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수업참여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년과 선행학습 여부를 중심으로 -

        김령수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2719

        경제 규모의 성장과 소득의 증가에 따라 미용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피부미용 전문 인력 교육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미용학원에서 자격증과 기술 습득을 위한 선행학습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피부미용대학에 진학하여 더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교육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용학원에서 경험한 선행학습이 미용대학 교과 과정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권내에 있는 피부미용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여 선행학습이 미용대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의 60%가 선행학습을 경험하였으며, 과거에 비해 선행학습에 투자하는 시간과 비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학습을 경험한 집단은 선행학습이 학과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선행학습이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 선행학습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 역시 선행학습을 경험한다면 학과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선행학습이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수업 참여도에 있어서는 선행학습을 경험한 집단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배우는 경우가 있어 비선행학습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업 참여에 대한 성실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업 만족도에 있어서는 이미 알고 있는 익숙한 내용을 다시 배운다는 심리적 안정감 때문에 만족도가 비선행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두 집단 간의 수업 참여도와 수업 만족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학습이 대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 영향력이 크지는 않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에는 미용학원과 미용대학에서 각각 진행되는 교과 과정이 유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선행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과 교과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고, 교육기관별로 진행하는 교육의 목적을 다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With an increase in economic scale and income, interest in beauty care is increasing and demand on specialized beauticians is also required. In the education of skin care specialist,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studying in beauty academy to get beauty technique and certificate in advance. And they also go on to college to study for their specialized field. Based on this circum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prerequisite learning in beauty academies has what effect on the course of study in colleg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that are at department of beauty care in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SPSS v. 21.0 program was used for survey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60% of the students are shown to have prerequisite learning. Time and cost for prerequisite learning are more increased than past. A group that has prerequisite learning answered that prerequisite learning has good effect on their study in college and so prerequisite learning is required. The other group that doesn’t have prerequisite learning also answered that prerequisite learning will have good effect on their study in college if they had prerequisite learning. In the class participation, driving force of prerequisite learning group is lower than not prerequisite learning group because they already studied some of the curriculum. In the class satisfaction, prerequisite learning group is higher than not prerequisite learning group because they are psychologically stable when they study the experienced contents of class. However, there are small gap between prerequisite learning group and not prerequisite learning group of the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This result can be analogized that prerequisite learning has good effect on their study in college but it is not so influential because the curriculum of college is similar with the curriculum of beauty academy. Therefore, curriculum and contents of class the college should be revi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erequisite learning.

      •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의 이용행태와 영향요인 분석

        조수현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2703

        Propelled by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smart phones, social commerce grew up explosively to be an industry whose market size is over 60 billion won in a year. The social commerce coupon has many advantages in accessibility and high discount rate, but many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coupon ari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effective factors, utilization pattern and problems related on the use of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A case-control study design was adopted and the total 375 subjects who reside in Seoul from teenage to the sixties were collected randomly, 175 cases from user and 195 controls from non-user. Data were collected for 3 weeks from February 29 to March 18 2012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ll the data were analysed at 5% significant level with SPSSWIN 18.0K and χ²-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except ag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ut the case(user) connect to smart-phone and social commerce site more and longer than the control(nonuser). Second, it revealed that if one had more experiences in recognition, purchasing, using, and presenting social commerce coupon, one uses more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83.5% of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but only 29.7% of users wanted to revisit the skin care shop with normal price. Third,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using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were age (OR=1.052, 95% CI=1.019~1.086), tablet PC (OR=3.486, 95% CI=1.021~11.896), and connection time to social commerce site (OR=6.352, 95% CI=3.566~11.312). Fourth, there were many problems related using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on short expiration date, for example, difficult to refund and make a reservation, unkindness, low quality of service, discrimination, and uniform treatment without consideration of personal skin type and so 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use was related to the possession of portable smart electronic devices and connect to the social commerce site longer. And it needs to be fixed many matters connected with social commerce coupon for skin-care.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스마트폰의 보편화에 힘입어 1년 만에 600억 원이 넘는 규모로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인 소셜커머스는 접근이 용이하고 높은 수익성을 나타내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이 증폭되고 있어 마땅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소비문화로 등장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소셜커머스 중에서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사용자들의 이용현황과 문제점 및 영향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여 미용쿠폰 접근전략의 개발 및 문제점 해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이용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을 각각 선별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와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case-control study design을 적용하였으며, 선정된 표본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10대~60대 남성과 여성 중 소셜커머스 사이트를 통해 구매한 쿠폰으로 피부미용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이용자 집단 175명과 비이용자 집단 195명이었다. 자료의 수집은 2012년 2월 29일부터 3월 18일까지 약 3주간에 걸쳐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이용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의 설문은 다르게 구성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8.0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5% 유의수준에서 χ²-test, t-test, one-way ANOVA 및 사후 검정으로 Scheff?’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하였으며, 소셜커머스 쿠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의 1회 평균 구매금액은 41,500원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결혼여부, 직업, 월 소득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전문대졸=44,400원, 대졸 이상=41,500원, 고졸 이하=36,700원). 둘째, 일반 소셜커머스 쿠폰의 인지, 구매, 사용 및 선물의 경험이 있을수록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또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 83.5%로 매우 높았으나, 정상가격으로의 재방문의사는 29.7%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구매 시 이용자 집단은 할인율을, 비이용자 집단은 서비스 품질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χ²=20.984, p<.001). 넷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이용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 컴퓨터, 태블릿PC, 소셜커머스 사이트 접속 시간 및 서비스 품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셜커머스 사이트 접속시간이 한 시간 증가할수록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 이용 확률이 6.35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1.849, OR=6.352, 95% CI=3.566~11.312). 결론적으로 인터넷상의 소셜커머스 사이트 방문시간이 길수록 피부미용 소셜커머스 쿠폰의 이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할인율로 인한 예약의 어려움, 짧은 유효기간 및 환불의 어려움 등의 이용상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소셜커머스에 대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 불만을 파악하여 불공정약관을 시정하고 소비자보호 의무를 명확히 하는 등 정부차원에서의 강제성 있는 규제법안의 마련과 지속적인 성장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 일부미용업종사자의 직업 관련성질환발생 현황과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이민영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In this study, the work-related disease of those who are involved in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was examined the consequential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work environment and beauty care works,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health of those who are involved in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and work environment for better beauty service, and provide intrinsic data which is requir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beauticians working at beauty parlo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from Mar. 20, 2011 till Apr. 13, 2011. Total 430 responses were collected, but 330 responses, except 68 responses (32 insincere response or no-response, and 68 responses for male in which the questions were insufficient) were finally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ith respect of the health behavior of beauticians, generally the non-smoking habitants were supeior to smoking habitants. The group below 20s underwent higher drinking behavior,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2. With respect to the job-related diseases of beauticians, those who were suffering digestive disorders was 58.8%. 'suffering skin disease' was 53%, ‘suffering eye diseases’ was 25.8%, ‘suffer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was 58.8%, the stat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y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career years. Regarding to urinary tract disease (86.4%), and respiratory disease (69.7%),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not having diseases showing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hief of office or designers were suffering digestive, dermatological,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With respect to the working hours and work load of beauticians, “Working hours and work load are normal”, was 33.3% and in ‘age of 30s’,’career less than 1 year’, ’position: staff or others’, ‘average working hours less than 8-10 hours’, ‘working 5 days per week’, ‘the number of customers for work, between 4-6, and ‘5-6 staff’, “not satisfied with both working hours and work load” was 28.2%, showing the highest in ‘age of 20s’,’career less than 7-9 years’, ’position: chief of office or designers’, ‘average working hours above 10 hours’, ‘working 6 days per week’, ‘the number of customers for work: between 7-8, and ‘staff less than 2’,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beauty care job on health, ‘the age of 20s for age’ was 2.83 points, ‘staff/others for position’ was 2.69 points , and ‘the average working hours above 10 hours’ was 2.7 (These are the highest);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ge, position and average working hours(p<.05, p<01, p<.001). With respect to the intensity of present beauty care job, the age over 40s was 2.37, the highest; indicating tha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F = 2.849, p <.05),respectively. With respect to health-threatening causes , ‘irregular eating habit’ was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presence of the obstacles to work due to occupational disease, the answer “Yes” was 68.5%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fessionals whose position were staff or others, and the professionals who were not suffering digestive/respiratory/dermatology /ophthalmology/ musculoskeletal disorders had the obstacles to their works. (p <.05). 4.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for work environment, in terms of job title, director was 3.58 points (the highest), step/others was 3.43 points, chief of office/designers was 3.26 points and intern was 3.25 indicating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position (F = 3.332 , p <.05). With respect to the stress level, the age above 40s was 2.71 points, career more than 9 years was 2.62points, director, in terms of the job title, was 2.67 points, ‘married’, in terms of the marital status, was 2.62 points(these were the highest) indicating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p<01, p<.001),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regarding ‘how long they would continue the same jobs’,‘less than 10 years’ was 89(27.0%), indicating that ‘between 10 and 20 years’ and ‘never thought about that’ were the highest. 5. It was found that prevention program is necessary. In the presence of disease, there was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especially with presence of digestive disease (P<.05).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view of job-related diseases for those who were involved in beauty industry, and it was necessary that follow up study should survey those who are involved in beauty industry, across the nation, not just those who are working in some limited areas.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extend the survey scope from increasing male beauticians and hairdressers to those in skin care, make-up, and nail-care service, for studying the job-related diseases. 본 연구는 미용업종사자들의 직업 관련성질환현황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작업환경과 미용업무에 따른 직업만족도를 파악하여 미용종사자들의 건강증진과 작업환경의 개선책을 마련함으로써 보다나은 미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직업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울, 경기지역 내 소재한 미용실에 근무하고 있는 미용사를 대상으로 2011년 3월 20일부터 2011년 4월 13일까지 설문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총 430부 중 기입이 무성의하거나 무응답 32부 와 적게 설문조사된 남성 조사대상 68부를 제외한 여성 조사대상 330부를 최종수집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7.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Chi-square) 과 독립표본 t-test(Indepen ddent samples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빈도분석(Fre quency Analysis), 신뢰도분석(Cronbach’s Alph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용사의 건강행태결과로 흡연습관은 비 흡연자가 많이 나타났고, 20대미만과 20대의 연령 군 그리고 주6일 이상 근무하는 응답자들에게서 수면시간은 5-7시간, 불규칙한 운동, 불규칙한 식습관을 토로하였으며,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음주 등의 행태를 나타났다. 2. 미용사의 직업성질환여부는 소화기계 질환을 앓고 있다가 58.8%로 연령, 미혼, 월수입, 경력, 직위, 직원 수에서 피부과질환은 앓고 있다가 53%로 연령, 월수입, 근무지역, 경력, 직위, 직원 수에서 안과질환은 앓고 있다가 25.8%로 월 소득, 근무지역, 평균 작업시간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앓고 있다가 58.8로 경력, 직위, 직원 수 에서 직업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비뇨기계 질환 86.4%, 호흡기계 질환 69.7%에 대해서는 앓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나타났으며, 실장/디자이너 직위를 가지고 있는 응답자 모두에게서 소화기계, 피부과,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미용사의 근무시간과 업무량에서는 “시간과 업무량 모두 보통이다”가 33.3%로 연령 30대, 경력 1년 미만, 직위별로 스텝/기타, 평균작업시간 8-10시간미만, 근무일수 주5일, 작업고객 수 4-6명, 직원 수 5-6명에서, “시간과 업무량 모두 만족하지 않는다”가 28.2%로 연령 20대, 경력 7-9년 미만, 직위 실장/디자이너, 평균작업시간 10시간이상, 근무일수 주6일, 작업고객 수 7-8명, 직원 수 2명 이하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미용업무가 건강에 주는 영향에서는 연령20대2.83점, 직위스텝/기타2.69점, 평균작업시간10시간 이상2.7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p<.001). 현재미용일의강도에서는 40대 이상2.3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849, p<.05). 건강을 위협하는 원인에서는 불규칙한 생활습관이 1순위, 2순위로 일에 따른 스트레스 3순위, 과중한 업무량 4순위, 열악한 작업환경 5순위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관련성질환으로 인한 업무장애여부에서는 전체대상자 중 업무수행 장애여부가 있는 경우가 68.5%로 나타났으며 직위별로는 스텝/기타인 종사자와 소화기/호흡기/피부과/안과/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종사자가 업무수행 장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스트레스정도에서는 연령 40대 이상2.71점, 경력 9년 이상2.62점, 직위 원장 2.67점, 결혼여부 기혼2.6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p<.001). 향후직종유지기간 에서는 전체적으로 10년 이내27.0%, 20년 이내24.5%, 생각해 본적이 없다 17.9%, 30년 이상12.4%, 5년 이내10.6%, 30년 이내7.5% 순으로 나타났다. 5. 건강보건을 위한 직업성질환 예방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응용에 대해서 는 조금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가끔 응용할 생각이 있다가 43.3%, 필요하다 생각하며 응용할 생각이 있다가 36.7% 나타나 예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가 94%에 달하였으며, 응용을 위한 홍보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하고 생각하지만 응용할 생각은 없다는 14.2%, 전혀 필요하다 생각 안한다가 5.8% 순으로 나타났으며, 질환에서는 소화기질환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는 미용업종사자들의 직업 관련성 질환의 현황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직업만족도 및 작업환경과 미용업무에 따른 만족도를 파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일부 특정적인 지역에서 근무하는 미용사만이 아닌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미용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할 필요성을 느끼며, 늘어나고 있는 남성미용인들을 포함하여 헤어종사자들만이 아닌 피부, 메이크업, 네일 종사자에 대한 직업 관련성 질환 연구도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미용업종사자들 대상으로 한 직업 관련성질환에 대한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 져야하며, 따라서 직업 관련성질환으로 인한 미용업종사자들의 건강장애예방교육 및 관리대책 등에 대한 연구추진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 필요성 연구

        송지현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우리나라 미용사 자격과 미용 산업이 법체계화가 된 것은 선진국과 같이 오랜 기간의 역사를 지녔고, 우리가 가진 오랜 예술적 문화 속에서 기능과 기술적 부분이 탁월하게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세계 기능대회의 결과에서도 발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현실은 동 떨어진 법체계로 인한 불합리성으로 미용실이나 피부관리실 등 일부 현장 산업에서만 활용되고 있어 많은 시간적⋅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면서 취득하고 있는 자격 제도와 면허 제도가 다른 나라에서는 통용되지도 못하고 있는 현실은 국가적 지원의 차원으로 법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좀 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분야를 뷰티산업의 전문적인 한 분야로서 성장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메이크업을 시작하는 연령층이 낮아지는 추세에 호응할 수 있는 메이크업 분야의 세분화 방안의 모색과 정보화시대에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메이크업에 대한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바, 시대 조류에 부응할 수 있는 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신설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둘째, 미용분야에서 가장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메이크업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제도적으로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영역에 관한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직업선택에서 장래가 유망한 직업이라는 인식이 높은데 비해 제도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많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크업 시장과 종사자들을 국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격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즉,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용사(일반)과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메이크업 분야의 세분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현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미용사(메이크업) 종목의 신설 방안에 대한 제고 및 미용사 면허에서 독립되어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제도적⋅법률적 방안 마련을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현행 제도에 대한 비합리적인 측면을 외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현행 미용사 자격증 제도의 영역 범위가 광범위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예측되는 바, 현행 미용사 자격증 제도를 보다 세분화하고, 전문화하여 전공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변경을 통해 메이크업 부문을 ‘미용사 메이크업' 종목으로 구분하여 신설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뷰티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일자리 창출 및 수출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고, 뷰티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화장품, 관광, 의료 등 타산업과의 동반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서민․여성의 경제활동의 안정에 기여 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방향은 미용사 자격제도의 세분화와 법적제도의 기반 확립, 미용 교육 세계화를 위한 체계적 기준 기반의 구축, 메이크업 미용사에 관한 법제도화, 미용사 면허의 국제적 상호 인증제도의 제도화가 시급한 실정이며, 또한 방향 제시에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미용사 면허제도의 개선과 뷰티 산업의 정확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통계적 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며, 보다 광범위하고, 조사 대상을 확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beauty industry is becoming systematized with a related long-term history in the last 20 years. Through that period, we have achieved superior technical skills showing an endless ability to excel at international technical skill competitions. However, these skills are only being used in local salons and dermatological clinics due to the problems of current legal system (unrealistic regulatory practices). It is unfortunate to see its effect on the slow growth in the industry and or this irrational system to continue to exist.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licensing system is very complicated and leaves prospective beauticians with a large financial burden, but yet, in reality, the certificate is not co-recognized in other countries, though, so, national support is necessary to scrutinize this critical flaws in Korea legal regulation. In this study,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f the curren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to improve and develop the make-up field as a distinct and professional branch of the beauty industry. Through the investigation, various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to changes at the national policy level and the newly establish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d institutional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to solve the problems uncover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summari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we need to search for a refined measure in the make-up industry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younger generation in this field. In today’s fast-pace information society, easy access to specialist training for make-up is essential. In addition, it is even more essential to establish a new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make-up artists to harmonize with the current trend in the field. Second, the research indicates that make-up industry has their own special interest in the cosmetic field. In response to this demand, systematic training courses and specific institutions specialized in the area should be established. Third, compared with the recognition that this is a promising profession in one’s career choice, there are lots of institutional weaknesses, so, there needs to be an overhaul on the qualification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soaring make-up market and workers at a national level. In other words, the subsequent plan currently being implemented for the make-up industry should be actively reexamined with the national qualification standard (general) Forth, the arrang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plan to meet the current demands of reevaluating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beautician (make-up) category license need further evaluation to separate it from the general beautician. Fifth, due to the current beautician certification system’s wide domain, the phenomena of the irrational aspects of the current system should be improved. The current beautician certification system needs to be subdivided and specialized so that future beauticians can easily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t is imperative to separate and newly establish an independent ‘make-up artist’ category. Sixth,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as a way to create job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export market related industries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affects of the competitiveness of a beauty industry to economic growth in cosmetics, tourism, healthcare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can benefit by providing more employment and investment opportunities.

      • 음양오행이론에 의한 경락마사지를 적용한 피부관리 효과의 비교연구

        안성희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본 연구는 미용경락이 피부미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음양오행 체질에 따른 경락마사지를 적용하여 비교 실험 연구룰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에서 65세의 여성으로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에 적합한 자를 선정하여 음양오행이론에 의한 경락마사지를 적용한 그룹(실험군)과 일반피부관리 그룹(대조군)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 당 15명씩 총 30명을 확률적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정해진 방법대로 각각 1시간씩 주2회 총4회의 피부관리를 실시하였다. 피부측정은 독일의 Courage & Khazaka Gmbh의 Multi Probe Adaptor systems (MPA5)로 국제학술지에서 인정받는 피부전문분석기기를 사용하였고, 얼굴크기 측정과 탄력도 측정은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분 증발도는 볼의 경우 4회 관리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수분 증발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홍반도는 볼의 경우 4회 관리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이마는 3회 관리 후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얼굴크기는 입꼬리에서 귀문앞의 볼선, 코옆에서 귀문앞의 볼선, 코옆에서 귀위의 볼선 모두 4회 관리 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탄력도는 턱라인의 경우 3회 관리 후부터 증가하였고, 볼길이의 경우 4회 관리 후에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 피부상태 및 주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3회 관리 후에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수분증발도, 탄력도, 색소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2회 관리 후부터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3. 얼굴크기, 통증, 홍반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1회 관리 후부터 4회 관리가 진행되는 동안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음양오행이론에 따라 각 사람의 체질을 구분하고 이 이론에 적합한 경락마사지를 적용한 피부관리방법이 일반피부관리방법에 비해 얼굴피부의 수분증발도 감소, 홍반도의 감소, 얼굴크기의 축소효과, 피부탄력도 증가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만족도 또한 일반피부관리방법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경락마사지를 보다 과학적이고 학문적으로 임상 연구하여 정확한 체질분석과 이론체계를 토대로 올바른 관리방식이 정립되어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smetic effects of skin care with meridian massage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The treatment-control design was adopted to achieve the purpose and 30 females between 20 and 65 years old who satisfi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Kyounggi province and randomly allocated to treatment and control group equally. The subjects of each group were treated according to the pre-established schedule and methods for one hour per day twice a week for two weeks and the skin data were measured by Multi Probe Adaptor systems (MPA 5), and satisfaction data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SPSS WIN 12.0K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isture evaporation in the cheek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urth care. Second, erythema in the cheek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urth care, and the same effect in the forehead was appeared after the third care. Third, the size of the face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urth care. Fourth, the elasticity, of the chin lin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enhanc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hird care. And the subjects in treatment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skin conditions of face than in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kin care method with meridian massage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were more effective as to reduction in moisture evaporation of face skin, reduction in erythema, reduction in face size, and enhancement in skin elasticity than ordinary skin care method.

      • 매뉴얼테크닉요법과 고주파요법이 복부비만여성의 스트레스 자각정도와 코티졸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지수민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In the study, effect of manual technic and high frequency on body composition and stress change in abdominal obese women in age from 30 to 50 who record 25 kg/m2 or higher in body mass index (BMI), 0.85 or higher in waist to hip ratio (WHR) and 30% or higher in body fat and who als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manual technic (MT) group with 10 women and high frequency (HF) group with 9 women to figure the composition of the body, blood stroma, cortisol hormone and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body attitudes questio nnaire (BAQ), stress level changes in a abdominal obese women. The subjects were given 20 times of manual technic and high frequency that is effective in dissolving the body composition for 8 weeks (twice a week). The MT group results show decreases in body weight (p<0.01), BMI (p<0.05), fat mass (p<0.01), waist circumference 1 (p<0.01), waist circumference 2 (p<0.001), waist circumference 3 (p<0.05), WHR (p<0.05), TG (p<0.05). The high frequency group results show decreases in fat mass (p<0.01), waist circumference 1 (p<0.01), waist circumference 2 (p<0.001), waist circumference 3 (p<0.05), WHR (p<0.05). The HF group results show decreases in fat mass (p<0.01), waist circumference 1 (p<0.01), waist circumference 2 (p<0.001), waist circumference 3 (p<0.05), WHR (p<0.05).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MT group and The HF group results show decreases in triglyceride(p<0.05).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MT group results show decreases in cortisol (p<0.05) stress level (p<0.001).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between groups. Manual technic was also found to be helpful for blood circulation and nerve relaxation and also changes the density of cortisol hormone. In conclusion this it can be considered that manual technic and high frequ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ects of the abdominal obese Women. 본 연구는 손을 이용한 매뉴얼테크닉요법과 기계를 이용한 고주파요법이 복부비만여성의 신체조성, 신체둘레 및 코티졸의 수치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30-50대의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복부비만여성 19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매뉴얼테크닉을 이용한 그룹(manual technic, MT 그룹) 10명과 고주파기기를 이용한 그룹(high frequency, HT 그룹) 9명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주 2회씩 16회 복부관리를 시행하여 체중, 체성분, 허리둘레 혈액조성 및 코티졸의 수치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정신건강상태(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와 비만스트레스(body attitudes questio nnaire, BAQ), 스트레스 수준(stress level)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신체조성의 변화로는 평균 체중은 실험 전과 비교하여 MT 그룹이 실험 후에 0.84 kg이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1), HF 그룹은 실험 전과 비교하였을 때 0.54 kg이 감소하는 경향은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MT 그룹이 실험 후에 0.32 kg/m2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HF 그룹은 실험 후에 0.46 kg/m2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체지방량은 실험 종료 후에 MT 그룹은 0.81 kg이 감소, HF 그룹은 2.09 kg이 각각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체지방률은 실험 종료 후, MT 그룹은 0.40% 감소하는 경향은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HF 그룹은 1.99%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하지만 두 그룹간의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률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종료 후 늑골의 최하단 부위인 허리둘레 1의 변화는 MT 그룹은 평균 3.81 cm 감소, HF 그룹은 3.11 cm가 감소되어 두 그룹 내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1), 배꼽을 지나는 부위인 허리둘레 2의 변화는 MT 그룹이 평균 3.66 cm 감소, HF 그룹이 4.24 cm 감소하여 두 그룹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리고 배꼽 아래 5 cm 부위인 허리둘레 3은 MT 그룹이 평균 2.49 cm 감소, HF 그룹은 2.49 cm이 감소되어 두 그룹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5), 허리-엉덩이둘레비는 실험 전·후 변화로는 MT 그룹이 0.01% 감소, HF 그룹이 0.01% 감소하여 두 그룹 내에서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p<0.05), 두 그룹 간에서는 허리둘레 1, 허리둘레 2, 허리둘레 3, 허리-엉덩이둘레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조성의 변화로는 중성지방은 실험 후 MT 그룹 35.50 mg/dl 감소, HF 그룹 66.44 mg/dl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MT 그룹과 HF 그룹 내의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 결과 모두 유의적으로 보이지 않았으며, 두 그룹 간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 결과 역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트레스 변화에 대해서는 실험 종료 후 코티졸의 수치는 MT 그룹이 3.16 mcg/dl가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5), HF 그룹은 2.32 mcg/dl 감소되는 경향은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는 MT 그룹이 1.22점 감소되어(p<0.001)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GHQ와 BAQ 변화는 MT 그룹과 HF 그룹 내에 각각 감소하는 경향은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 그룹 간의 코티졸 수치, GHQ와 BAQ,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결과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 손을 이용한 매뉴얼테크닉이 복부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함으로써 체중,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량이 감소되어 복부관리에 효과적이며, 더불어 코티졸의 감소로 인한 심리적인 안정감과 스트레스지수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한편, 고주파는 심부열로 단단한 지방조직의 연소를 가속화하여 체지방률이 매뉴얼테크닉을 사용한 것에 비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의 수가 19명으로 한정되었던 것과 실험기간이 8주로 다소 짧은 기간 때문에 혈액조성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통계결과를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에 작용되는 생활습관과 폐경기여성, 폐경이 되지 않은 여성을 구분하지 않고 무작위로 나누어 적용하는 등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없었던 것을 제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에 앞으로 폐경기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연구기간과 관리횟수를 확대 적용하고 다양한 관리방법과 기계를 추가하여 병행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폐경이 된 여성과 월경을 하고 있는 여성으로 나누어 연구에 적용하여 호르몬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 또는 월경 주기가 규칙적인 사람과 월경 주기가 불규칙한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에 적용하는 등 연구기간과 관리횟수를 확대 적용하고 다양한 관리방법과 기계를 추가 병행하여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피부미용실 평가인증제도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

        김혜진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후생을 증진시키고 피부미용실의 위생및 시설, 설비등의 전반적인 수준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피부미용실의 평가인증제 도입을 제안하고 종사자와 고객의 평가인증제의 인식을 파악하여 평가인증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평가인증제”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고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피부미용업의 건전한 발전 및 소비자 후생의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고객의 피부미용실 이용특성, 고객과 종사자의 평가인증제의 인지도, 종사자의 평가항목의 중요도와 실제평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선행논문들을 고찰하였다. 설문은 총 360부중 고객 145부 종사자 159부를 회수하여 2011년 02월07일부터 03월07일까지 약 한달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교차분석을 하였고 통계 Package는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방문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피부관리의 효과가 가장 높은곳으로 일반피부미용실47.6%(69명)을 선택하였으며 고객만족을 위해 직원의 전문성33.1%(48명)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둘째, 평가인증제의 인지 여부에 대하여 고객과 종사자 모두 ‘들어 본 적 없다’와 ‘들어 본 적 있으나 알 잘지 못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아 전체적으로 평가인증제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23.702, p<0.001), 피부미용실 평가인증제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객 62.1%(90명), 종사자 66.7%(106)명이 ‘예’라고 응답하여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실 종사자의 평가인증제 도입시 평가항목의 중요도 인식과 실제 자가평가의 요인별 비교결과 4개의 요인 모두 중요도가 실제평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곧, 다수의 종사자들이 시설환경, 운영관리, 위생관리, 인력관리 모두 간과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신들의 작업장내에서는 지키지 못하고 있어 필요성과 중요성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은 물론 종사자들도 평가인증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며, 실제 피부미용실의 전반적인 것들이 낮게 평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인증제의 도입을 위해 고객, 종사자 모두에게 평가인증제의 필요성을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으며 하루빨리 평가인증제도가 도입되어 피부미용실의 질적인 향상과 균형적인 발전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ationale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in skincare salons as an essential requirement to a hygienic and successful salon. The primary intention is to show the critical importance of improving hygiene in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used in skincare salons, as both a means of raising standards of hygiene vital to the health and welfare of customers and essential to securing the ongoing trust of those customers. Subsequent "Word of Mouth" promotion of the salon by its clients as a reliable, reputable, and professional skincare salonis also seen as a highly probable outcome of implementing and adhering to the standards set in the certification program. The study methods centered on direct interviews of both customers and people working within the industry utilizing a specifically designed questionnaire to determine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and awareness level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umers with skincare salons. The questionnaire used as the primary method of gathering data during the interview was designed and formulated in the main from original questions. It was supplemented in part, fromquestions drawn from previous research papers. which had been closely examined to determine the relevance and suitability of other questions for inclusion in the design of this studyfor their ability to provide further useful information pertinent to this study. 159 interviews from participants working within the skincare industry and 145 interviews with consumers were among the total of 360 interviews returned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07, 2011 to March 07, 2011. The statistical method for the analysi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onfidence analysis, t-test, cross-analysis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PASW) Versio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t characteristics perconsumer demographic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ut they chose the general skin salon with 47.6% (69 people) for the highest effect of the skin managem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employees with 33.1% (48 people) was the highest in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showed the highest response of "Have never heard" or "Have heard but do not know well" from the consumers and the participants.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the certification program (=23.702, p<0.001), and the necessity of the skin salon certification, although 62.1% of the consumers (90 people) and 66.7% of the participants (106 people) answered "yes" to show that they understood the necessity of certification. Third, the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evaluated items in th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for skin salon participants showed that all four factors showed higher importance than evaluated ite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relevance for people in the industry is that all four factors considered in the study: Facility Environment, Management, Hygeine, and Employee Management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essential to both customers and participants, but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show that while professional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tandards in all four elements customers expect higher standards than are currently being provide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and participants did not know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and overall skin salons were evaluated to be lower. It is important to actively advertise and promote the necessity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to both consumers and participants together with the rapid improvements in quality and across the board advancement of skincare salons, which can be expect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overwhelmingly demonstrates how widespread is the lack of knowledge by both consumers and participants of the skincare salon certification program, and how the low actual evaluation signifies a crucial need to broadly and speedily introduce the certification program throughout the industry. In addition, a broad-based and penetrating public awareness campaign is urgently needed for greater recognition, familiarity, and understanding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for both consumers and participants, and for rapid improvements in the delivery of quality services from skincare salons.

      • Phosphatidylcholine 크림을 이용한 스톤 요법이 30대 여성 복부 비만 및 신체 계측에 미치는 영향 :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박재선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2703

        When people think of women in their 30s, the most common imagery is someone who appears to be stylish and dignified, having a pivotal role in society. However, a majority of these women tend to be white collared women, working for several hours a day at a desk. Because of this, these women also tend to have very low levels of activity, low basal metabolic rates, and hormonal changes within their systems, which result in abdominal obe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women in their 30s who are suffering from abdominal obesity and spotlighted as main consumers. The study was focused on abdominal treatment in esthetic salons and tried to verify the effec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one therapy using PPC cream. To verify the effects of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the change of subcutaneous fat and physical measurement was examined by CT before and after 15 treatments. This study was for basic data and development of program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various services in esthetic salons that are doing abdominal obesity treatment. The recipients were 16 women in their 30’s that had BMI over 23 and living in Seoul area. To verify the effects of PPC cream on the abdominal obesity, 8 people who were using PPC cream for the homecare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8 people who got treatments without PPC cream as a control group were experimented. For recipients’ physical measurements, body moisture, volume of body fat, weight, percentage of body fat, volume of abdominal fat and metabolism were measured, and abdominal subcutaneous fat area, abdominal cavity’s fat area were measured by 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s follows: The recipients’ ages were in the 30’s, 7 of these people were less than 163cm of height, and 9 people were over 163cm of height. 5 people were less than 70kg of weight, while 5 people were 70~80kg of weight, and 6 people over 80kg. 5 people were married, 11 people were single, and 14 people had experienced delivery except 2 people. All recipients thought they were obese (fat), and believed that they suffered from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 obesity. Second, the change of physical measure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PPC cream for homecare and control group that had treatments onl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eight was reduced about 2.41 kg from 73.26 kg to 70.85 kg after the experiments. Also, volume of body fat and percentage of abdominal fat were low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s CT assessment, the subcutaneous fat area of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about 32.36㎠ from 314.57㎠ to 282.21㎠ after the experiments. The area of abdominal cavity’s fat was reduced about 9.59㎠ from 81.47㎠ to 71.88㎠ after the experim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area of abdominal cavity’s fat was reduced about 3.02㎠ from 87.40㎠ to 84.02㎠ after the experiments. It showed that the area of subcutaneous fat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reduced than the control group’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ore effective to reduce the area of subcutaneous fat. Fourth,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body shape after the experiments, both group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weight control and change of body shape, and had intention to recommend this program. Especial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PPC cream as a homecare showed higher intention. Fifth,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PPC cream as a homecare, 37.5% of people felt that the fever lasted more than 1 hour, and answered that there was positive effectiveness for reducing circumference of body.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tone therapy using PPC cream is effective for body treatment on obese adult women, and carrying out the program with PPC cream side by side will be an effective program for the obesity. 30대 여성하면 떠오르는 것이 세련되고 당당한 모습으로 사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하루 종일 앉아서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사무직 여성들은 활동량이 적은데다 기초대사량의 감소와 호르몬 체계의 변화로 복부비만을 초래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소비주체로 각광을 받고 있는 30대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에스테틱살롱에서의 복부비만관리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Phosphatidylcholine (이하 PPC크림)을 이용한 스톤 테라피 요법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고 실험 전 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 전과 복부관리 15회 실시 후의 CT촬영으로 본 피하 지방 변화와 신체계측 변화를 살펴보고 비만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에스테틱 살롱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와 프로그램 개발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실험 대상자는 체지방이 표준(BMI 지수 23) 이상인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30대 여성으로 PPC 크림이 복부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PPC 크림을 홈케어로 사용하는 8명을 실험군, 프로그램만 진행한 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8주간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신체 계측은 체수분,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율, 복부 지방율, 기초대사량의 항목을 측정하였고 CT를 이용하여 복부 피하지방면적과, 복강내지방면적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은 30대로 신장은 163 ㎝미만 7명, 163 ㎝이상이 9명이며 체중 70 ㎏미만은 5명, 70~80 ㎏사이가 5명, 80 ㎏이상은 6명으로 조사됐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5명, 미혼이 11명이며 출산여부는 2명을 제외한 14명은 출산 경험이 없다고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 모두 비만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비만은 사회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PC 크림을 홈케어로 사용한 실험군과 프로그램만 진행했던 대조군의 신체계측 변화에서 실험군의 경우 평균 체중 73.26 ㎏에서 실험 후 70.85㎏으로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2.41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체지방량, 복부 지방율이 대조군 보다 실험군 에서 더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CT측정치는 실험군의 피하지방면적이 282.21 ㎠ 로 실험 전 314.57 ㎠보다 32.36 ㎠줄었으며 복강내지방면적은 실험 전 81.47 ㎠에서 실험 후 71.88 ㎠로 9.59 ㎠줄었으며 대조군의 경우 복강내지방면적의 경우 실험 전 87.40 ㎠에서 실험 후 84.02 ㎠로 3.02 ㎠줄었다. 이는 실험군의 피하지방면적이 대조군 보다 줄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피하지방 면적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후 신체만족도 여부에 따른 설문평가 결과 두 군 모두가 체중 조절과 체형 변화에 긍정적으로 대답했으며 향후 프로그램을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특히 PPC를 홈 케어로 사용한 실험군에서 좀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PPC를 홈케어로 매일 1~2회씩 사용한 실험군의 결과는 발열이 1시간 지속된다고 느낀 사람이 37.5%로 나타났으며 신체 둘레 감소 효과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대답했다. 위 사실로 실험군에서 PPC 크림을 이용한 스톤 요법 프로그램이 성인 비만 여성의 체형관리에 효과적이며 프로그램 진행과 함께 PPC크림의 사용이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 체형관리를 하는데 효과적인 비만 프로그램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