims as a result erasing the societal structural issues that caused the atrocity. Lastly, the study examines the “good feelings” and the “bad feelings”, which is an elemen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the memorial museums. Therefore, by actively utilizing visitor interviews on “good feelings” and “bad feelings”, which is a facet that has remained unexplored, this study intends to broaden and diversify the scope of museum discussions. For the discussions, it introduces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in Washington, DC, and the 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 in Santiago, Chile, where the author conducted visitor interviews.

      • KCI등재

        일반논문 : 융복합 시대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을 중심으로-

        원만희 ( Manhee 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9

        이 시대는 대학에게 융복합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융복합 교육은 개별화된 학문의 벽을 허물고 다양한 종류의 학문적 내용을 동시에 수용, 분석, 비판하고 새로운 결과물을 산출하는 능력의 함양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문을 가로지르는 융합적 사고 능력을 갖추는 것과 함께사고 결과물을 생생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글쓰기는 이 점에서 융복합의 핵심적 도구라 할 수 있다. 글쓰기는 어떤 생각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다. 말하기와는 달리 글쓰기는 그 과정에서 생각을 모으고, 정리할 뿐만 아니라 정리된 생각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기도 한다. 여기서 필자는융복합적 사고, 즉 창의적이고 다면적인 사고가 글쓰기와 더불어 ‘효과적으로’ 시작되고 또 진행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바로 이 점이 융복합교육과 관련하여 글쓰기를 거론하는 진정한 이유이다. 이 글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융복합 시대에 바람직한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즘 한창 회자되고 있는 ‘융복합’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먼저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융복합 교육을 위해서 글쓰기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글쓰기 교과목이 융복합 교육과 맺는 연관성, 즉 수렴적 창의성교육의 의미를 규명하고, 궁극적으로는 글쓰기와 융복합 교육의 효율적결합 방식으로서 ‘융복합형’ WAC 수업의 도입 필요성을 그 구체적 수업모형과 함께 제시하였다. The era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requires a person equipped with the cap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Therefore, it is hard to go against the tide of times that the goal of college education is changing to develop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In this sense, writing education can and should reinforce student`s convergent creativity as a core capa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 order to develop writing education into an efficient method of achieving the proposed goal,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use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harmoniously to write better. Particularly, writing can be an efficient tool for developing this capability in major classes which are designed as a space for convergent and integrative study. In these classes, students are able to exercise creative problem-solving through writing, because writing is not only an activity for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but also an activity for using various piec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gether. For example, the WAC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program can be a good model for the combination of a convergent and an integrative class for writ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ek for a new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at college to educate creative and multi-aspect student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