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와 선불교에서의 ‘자기극복’에 대한 연구 - ‘놀이하는 아이’와 선사(禪師)를 중심으로 -

        서광열 ( Seo Kwang 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2

        니체와 선불교는 주체로서의 ‘자아’ 개념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공동의 출발점을 갖는다. 두 입장 모두 실체로서의 ‘자아’를 의식이 만들어낸 허구로 간주하고, 이로부터 벗어나 ‘나’와 세계의 참모습을 보고자 한다. 그들은 모든 것을 ‘존재’가 아닌 ‘생성’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일치를 보였지만, ‘생성’을 대하는 태도에서는 달랐다. 니체는 생성으로서의 ‘나’를 전통적 ‘자아(I)’와 구별하기 위해 ‘자기(the self)’라고 부르고, 이 ‘자기’가 만들어내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니힐리즘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반면, 용수(龍樹)로부터 기원한 선불교는 ‘나’로부터 나오는 모든것을 비워 공(空)의 상태에 이르고자 한다. 그러나 상반된 목적을 제시한 것과는 달리, 방법론에서 양자(兩者)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들은 모든 대립적 구분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니체는 선과 악으로 상징되는 이원론적 구분으로부터 벗어나 도덕적 자유를 획득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선불교 또한 어떤 논리적 대립도 인정하지 않아야만 자유로운 사유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들은 ‘자기극복’을 통한 자유로운 삶의 실현을 자신들의 철학적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도 상통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로운 삶이라는 관점에서 선불교의 ‘선사(禪師)’와 니체의 ‘놀이하는 아이’를 비교한다. ‘놀이하는 아이’는 대립을 넘어선 자유로운 삶의 유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모든 개념의 허상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난 깨달은 ‘선사’의 삶과 닮아 있다. 물론 전자는 ‘놀이’를 통해 삶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소비한다는 점에서 모든 것을 무화(無化)시켜 더 이상 윤회하지 않으려는 후자와 차별성을 갖는다. 그러나 두 인물유형은 자유로운 삶을 사랑하고, 이를 통해 삶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려고 했다는 점에서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그들은 근대적 인간의 삶 너머 저편을 향해 가고 있는 자들이다. 양자를 비교하는 것은 ‘자기극복’의 문제뿐만 아니라 동서양 철학의 차이와 유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Nietzsche and Zen Buddhism have a common starting point in denying the ‘self’ as a subject. Both positions regard ‘I’ as a fiction created by consciousness and try to get away from it and see the true figures of ‘I’ and the world. They are consistent in that they regard everything as ‘becoming’ rather than ‘being’, but they differ in their attitude toward ‘becoming’. Nietzsche wanted to overcome nihilism by distinguishing “the self” from the traditional ‘I’ and actively accepting the ‘will’ created by this ‘self’. On the other hand, Zen Buddhism, originated from Nagarjuna, was aimed at achieving the state of emptiness (sunyata)’ by eliminating all illusion derived from ‘I’. However, they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want to abandon all logical oppositions, although they selected the different paths. Nietzsche insisted that moral freedom should be obtained by overcoming all dichotomy represented by good and evil, and Zen Buddhists believed that a free thinking could be recovered by renouncing all logical distinction. They also share the common philosophical goal of realizing free life through ‘self-overcoming’. As we know, Nietzsche proposed “Übermensch” as an ideal human typ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a free life, a comparison of ‘playing-child’ with “Zen Master” is more appropriate than a comparison of “Übermensch” with Zen Master. A ‘playing-child’ resembles the life of the ‘Zen master’ who is liberated from the illusion and obsession of all concepts. Of course, the former differs from the latter. The latter does not want to be reborn anymore, while the former positively affirms the ‘will’ and life through ‘play’. However, the two types of characters are looking at the same direction in that they love free life and try to sublimate life artistically. Nietzsche and Zen Buddhism have an iro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close and far. It is meaningful that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wo is helpful not only in examining the problem of self-overcoming but also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 KCI등재

        니체의 근대인 비판과 새로운 삶의 제안-‘꿈’의 상징과 삶의 의미회복을 중심으로-

        서광열 ( Seo Kwang-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니체는 근대인들이 상실한 직관적 능력과 삶의 의미에 대해 비(非)이성 주의자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그에 따르면, 근대는 합리성과 효율성을 통해 많은 문명적 성과를 이루어내었지만, 인간의 삶을 계산과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변화시켰다. 근대는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평등의 가치를 내세움으로써 보편성을 지닌 인간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한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등장하는 ‘레츠테멘쉬’는 이러한 평균화된 인간상을 희망하는 근대인들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소중하게 여겼던 ‘탁월성’의 자리에 ‘보편성’ 또는 ‘평범성’이 들어서게 된 것이다. 니체는 이러한 평균화를 넘어서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창조하는 것이 미래의 인간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주장한다. 그는 ‘미래의 강자’는 획일화와 평균화된 삶의 의미를 거부하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창조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는 양적인 증가에서 나오는 삶의 가치가 아니라 질적인 상승을 통해 창조되는 삶의 의미를 강조한다. 그는 ‘꿈’으로 상징되는 비이성적 능력과 ‘힘에의 의지’를 자유롭게 발휘할 때 삶의 의미가 새롭게 발견될 수 있으리라고 주장한다. ‘의지’를 삶이라는 구체적 시간 속에서 실현시키고 이것을 우연이 아니라 ‘필연’으로 만들 때, 삶의 의미는 다양해진다. 니체가 생각한 ‘위대한 인간’은 바로 삶의 의미를 스스로 창조할 줄 아는 인간유형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관은 다양한 삶과 문화가 공존하는 21세기의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From the perspective of irrationalism, Nietzsche pointed out that modern people had lost the intuitive abilities and the meanings of life. Modernity achieved many civilizational achievements through scientific rationality. It changed human life into a calculative and measurable one. In the realm of life, Modernity emphasized the freedom of individuals, but the ideal human of Modernity was not a free human. By promoting equality, Modernity has idealized an ordinary human being. In Thus Spoke Zarathustra, “the last man (der letze Mensch)” showed this ordinary human-image that modern people wanted to become. 'Universality' or 'ordinariness' replaced 'ἀρετή (excellence)' which the ancient Greeks valued highly. Nietzsche argued that creation of new meanings of life would be a task for future humans. He said that 'the strong human in the Future' must reject a normal life and create new meanings of life. He emphasized new meanings being created through qualitative sublimation. He argued that the meaning of life could be newly discovered when the 'will to power' is exercised freely. The meaning of life will become diverse when we realize a 'will' in our own life as necessity. Nietzsche's "the great man (der große Mensch)" can be defined as a human type to create new meanings of life. This view of humanity is also very important to us, who live in the 21st century when various lives and cultures coexist.

      • KCI등재

        과학과 문화에 대한 니체의 사유

        서광열 ( Seo Kwang 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반시대적 사상가로서의 니체(1844-1900)의 모습은 과학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도 예외 없이 드러난다. 그는 과학의 성과를 더 이상 거부할 수 없었던 19세기에 태어났고 살다 죽었다. 1870년대의 젊은 니체는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과학서적도 열심히 읽었다. 그러나 그는 과학에 경도되기 보다는 냉정한 비판자의 입장에서 과학을 바라보았다. 그는 과학의 경험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의 확장을 사실적인 진리로 높이 평가하면서도, 과학이 과거 형이상학처럼 절대시되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간단히 말해 그는 과학이 아니라 `과학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는 과학을 문명화과정의 일부로서는 인정하였으나, 문화로 인정하지는 않으려했다. 그렇다고 그가 과학을 외면했던 것은 아니다. 니체가 왕성한 집필을 시작한 1880년대에 들어 그의 과학서적 구입은 줄어들었으나, 그의 저술에서 과학에 대한 관심과 수용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다윈의 진화론 등은 니체의 `위버멘쉬` 사상에 영감을 제공하였고, 로버트 마이어의 열역학은`힘에의 의지`에, 에너지 보존법칙은 `영원회귀`를 착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연과학에 대한 니체의 독서경험과 관심은 그의 철학에 창조적으로 수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후기 철학은 문화로서의 과학(학문)을 창조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과학에 예술적 성격을 불어넣는 것을 통해 비로소 가능해진다. 그의 “즐거운 학문”은 더 이상 좁은 의미의 자연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을 설명하지 않고 해석하는 학문이다. 해석의 자유가 곧 니체에게는 학문의 즐거움이며, “즐거운 학문” 이라야 문명이 아닌 문화가 될 수 있다. Nietzsche`s resistance against his times was, without exception, manifested in his attitude toward science. He was born, lived and died in the 19<sup>th</sup> century when men could not deny the outcome of science any more. Young Nietzsche in the 1870s had an interest in science and read science books devoutly. But he was not hooked on science, but understood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thinker. On the one hand, he admired the realistic fact and knowledge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he rejected absolutization of science like traditional metaphysics. In short, he rejected not science but scientism. He admitted the fact that science was civilization. However, he would not think that natural science was a kind of culture. In the 1880s, Nietzsche wrote many books, and purchased a lesser amount of science books. But his interest and adaptation of scientific ideas increased. His idea of `Overman`, `Will-to-Power` and `eternal recurrenc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science of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He embraced his own readings of natural science books and reflected them in his later philosophy. As s result, the task of Nietzsche was translated into a creation of `science as culture`. According to Nietzsche, this task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union of science and art. His Gay Science was not science in a narrow sense. For Nietzsche, science is an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the freedom of interpretation was the gaiety of science. This gaiety is a necessary condition of science as culture.

      • KCI등재

        니체와 선불교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 - '몸'과 '자기'를 중심으로 -

        서광열 ( Seo Kwang 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0 No.68

        본 논문은 니체의 사유와 선불교가 '자기(the self)'와 '몸(the body)'에 대한 사유에 있어서 유의미한 유사성을 갖고 있음을 주장한다. 양자 간에는 적지 않은 시대적 문화적 차이가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니체는 19세기에 태어나 활동한 독일철학자이며, 선불교는 중국 당나라(A.D.618∼907)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져 발달되었다. 니체가 활동할 당시 초기 불경이 일부 독일어로 번역되었으나 대승불교나 선에 대해서는 아직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사유는 초기불교보다는 대승이나 선불교와 훨씬 더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정신적 자아보다 '몸'의 우선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도겐(Dogen, 道元) 선사는 니체와 많은 접점을 갖는다. 두 사람은 '몸'에서 진정하고 유일한 '자기(Self)'를 발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들에 의하면, '몸'은 정신과 육체라는 이분법적인 구분의 한 요소라기보다는 이 둘의 구분을 해체하는 더 큰 자아 개념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원적 구분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는 생각은 나가르주나(Nagarjuna, 龍樹)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나가르주나는 논리적인 이원론을 버릴 것을 주장했는데, 니체 역시 서구적 사유에서 지배적이었던 이원적 대립을 버리고 존재와 무 사이를 유동하는 생성을 '자기'의 특성이라고 본다. 자성(自性)이 선불교에서 허구적 집착인 것처럼, 니체가 볼 때 불변하는 '자아(I)'에 대한 개념 역시 부단히 생성 변화하는 더 큰 자아인 '몸'에 주목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착각일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집착과 착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진정한 '자기'를 발견하고 올바른 세계관을 갖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생성으로서의 '자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사유보다는 직관적이고 상징적인 이해방식이 유용하다. 이것은 선불교와 니체의 문체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선불교의 공안(Koan, 公案)과 니체의 아포리즘은 그들의 반(反)이성적, 반(反)체계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것들 중 상당수는 정답을 제시하기보다는 사유를 자극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사(禪師)나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수수께끼를 내는 자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들은 수수께끼 외에도 깨달음에 도움을 주는 실천적 수행법도 강구했다. 특히 도겐은 좌선을 통한 참선법을 강조했으며, 니체는 몸의 예술인 '춤'을 중시했다. 몸은 우리의 의지가 생겨나고 발현되는 곳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터전이다. 사유와 실천을 통한 진정한 '자기'의 발견은 그들의 종교적 철학적 깨달음의 중심에 놓여 있다. This article argues that Nietzsche's thought and Zen Buddhism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self' and 'the body.' There are tempor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ough. As is well known, Nietzsche was a German philosopher who was born and liv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Zen Buddhism arose in Tang Dynasty in old China (A.D.618∼907)and was introduced to Japan through Korea. When Nietzsche was actively engaged in his own academic activities, some of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to German. However, he did not have a chance to get to know exactly about Mahayana Buddhism or Zen Buddhism. Nonetheless, Nietzsche's thought is much more similar to Zen Buddhism than to the early Buddhism. In particular, Japanese Zen master Dogen has many affinities with Nietzsche in that he emphasizes the priority of 'the body' rather than 'the soul'. The two believed that they could find the authentic and sole 'self' in 'the body'. According to them, 'the body' is not a simple component of the dichotomous branching of the mind and the (physical) body, but rather the larger 'self' that breaks down the dichotomy itself. In Buddhism, the idea of abandoning the obsession for this dual distinction dates back to Nagarjuna who claimed to abandon logical dualism. Nietzsche also saw 'becoming' as a characteristic of 'the self' and rejected the opposition between 'being' and 'nothingness' that had been dominant in Western thought. He insisted that the notion of an unchanging 'I' was also a fictional attachment. This fiction arises because people do not pay attention to the larger ego, namely 'the self'. Therefore, an escape from these attachment and misunderstanding is a very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discovering the genuine 'self'.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ue 'self', intuition and symbols are more useful methods than conceptual thinking. This characteristic appeared in the style of both Zen Buddhism and Nietzsche. The Koan in Zen Buddhism and Nietzsche's aphorism showed their anti-rational and anti-systemat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m are aimed at stimulating our thought rather than presenting a correct answer. The Zen master and Nietzsche's Zarathustra commonly ask a riddle. Beside putting a riddle, they also took practical actions as a way of gaining enlightenment. Dogen developed a 'Zazen', and Nietzsche emphasized a 'dancing'. 'The body' i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at our will arises and manifests itself. The discovery of the genuine 'self' through practice lies at the heart of thei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enlightenment.

      • KCI등재

        특집: 서양근현대철학, 그 나름과다름 : 니체의 사유에 있어서 “꿈”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꿈”의 서사를 중심으로-

        서광열 ( Kwang Yul Se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9

        본 논문은 정신분석학의 선구자로서의 니체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꿈의 서사를 분석한다. 니체는프로이트와 융에 앞서서 무의식과 꿈의 세계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을뿐만 아니라, 자신의 중요한 사상인 힘에의 의지와 영원회귀 등을 표현하는데도 꿈의 서사를 활용하였다. 그의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영원회귀’는 낮의 연설이 아니라 밤의 꿈속에서 드러난다. 꿈은 그의 비이성적 사유를 표현하기 위해 표현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꿈의 서사를 통해 니체를 조망하는것은 꿈의 스토리텔러이자 창조적 사상가로서의 그의 모습을 새롭게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of the dream in Thus Spoke Zarathustra, in order to understand Nietzsche as the forerunner of psychoanalysis. Nietzsche took a profound interest in the unconsciousness and the mechanism of dream. In Thus Spoke Zarathustra, he used the narrative of a dream for presenting his own important thoughts, namely “the will to power,” the theory of “eternal return” and so on. He thought that the dream was the expression of the unconsciousness and “the will to power,” and that the intuition of dream was adequate for expressing his own irrational and creative ideas. Zarathustra in Thus Spoke Zarathustra was characterized as the teacher of “overman” and “eternal return.” And Zarathustra as a poetic narrator is the Nietzsche`s “Persona.” But He is not only a storyteller but also an oneirocritic. The story of Zarathustra is a “psychodrama” in the perspective of a dream-interpretation. He is a wanderer who seeks for “das Selbst,” that is to say the genuine “Ich” concealed in the unconsciousness. The dream is like the fountain which springs incessantly from the will to power and the unconsciousness. The dream-image is a kind of riddle about the consciousness. According to Jung,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s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Zarathustra`s dreams are quite similar to the myth. We can find symbols and archetypes here and there in Thus spoke Zarathustra. Nietzsche intended to create a kind of myth through the various dreams. His intuitional thinking was related to dreaming, imaging and creating. Also, the many artists were influenced by his creative thinking. Therefore, to view Nietzsche as the narrator of the dream will be an opportunity to discover his another personae as a creative dreamer and storytel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