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 협성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고찰

        손병철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1

        1906년 대구경북지역 유림들이 지방 영학(營學)인 낙육재에서 시작한 대구 협성학교는 1907년 경상감영 내로 이전하면서 설립 취지를 밝혔다. 충군사상을 기반으로 한 신학문 수용이라는 대구 협성학교 설립 취지는 구국을 위해 설립된 사립학교였음을 보여준다. 대구경북지역 전통 유림들이 대구광문사를 중심으로 대구 협성학교를 설립하였지만 일본 세력 확대에 따라 친일관찰사 박중양과 개화지식인 중심인 대한협회대구지부가 운영의 주체로 되었다. 1907년 한일신협약 체결 이후 한층 강화된 일본의 침략정책에 맞서 운동회, 토론회 등의 국권회복 교육활동을 전개하였고 교원강습소, 교사연수 등 교사교육에도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구경북지역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자주적으로 설립한 대구 협성학교는 대구경북지역 근대교육에 큰 공헌을 하였음을 밝혔지만 대구 협성학교 시작인 경상감영 내 낙육재의 변화가 명확하지 않아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Daegu Hyeopseong School was established in 1906 by local Confucian scholars with the name of ‘Nakyukjae’, a local government school.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Daegu Hyupseong School was to accept of modern academics based on the patriotism, which shows that local private schools were established for saving country and enlightenment. Daegu Hyupseong School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by local Confucian scholars in Daegu, based on Gwangmunsa, but with the expansion of Japanese power, pro-Japanese provincial governors and the Daegu branch of the Daehan Association, centered on enlightened scholars became the main body of its administration. Despite the change in the governing body of the school, Daegu Hyupseong School conducted educational activities to cultivate students' skills such as athletic meeting and discussion activities, and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such as teacher training centers and teacher training. This study makes attempt to show that the Daegu Hyupseong School, which was independently established by the Daegu-Gyeongbuk Confucian scholars,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modern education in the Daegu-Gyeongbuk area. The location of Nakyukjae, which seemed to be the start of Daegu Hyupseong School, and how the school changed is not clear, which still remains to be investigated.

      • 최계란 명창과 “대구아리랑” 고찰

        손태룡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Arirang, Korean folk song,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 various regions, with Kin-arari sung in Kangwŏn Province and Chajin-arari sung while conveying rafts along Han River spreaded. Futhermore, A variety of Arirang song was made after Bonjo-arirang (Seoul-arirang) and used in movie Arirang by Na Un-gyu(1902-1937), has known to public in 1926. In this social circumstance, Taegu-arirang was made and embeded in SP record by Ch'oe Kye-ran. The SP record was Taegu-arirang released by Million in 1936. Taegu-arirang has eight-ten time and Ŏnmori-changdan. The song was accompanied by Sŏnyang Orchestra with Kayagŭm, Changgu and violin. Sŏnyang Orchestra (鮮洋樂團)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Kayagŭm, Changgu and violin perform together. Ch'oi Gye-ran who was born in Bongmu-dong, Tong-gu, Taegu went to Taegu-arirang in Taegu at age of 10, 1930 and was tutored by Kang T'ae-hong. And she made his appearance in Kyŏngsŏng broadcasting and recorded Taegu-arirang while performing, with her position belonging to Chosŏn-Kwŏnbŏn. The form of lyric and melody in Taegu-arirang in Million recorded by Ch'oi Gye-ran was old-fashioned. Especially, the song added familiarity by using terrain in Taegu such as Nakdong River and Gŭmho River. For Taegu-arirang to be regarded as one of representative and distinct folk songs in Taegu, Many things about the song should be discovered and many people should sing and pass down the song continuously. And better plan to pass down and conserve the song is required from now on. 우리나라 민요 <아리랑>은 강원도지역에서 모심기 때 불린 “긴아라리”와 대원군(李昰應, 1820-1898)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한강으로 뗏목을 옮기면서 부른 “자진아라리”가 전국으로 전파되면서 각 지역의 <아리랑>이 새롭게 탄생하게 되었다. 더욱 1926년 나운규(羅雲奎, 1902-1937)가 제작한 무성영화 <아리랑>에 사용된 “본조아리랑”(서울아리랑, 나운규 편곡, 노래 이상숙)이 알려지게 된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지역별 <아리랑> 노래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대구아리랑”이 창작되어 최계란(崔桂蘭, 1920-2001)에 의해 SP음반에 취입되었다. 그 음반이 바로 1936년 밀리온(Million)에서 발매한 “대구아리랑”이다. “대구아리랑”은 자진모리로 된 전주-간주-후주를 포함하여 8분음10박자의 엇모리장단으로 되어 있다. 반주로 사용된 장구와 가야금 그리고 바이올린과 함께한 선양악단(鮮洋樂團)이 반주를 하였다. 선양악단이라고 한 것은 장구와 가야금의 조선악기와 바이올린의 서양악기가 함께 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대구시 동구 봉무동 출생인 최계란은 1930년 10세 때 대구 달성권번에 들어가 강태홍(姜太弘, 1893-1957)의 지도를 받았다. 그리고 임종성(林鍾成)에 의해 서울의 경성방송국 출연과 조선권번에 기적(妓籍)을 두고 활동을 하면서 “대구아리랑”을 취입했었다. 최계란이 밀리온음반에 취입한 “대구아리랑”의 선율과 가사의 형태는 고제(古制)에 해당된다. 특히 낙동강, 금호강 등 대구지역과 관련되는 지형을 가사에 이용함으로써 더욱 친밀감을 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구아리랑”을 취입한 최계란은 누구이며, “대구아리랑”은 어떠한 음악인지를 밝히는 작업이 연구목적이었다. 연구를 위해서 최계란을 추적하였고, 유성기음반에 담긴 “대구아리랑”을 통해서 가사를 채록하고 음원을 채보하여 오선보로 악보화 했다. 앞으로 “대구아리랑”이 대구지역의 특색 있는 대표적 민요로 규정되려면 지속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계속 불러 전승될 때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나은 전승 보존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using the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regions,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various industrial linkage effects were re-estimated.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specialized sector following electronic industries amo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region, and the 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and demands was very hi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30 industrial sectors, and far higher than those of the steel industry in South-East regio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and Daegu regio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showing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industries, and impact factor showing backward linkage effect was higher than 1. Therefore,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an intermediate-deman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en the price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rising 10%, its effects on other regions were highest in Daegu region, and the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Gyeongbuk region followed in order. For the entire Korea, it affected higher price-rising pressure of 24.8%. The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more highly linked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r South-East region than Daegu region,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actively industrial collaboration with these regions.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한 후 여러 가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 타 산업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생산유발계수는 30개 부문 전체 산업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으며, 동남권이나 수도권, 대구 등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감응도계수는 전체산업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높았다. 따라서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물가가 인상될 경우, 대구지역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동남권, 경북권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이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 경북권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별로는 철강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가스 및 증기제품, 도·소매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 대구경북 금융산업의 효율성 측정: DEA 모형의 적용

        서호준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Weak regional finance is a major factor that undermines the local economy, and an improved “efficiency” of financial industries is crucial for revitalization of regional finance. This study employs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measure the efficiencies of financial industries in Daegu and Gyeongbuk by comparing them to those of other province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financial industries in Daegu and Gyeongbuk, among 16 major cities nationwide, are ranked at a mid-level for loan and deposit amounts, exhibiting a moderate outcome compared to the economic size of the respective region, but their efficiency is significantly poor relative to the size of financial industries, remaining at the bottom for five consecutive years. The BCC Model demonstrates that Daegu has exhibited the worst efficiency nationwide in 2010 due to technical factors rather than the size, further suggesting the possible necessity to manage inputs and outputs to improve technical efficiency. Moreover, inputs (such as the number of business entities or employees) must be reduced significantly to operate efficiently in both Daegu and Gyeongbuk; Daegu demonstrates more inefficiencies in the number of employees, and Gyeongbuk in the number of business entities. In terms of political implications, as the usefulness of the DEA model in measuring efficiencies of regional finance has been widely accepted, th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DEA methodology are necessary, while gradual reduction of unnecessary manpower and expenses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radical restructuring as a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 to curtail the inputs of financial industries in Daegu and Gyeongbuk. Furthermore, differentiation advantage of Porter through policy effort compatible with local economic conditions may be necessary to encourage and facilitate regional financ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본 연구는 지역경제 침체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지역금융의 약화라는 인식하에 대구경북 지역금융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대구와 경북 금융산업 효율성을 다른 지역과의 상대적 비교가 가능한 방법론인 자료포락분석(DEA)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구와 경북의 금융산업은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중위권 수준의 여‧수신 금액을 보유하고 있어 일견 대구경북 경제에 비해서는 양호한 수준에 있는 듯 보였으나, 대구경북 금융산업의 효율성은 규모에 비해 훨씬 열악한 상황으로 5개년 기간 연속 하위권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BCC모형에 의할 때 대구의 2010년 효율성은 전국 최하위였던 것으로 분석되며, 그 원인은 규모의 비효율보다 순수기술적인 부분에 있다. 따라서 기술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투입‧산출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대구와 경북 모두 상당한 수준의 투입(사업체 수, 종사자 수) 감축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구의 경우 종사자 수, 경북의 경우 사업체 수에 보다 큰 비효율 요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 지역금융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론으로 DEA 모형의 효용성이 인정되는 만큼 이에 대한 활용과 개선이 필요하며, 대구경북 금융산업의 투입감축을 위해서는 급진적인 구조조정보다는 불요불급한 인력과 경비를 합리적인 선에서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경영개선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지역금융 활성화와 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지역경제여건에 부합되는 정책적 노력을 통해 Porter의 차별화 우위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대학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요인 분석

        구성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0 대구경북연구 Vol.1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dropout rate of universities in Daegu Gyeongbuk regio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university finance and educational conditions, and employment rat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dropout rate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88 universities whose data are all disclosed between 2016 and 2018, and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a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universities in Daegu-Gyeongbuk region were analyz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dropout in the initial value of education cost per student. Second,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at the initial value of financial support per stud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dropout. Third,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and Daegu-Gyeongbuk region colleges showed that the initial value of employment rat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dropout rate. In addition, in Daegu Gyeongbuk University, the rate of change in employment rate has been analyz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drop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dropout rate of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individually discussed.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대학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학기관 요인은 대학재정 및 교육여건, 그리고 취업률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중도탈락률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6년∼2018년 자료가 모두 공개되어 있는 88개교이며, 연구방법은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대학과 대구경북지역 대학은 공통적으로 학생 1인당 교육비 초기값이 중도탈락 초기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도권 대학은 학생 1인당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 초기값이 중도탈락 초기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도권 대학과 대구경북지역 대학은 취업률 초기값이 중도탈락 초기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대구경북지역 대학은 취업률 변화율이 중도탈락 변화율에도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구경북지역 대학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요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구화교소학의 설립 경위와 운영: 대구화교협회소장 편액을 근거로

        이정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0 대구경북연구 Vol.19 No.3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stablishing details and operation of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in Daegu through framed pictures possessed by Overseas Chinese Association of Daege. Overseas Chinese Association of Daege is possessing four framed pictures produced in 1930, 1943, 1950, and 1957. These framed pictures is very useful to analyse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in Daegu. Overseas Chinese Chamber of Commerce in Daegu(OCCCD) got started their activities to establish elementary school in 1941 with increasing of children of school age. The OCCCD obtained certification of school establishment from Kye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on August in 1941. As a result of appealing for fund-raising targeting at Overseas Chinese in Daegu, 6,350 Japanese Yen was collected. Overseas Chinese elementary school of Daegu was opened using the building of OCCCD in 1943. The school’s two classrooms was not able to accept increased students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OCCCD purchased Seo Byongkook’s House as a new school building. 본고는 대구화교협회가 소장하고 있는 각종 편액을 통해 대구화교소학의 설립 경과 및 운영의 실태를 분석한 것이다. 대구화교협회는 1930년, 1943년, 1950년, 1957년에 각각 제작한 목판 편액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들 편액은 대구화교사회와 대구화교소학의 역사를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는 이들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여 대구화교소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립되었고, 설립 초기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검토했다. 대구중화상회의 임원이 중심이 되어 학령 아동의 인구가 급증한 1941년부터 화교소학 설립을 위한 활동을 개시했으며, 그해 8월 경상북도 당국으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다. 대구와 경북의 화교가 화교소학 운영을 위한 모금활동을 전개, 136명으로부터 6,350원을 모금했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대구화교소학은 1943년 2월 대구중화상회의 방 2칸을 빌어 정식으로 개학했다. 해방 후 대구화교의 인구 증가로 기존의 교사로는 학생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모금활동을 펼쳐 서병조주택(현 대구화교협회 건물)을 매입하여 새로운 교사로 사용했다. 한국전쟁 때 대구로 피난 온 화교인구의 증가로 대구화교소학의 학생수는 1957년 329명에 달해, 한성, 인천, 부산화교소학에 이어 4번째로 많았다.

      • KCI등재후보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대구시 거주 20대 이용자를 중심으로

        김경환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inten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The influencing factors found from review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he studies of mobile environments are perceived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quick accessibility, social homogeneity, entertainment, user interface design, self-determin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users who used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 diets, exercising, body's natural rhythms, etc. We found the perceived easy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entertainments of th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ffect the use intention of them. There a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intention and the other influencing factors found from literature reviews. For a successful mobile application business in daegu, the developer should recognize that the users want the mobile service model, the services for customers have to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entertainments. And a mobile service business model in daegu needs to produce various mobile application for healthcare.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이용의도와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대구지역 모바일 서비스 산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SW산업과 콘텐츠 산업의 비중이 전국대비 높은 편이고 전체 스타트업 중 어플리케이션 개발 스타트업의 비중이 높은 대구지역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이용의도를 분석해보는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최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구지역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업체들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큰 의의를 가진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용의도와 영향관계를 측정하는 기술수용모형(TAM)에 입각하여 대구지역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다이어트, 운동관리, 생체리듬 등)을 이용해본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본 결과,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뿐만 아니라 모바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오락성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그 외에 선행연구로부터 고려되었던 신속성, 사회성, 디자인 속성, 자율성 지지 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대구지역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발자들이 사용자들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의성 그리고 오락성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구지역 모바일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건강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 : 제3이탈리아 산업지구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승봉,이재필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performances and creation of employment. In many countries, the specific gravity of SMEs is very high, because the SMEs’ role involves organising the region in regards to the acceler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for continued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SMEs are suitable in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ial environment made easy through quick response to economic environmental change, technology development, allocating new industries, business confrontation, provision of power, the offer of opportunities for the establishment etc. The Third Italy located in the central and northeast regions of Italy, we find similarities with DaeguGyeongbuk in terms of business numbers, employment scale and industrial structure. In spite of these similarities, the economic result of DaeguGyeongbuk SMEs is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Third Italy. In the Third Italy, since specialized SMEs built the industrial districts based on the cooperative network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was accomplished. The factors exerting an influence on the competitiveness of SM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This three factors are the industrial structural factor, institutional factor, and organisational factor. In conclusion, the three factors discussed revealed that it was individual advantage that united and remained the core factor of competitiveness.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the Third Italy built the cooperative network of the bottom-up based on trust in the economic crisis.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경제적 성과와 고용창출 문제에서 중소기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기술개발, 새로운 산업의 개척, 경기 대응력 제고, 창업 기회의 제공 등이 대기업에 비해 용이하므로 변화하는 산업환경에서 경쟁력 확보에 적합하다. 대구경북지역과 이탈리아의 중부와 북동부에 위치한 제3이탈리아 지역은 사업체 수와 고용 규모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이 절대적이며, 산업구조적 측면에서도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제3이탈리아 지역에서는 전문화된 중소기업들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산업지구라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한 반면,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은 경쟁력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전문화와 숙련의 전승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구조적 요인, 협력적 네트워크를 촉진시키는 제도적 요인, 안정되고 참여적인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작업장 혁신을 유도하는 조직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결론적으로 산업구조적, 제도적, 조직적 요인은 개별적인 장점을 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 요인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는지가 경쟁력 확보의 단초가 된다. 무엇보다도 경제위기 상황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상향식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제3이탈리아 지역의 성공 사례는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대구시 가로수 전정 정책의 중요도 분석과 정책방향 기초연구

        류연수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0 대구경북연구 Vol.19 No.3

        The role of street tree in urban areas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and it was recognized as the part of urban Infrastructure. In the early times,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was in charge of creation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 but it was performed to Korea Forest Service in 2001. Daegu city established street tree plans in 2016, enacted rule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 in 2018, and proposed plan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in 2019. Plans reflected quantitative aspect of street tree but didn't consider pruning demands based on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it.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domestic studies on street tree pruning policy remained lo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licy importance for street tree pruning in Daegu and to propose basic plan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alysis of street tree pruning policy, budget allocation, building a system, and considering citizens’ opinion were important policies relatively. Based on the five fundamental principles and standards, model by the street environment factors and plans for street tree pruning in Daegu were proposed.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importance and propose plans of street tree pruning through the sufficient decision making process. If the case models for other areas and plan proposals in detail are followed up. it will help ensure that establishment and implement of policy plays a major role in street tree pruning. 도시 가로수는 도시 기반시설의 주요 요소로 인식되고 있고 그 역할 또한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가로수 조성 및 관리 업무는 초기에는 도로의 유지 및 관리 업무의 일환으로 건설부에서 담당하였으나 2001년에 산림청으로 재이관되었다. 대구시는 2016년에 대구광역시 가로수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2018년에 대구광역시 가로수 조성 및 관리 조례를 제정하였다. 그리고 2019년에서는 대구광역시 도시림 등 조성, 관리계획을 완성하였다. 정책과 계획 수립과정에서 가로수 조성이라는 양적 계획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으나, 식재된 가로수의 관리나 생육환경변화에 따른 기능 회복 등에 기반을 둔 전정 관리 수요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국내 가로수 관련 분야의 연구에서도 가로수 전정 정책과 정책별 중요도 연구는 상대적으로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가로수 전정 정책별 중요도를 분석하고 결과를 토대로 기본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전문가 대상으로 정책의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로수 전정 예산 확보, 전정시스템 구축, 주민 의견 적극 반영 정책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정책으로 나타났다. 5가지 기본원칙과 기준을 전제로 가로환경 요소를 적용한 모델을 개발하고 기본방향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기초지자체, 시민과 민간단체, 전문가 집단 등 관련 주제별 역할을 재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대상의 충분한 의사결정 과정을 기반으로 가로수 전정 정책의 중요도를 산출하고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향후 구간별 모델을 다양화하고 구체적인 방향 연구가 추가로 진행된다면 대구시 가로수 전정 정책 수립과 실천에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구광역시 고용노동정책 분석과 함의

        이승협 대구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1

        Based on the recent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field of employment and labor, we analyze and evaluate the employment and labor polici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From an individual worker's point of view, the field of employment and labor policy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jobs, labor protection, and employment and labor governance. The key issues were identified using survey data on local employment and labor policy officers and expert groups. Daegu Metropolitan City's employment and labor policies can be summarized as industrial policy-oriented employment policies and exclusion of labor policies.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issu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policy implemented by Daegu Metropolitan City,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should be set as an independent area separated from industrial policies. It can be said that a policy shift is required. The policy tasks should include a new governance for discovering the local employment and labor agenda. A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lement the policy delivery system in the employment and labor field, 지역단위 고용노동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고용노동정책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대응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의 이론적 논의와 고용노동 영역에서의 정책적 지역화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의 고용노동정책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이 글은 노동자 개인의 관점에서 고용노동정책의 영역을 일자리와 노동보호, 고용노동거버넌스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대구광역시의 고용노동정책과 관련된 핵심적 쟁점을 분석한다. 쟁점의 도출은 지역 내 고용노동정책 담당자 및 전문가집단에 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대구광역시의 고용노동정책은 산업정책 중심적 고용정책과 노동정책의 배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지역 사회 내 고용노동 관련 현안과 대구광역시가 실시하고 있는 고용노동정책 사이의 괴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사업이나 제도의 도입보다는 전략적으로 지역차원에서 지역고용정책을 산업정책과 구분되는 독립적 영역으로 설정하는 정책적 전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정책적 전환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지역 내 고용노동 의제를 발굴하고, 이를 정책화할 수 있는 고용노동 거버넌스의 재정비, 고용노동영역에서 정책의 전달체계를 보완해줄 수 있는 중간지원조직의 구축, 마지막으로 이를 위한 조례 및 기본계획 수립 등의 제도적 지원 등이 지역차원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