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먼 조건 또는 인간의 조건

        김응준 ( Kim Eung-j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이 인류의 유토피아를 과학기술적으로 구현하는 새로운 인간 조건을 실현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은 불완전하고 유한한 존재인 인간을 완벽한 인간(Homo Magnus)으로 만들 수 있는 도구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과학기술적으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함은 인간을 위한 새로운 인간 조건 산출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질적 차이를 보인다. 휴머니즘이 인간과 과학기술을 분리하면서 인간중심적인 존재조건을 구성한 반면에 포스트휴먼은 과학기술 의존적이며 탈주체적인 인간조건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적으로 재구성되는 포스트휴먼은 인간이 과학기술과 완전히 연결되고 연동되는 곳으로 과학기술적 합리성과 보편성이 지배하는 곳이며 바로 이곳이 인간의 새로운 유토피아가 될 것이라고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은 주장한다. 하지만 과학기술과 인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인간(Homo Creator)의 생산물인 포스트휴먼적-과학기술적 재구성이 파국적 숙명의 인간(Homo Fatalis)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조망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인간조건에 대한 포스트휴먼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ritically evaluate if the Posthuman can set a new human condition that pursues utilitarian universality. Scientifical technology can change the imperfect and finite humankind into a perfect one (Homo Magnus). Overcoming the limits of humankind with technology also means setting a new condition of humankind. 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qualitative different. The former has set the human-focused condition, while the latter is trying to set a human condition that is dependent on technology. And the individuals are becoming de-subjectificative. The condition of post-human rebuilt with technology is that human is perfectly connected to technology, works together with technology and is ruled by technological accuracy and universality. The posthumanists argue that this generation will be the new Utopia. But the technological human condition has always evolved together with the humankind. So we should realize that the product of Homo Creator, the technological reconstruction, can lead us to Homo Fatalis. In this view, this study covers the blind point of the posthuman discussion about the new condition of human.

      • KCI등재

        틀 내 창의성과 틀 간 창의성 -패러다임과 과학의 창의성-

        이상원 ( Lee Sang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이 논문은 과학의 창의성에 대해 다룬다. 그러므로 이 글은 창의성 일반에 대한 논의라기보다는 특수한 창의성을 다루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특수한 창의성으로서의 과학의 창의성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한다. 과학의 창의성을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틀 내’ 창의성이다. 또 하나는 ‘틀 간’ 창의성이다. 틀 내 창의성을 창의성 A로 나타냈고, 틀 간 창의성을 창의성 B로 나타냈다. 이 두 가지 의미의 과학의 창의성에 대해 다루면서 쿤의 과학관을 활용한다. 패러다임 내에서의 과학적 성취는 틀 내과학의 창의성의 전형이다. 한 패러다임을 폐기하고 다른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과학적 성취는 틀 간 과학의 창의성의 전형이다. 이 글은 과학의 창의성을 틀이라는 시각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며 동시에 쿤 과학철학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노력이다.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issue of scientific creativity.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research on specific creativity than general creativity. I try to deal with scientific creativity as specific creativity. I divide scientific creativity into two. One is scientific creativity ‘within a frame’. I refer to this as ‘creativity A’. The other is scientific creativity ‘between frames’. I refer to this as ‘creativity B’. Dealing with these two kinds of scientific creativity, I use Kuhn’s view on science. Scientific achievements within a paradigm is typical of ‘within a frame’ scientific creativity. Scientific achievements in preferring a new paradigm while discarding an old paradigm is typical of ‘between frames’ creativity. This paper is an attempt both to grasp a meaning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o interpret Kuhn’s philosophy of science in light of new philosophical vision.

      • KCI등재

        과학과 문화에 대한 니체의 사유

        서광열 ( Seo Kwang 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반시대적 사상가로서의 니체(1844-1900)의 모습은 과학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도 예외 없이 드러난다. 그는 과학의 성과를 더 이상 거부할 수 없었던 19세기에 태어났고 살다 죽었다. 1870년대의 젊은 니체는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과학서적도 열심히 읽었다. 그러나 그는 과학에 경도되기 보다는 냉정한 비판자의 입장에서 과학을 바라보았다. 그는 과학의 경험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의 확장을 사실적인 진리로 높이 평가하면서도, 과학이 과거 형이상학처럼 절대시되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간단히 말해 그는 과학이 아니라 `과학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는 과학을 문명화과정의 일부로서는 인정하였으나, 문화로 인정하지는 않으려했다. 그렇다고 그가 과학을 외면했던 것은 아니다. 니체가 왕성한 집필을 시작한 1880년대에 들어 그의 과학서적 구입은 줄어들었으나, 그의 저술에서 과학에 대한 관심과 수용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다윈의 진화론 등은 니체의 `위버멘쉬` 사상에 영감을 제공하였고, 로버트 마이어의 열역학은`힘에의 의지`에, 에너지 보존법칙은 `영원회귀`를 착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연과학에 대한 니체의 독서경험과 관심은 그의 철학에 창조적으로 수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후기 철학은 문화로서의 과학(학문)을 창조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과학에 예술적 성격을 불어넣는 것을 통해 비로소 가능해진다. 그의 “즐거운 학문”은 더 이상 좁은 의미의 자연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을 설명하지 않고 해석하는 학문이다. 해석의 자유가 곧 니체에게는 학문의 즐거움이며, “즐거운 학문” 이라야 문명이 아닌 문화가 될 수 있다. Nietzsche`s resistance against his times was, without exception, manifested in his attitude toward science. He was born, lived and died in the 19<sup>th</sup> century when men could not deny the outcome of science any more. Young Nietzsche in the 1870s had an interest in science and read science books devoutly. But he was not hooked on science, but understood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thinker. On the one hand, he admired the realistic fact and knowledge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he rejected absolutization of science like traditional metaphysics. In short, he rejected not science but scientism. He admitted the fact that science was civilization. However, he would not think that natural science was a kind of culture. In the 1880s, Nietzsche wrote many books, and purchased a lesser amount of science books. But his interest and adaptation of scientific ideas increased. His idea of `Overman`, `Will-to-Power` and `eternal recurrenc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science of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He embraced his own readings of natural science books and reflected them in his later philosophy. As s result, the task of Nietzsche was translated into a creation of `science as culture`. According to Nietzsche, this task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union of science and art. His Gay Science was not science in a narrow sense. For Nietzsche, science is an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the freedom of interpretation was the gaiety of science. This gaiety is a necessary condition of science as culture.

      • KCI등재

        특집: 서양근현대철학, 그 나름과다름 :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마투라나와 하이데거의 생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민규홍 ( Kyu Hong Min ),김태경 ( Tae Kyung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9

        본 논문은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의 문제점을 밝히고 새로운 생명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은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을 바탕에 두고 생물학의 분야를 넘어서 인간의 사회, 정치, 윤리에 관한 학문영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단순한 이론적인교류를 넘어선 과학적 생명개념을 통한 환원주의를 표방한다. 따라서 과학적 생명개념은 다양한 학문영역의 토대로 여겨지며 그러한 이론들을포섭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과연 정당한가는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과학적 생명개념이 정당한 개념인지가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이 분명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의발전과 더불어 형성된 개념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 개념이 앞선 두이론으로부터 명확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개념인지는 오히려 불분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이러한 불분명한 점을 밝혀내어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이 결코 환원주의적 모델의 토대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본원적인 생명현상을 사상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그리고 새로운 생명개념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지 모색해 볼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lose the problems of a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and to claim that we need to define a new concept of life.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was based on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has exerted an effect on the domains of knowledge of human society, politics and ethics beyond the realm of biology. This effect claims to support reductionism through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exceeds simple theoretical exchanges. Therefore, there are attempts to embrace other domains of knowledge through this concept which is regarded as a foundation for modern science. But whether this attempt is reasonable or not should be carefully reexamined because there are reasons to doubt some justifications of the scientific concept of life. Though it is evident that the scientific concept of life was developed by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it is obscure whether this concept is supported by these theories. This being so, I will try to explain why this concept is obscure and that this concept is deficient to be foundation of reductionism and eliminates phenomena of life. Then, I will examine where we can seek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concept of life.

      • KCI등재

        인문학적 객관성과 현상학적 방법론

        박승억 ( Park Seung U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최근 호킹이나 도킨스와 같은 자연과학 연구자들이 인문학의 전통적인 문제들에 대해 대답을 시도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한 편으로 영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전위적 탐구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인문학적 탐구 영역의 위축이라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기도 하다.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과학 역시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자연과학적 탐구 방식은 학문 탐구 방식에 있어 표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문학적 탐구의 본성과 역할의 문제를 제기한다. 근대 이래로 자연과학이 성공적이었던 까닭은 그 탐구의 객관성에 있었다. 그렇다면 인문학적 탐구에 있어서도 객관성을 말할 수 있을까? 있다면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은 무엇을 의도할까? 이 논문은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주로 현상학적 방법론에 의지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른바 사회적 딜레마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인문학적 탐구가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Recently, it is not strange to see that the famous natural scientists have tried to answer the old metaphysical questions. It is good to see, on a positive side,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but at the same time it negatively means the shrinkage of the research territory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originally aimed at seeking for the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has also adopte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Scientific research becomes the standard of every academic research. This situation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ature and role of humanities research.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key to the success of natural science is the objectivity of their methodology. Then, could we request for objectivity in humanities research? I have tried to argue in this paper the objectivity of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help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it shows which role humanities research has in the research about the so-called social dilemmas.

      • KCI등재

        에밀 졸라의 『인간 짐승』에 나타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이찬규 ( Lee Chan Kyu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2

        본고는 프랑스 리얼리즘의 정점(頂點)에 이르고자 했던 에밀 졸라의 작품을 통해 소리에 관련된 표현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적 가능성들을 검토한다. 이는 ‘보이는 대상’이 아닌 ‘들리는 현상’으로 발현하는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서 특히 졸라의 『인간 짐승』에 담겨있는 문학적 가치와 전망들을 새롭게 발견하는 단계적 해석 과정을 거친다. 첫째 장에서는 십구 세기 산업혁명시대의 기계 문명을 대표하는 기차의 청각적 이미지가 어떻게 『인간 짐승』의 서사 속에 현실적으로 혹은 상징적으로 개입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한편으로 기계 문명에 대한 졸라의 양가적 사유를 헤아릴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소리들 속에 인물들의 ‘심리적 상황’이 투영됨으로써 그것들이 일종의 ‘신호음(Les signaux)’이 되는 의미를 해석한다. 두 번째 장은 졸라의 남다른 글쓰기 전략을 조망해 볼 수 있는 사운드스케이프의 역설적 양상과 내적 의미를 분석한다. 이는 『인간 짐승』이 전유하고 있는 ‘자신 안의 낯선 타자’라는 모티브가어떻게 청각적 감각으로 발현되는가에 대한 탐색으로 이어진다. 일테면 그 낯선 타자는 형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몸 안의 소리들을 통해 매번 현전함으로써 결코 규정할 수 없는 이중적 존재의 변증법적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semantic possibilities of the sound in a work of Emile Zola. It is a study that newly finds out a literary value and prospect in Human Beast of Zola through Soundscape which is revealed by not a ‘visible’ object, but an ‘audible phenomenon.’ Firstly, we trace how the auditory image of a train which represents the mechanic civilization is realistically or symbolically involved in the narration. On the one hand, it could be a clue to understand his ambivalent thinking about the mechanic civilization. Secondly, this study interprets the ways that the psychological situation of characters are reflected in various sounds. Thirdly, we analyze the ironical aspect and inner meaning of Soundscape showing the unusual writing strategy of Zola. It is connected to a study on how the motive, ‘the stranger in myself’ which is functioned as metonymy in Human Beast, appears. The ‘stranger’ doesn’t lose the dialectical tension of an ambivalent existence which cannot be defined by presentation all the time through the sounds in a body.

      • KCI등재

        전후 일본의 황국사관 재편과 지식인

        최종길 ( Choi Jonggi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6

        이 논문은 황국사관 비판이 전후 일본의 새로운 국민 만들기와 어떻게 연속되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전후 새롭게 제시된 기준에 의해 제작된 역사교과서가 『나라의 발자취』이다. 그러나 이 교과서는 여전히 황실중심주의적인 내용과 전쟁책임을 군부에게 한정하는 등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었다. 여기에 대하여 황국사관 부정과 전후 변혁에 복무할 수 있는 주체형성이란 관점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시모다는 전후의 새로운 정치 환경 속에서 천황중심의 지배체제가 일부 개혁되었다고 하더라도 혁신세력이 민중들에게서 고립된다면 천황제는 부활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그는 민중에게서 고립되지 않기 위해 국민을 민족으로 치환해버렸다. 이시모다의 이러한 논리는 내셔널리즘에 기초하여 새로운 국민 만들기를 시도한 문부성의 교육방침과 겹치는 면이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criticism of Japanese Emperor`s historical perspective has continuities with the creation of a new nation in postwar Japan. The historical textbooks based on the newly proposed standards are The History of the Country. However, this textbook still contains issues such as the imperial family-centered contents and the limitation of shifting war responsibility to the military. In this regard, criticism was rai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ormation of a subject capable of serving in the injustice of the emperor and in the postwar reform. Ishimoda Sho judged that the emperor system would be resurrected if the revolutionary power is isolated from the people even though the empire-centered regime was reformed in the new post-war political environment. The logic of Ishimoda Sho overlaps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Japan, which tried to create a new people based on nationalism.

      • KCI등재

        ▣ 일반 논문 :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이은상 ( Eun Sang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본고는 기존 화교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20세기 전반 조선 북부화교, 그 중에서 중일전쟁 이전 원산화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의미는 다음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지역적으로 원산에 주목함으로써 조선화교사의 연구범위를 확장하였다. 원산은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군사기지 역할을하였고, 20세기 초 경원철도를 시작으로 육상과 해상교통이 발달하면서도시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와 함경북도의 청진 등에 밀려 공업 발전이 진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원산의 도시로서의특성은 원산화교의 규모와 직업별 구성에도 반영되었다. 원산화교는 청말(淸末)까지만해도 200명 정도에 불과하였지만 경원철도의 개통이후 점차 증가하여 1930년에는 1,186명으로 늘어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931년 배화폭동(排華暴動) 이후 원산화교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는화교직물도매상이 거의 몰락하고 남은 직물잡화상의 규모 역시 크게 축소되었다. 또한 화교농민이 늘어나 1934년 말에는 화교상인과 비슷한 규모가 되었다. 반면 공업도시로서의 위상이 미약하여 화교노동자의 비중은 크지 않았다. 두 번째로 『주조선사관당』(駐朝鮮使館당)에 수록된 자료를 중심으로원산화교의 네트워크를 원산부영사관, 원산중화상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지역별로 중화상회의 전신(前身) 중화회관(中華會館)의 역할 등에관해서는 자료의 한계로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지만, 원산의 경우 중화회관의 장정(章程)을 통해 그 역할을 분명히 하고 동사(董事)를 포함한 회원을 분석하였다. 중화회관은 상무총회(商務總會)를 거쳐 1916년 12월 상회법(商會法)에 따라 중화상회로 개조되었는데, 1917년, 1928년 중화상회직원의 명단을 통해 화교상인의 출신지, 직업 상황을 검토하였다. 이들은 원산화교의 대표자로 부영사관 인사, 부영사관 존폐 문제 등에 적극참여하였다. This paper has examined the discussions on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colonial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much focus on those in Wonsan before the Sino-Japanese War (1912∼1936).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port opening in Wonsan. Second, it discussed the scale and the occupational status of the overseas Chinese in Wonsan.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situ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before and after the anti-Chinese riots of 1931. Third, it analyzed the network of the overseas Chinese in Wonsan with regard to its relationship with the Wonsan vice consulate and the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Wonsan.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Chinese Association, the predecessor organization of the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Won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