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가톨릭대학교 신학 교육의 반성과 전망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0 No.-

        본 논문의 주 목적은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이래 시행해온 신학 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그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첫째로, 논자는 현행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의 성격을 형식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음에 이 대학교들이 지난 십수 년간에 걸쳐 실시해 온 교육 내용의 실제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의 형식상의 신학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들은 한국 정부와 보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상이한 두 지침들을 면밀하게 따라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대학교들은 정부 지침에 따라서 4년의 학부 과정과 2 내지 3년의 대학원 과정으로 교과 과정을 채택하였으며, 교회 규정에 따라서 대신학교로서 1년간의 예비 과정, 2년간의 철학 과정과 4년간의 신학 과정으로 전 가톨릭교회의 정식 사제 양성의 교육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 주교회의 지침에 따라 몇몇 특수한 한국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 신학 교육은 네 개의 구별되는 부분, 즉 인격적이고 지성적이며, 영성적이고 사목적 양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교회 지도자들과 교육자들은 매년 정례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현행 교육 체계를 평가하고 사제 양성을 위해 보다 나은 길을 모색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사제 양성을 이룩하기 위한 괄목할만한 노력이 도모되었음을 쉽게 간과할 수 없으나, 현재 신학 교육의 상황은 꽤 비판적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이 시행해 온 신학 교육의 수준은 전국에서 모인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유일 전국 신학교로서의 신학 대학에서 전국 차원의 신학 교육을 담당했던 과거 1970년대보다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낮은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소수의 자격 있는 학자 성직자들이 7개 다른 기관들로 나뉘어져서 상당히 무거운 과업들을 또 다른 추가적인 행정적이고 사목적 업무와 함께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학자들에 대한 임면이 너무 자주 이루어져서 대학교들에서 안정되고 충분히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유지하기가 너무 어렵다. 근래에 이르러 적지 않은 수효의 성직자들의 유감스러운 행태에 대한 비판적 지적들이 지역 교회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황의 가르침과 지침들은 교과 과정들이 몇몇 사회적이고 심리학적이며, 교육학적이고 자연 과학들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신학 기관들은 이 요청들을 제대로 시행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학 교육이 외부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전통적 신학교 영역 안에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신학 패러다임의 서구 지향성은 한국 신학 체계의 미숙성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고 볼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비서구 지역 교회들에게 이미 반세기 전에 토착화를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로마보다 더 로마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삼천년기의 현 단계에서 이 지역 교회의 지도자들이 학자와 교육자들로 하여금 수효와 기간 면에서 이 나라의 어느 다른 대학교 교수들과 교육자들처럼 안정된 조건에서 그들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때에 보다 나은 신학 교육에 커다란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직 약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훌륭한 자질을 지닌 학자에게 교구와 관구, 그리고 국가를 초월하여 가르치고 지도할 기회가 부여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신학 교육의 폭을 넓히고 강화하기 위하여 7개 대학교들이 공통의 권리와 과업을 지니고 참여하는 소수의 공동 대학원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보다 많은 주제들의 강의를 접하고 그들 자신의 학부 대학에서보다 더 많은 다른 학생들을 알게 되는 더 나은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와 전 교회의 비판적인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는 대부분의 작고 미약한 아시아 교회들과 노쇠한 서구 교회들과는 대조적으로 생동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학자들은 성숙한 한국 교회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토착화의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alit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s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and then to point out its future perspective. Firstly, I tried to character the present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in a formal view, and to evaluate their re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practic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formal theological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of Korea Catholic Universities have followed carefully two different directions of the Korea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Roman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directives, they have took commonly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ith four years' undergraduate courses and two or three years' graduate ones as the university, yet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one, they as major seminaries have peform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formal priestly formation for the entire Catholic Church with one year's preliminary course, two years' philosophy courses and four years' theology ones that contain also some specific Korean topics or subjects according the directives of Korea Bishops' Conference. And the entire theological education consists of four different parts, that means,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formation. The church leaders and the educators have an annual joint meeting regularly to evaluate the ongoing educational system and to seek a better way for the priestly formation. It is not simply overlooked that remarkable efforts have been done to make better quality of the priestly formation in Korea, but y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seems to be quite critical. The level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ve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in these periods, seems to be relatively weaker and lower than in the past 1970th years, when the national theological education had been taken by the scholars and educators from the whole country at a single theological faculty as National Major Seminary. Few qualified clerical scholars around the country who have been divided in seven different institutions, have to take quite heavy tasks with another additive managerial and pastoral works. And too frequent nominations and releases of scholars and educators that have been done by the Church leaders make it hardly difficult, to keep the steady and sufficiently high level of education at these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various critical remarks about regrettable attitudes of not few priests have been made in the local churches. Although the teaching and direc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e popes demand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to imply also the areas of several soci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natural sciences, the Korea theological institutions seem to be not able, to fulfill properly these demands, because the whole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pursued in the traditional seminary area which is secluded from the outer society. And the Western orientation of the whole theological paradigm should be characterized as the immaturity of the Korean theological system. Although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ked every not-Western local church for the inculturation almost a half-century ago, it is quite true that the Korean Church has remained more rom than Rom as such. At the present phase of the Third millennium responsible leaders of this local Church would contribute powerfully to the better theological education, when they let scholars and educators do their works in a stable condition of numbers and periods like other professors and educators of any other universities in this country. And it would be recommendable that any well qualitied scholar might be given the teaching and leading opportunity beyond any diocese, province, and nation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still weak education. And to broaden and strengthen the theologic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form few joint postgraduate schools that 7 universities partake with common rights and tasks, so that the students have better opportunities to get lectures of more subjects and to know more other students than in their own undergraduate school. In the present critical situation of the Korea society and universal Church the Korean Church manifests a vital dynamism in contrast to most small and weak Asian Churches and antiquated Western Churches. I think that the Korean Church leaders and scholars are confronting pressing needs of Inculturation to develop a more mature Korean Church.

      • KCI등재

        가톨릭 인본주의와 대학의 역할

        이종진(Lee, Jong-j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고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가톨릭대학교의 이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천적인 반성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가톨릭 인본주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있다. 즉, ‘가톨릭 인본주의’는 전통적인 성서적-그리스도교적 인본사상이 가톨릭적인 지반 위에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의 특질들을 수용하면서 형성된 사조라고 규정 될 수 있다.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는 성서적 인간이해, 은총과 자연의 양립가능성, 신앙과 이성의 통합가능성, 원죄에 의해서도 온전히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가르침 등이 가톨릭 인본주의의 ‘본래적인’ 내용들로 이해된다. 둘째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은 ‘보편적 인본주의’로서의 가톨릭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령 Ex Corde Ecclesiae(『교회의 심장부로부터』)를 통해서 제시 되고 있다. 아울러 가톨릭 인본주의의 이념이 시대사조와의 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되고 있고, 그와 함께 가톨릭대학교에 주어진 사명도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는 점도 고찰되고 있다. 셋째로, 이 문헌에 나타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 특히 사회정의의 증진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우리보다 앞선 전통을 가진 국외의 가톨릭대학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또 실천해 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이상의 실천적 반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대학교들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affirm the roles of Catholic universities at a time whe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face crises, and aim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s to fulfill those roles.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Catholic humanism.” Catholic humanism is based on traditional Catholic ideas combined with biblical-Christian humanism, and embraces renaissance humanism. By nature, Catholic humanism is thought to include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s that imitates the image of God, the compatibility of grace and natu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 and human free will that cannot be restricted even by original si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ies and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are based on Catholic humanism as universal humanism as Pope John Paul Ⅱ’s “Ex Corde Ecclesiae” suggested. In addition, Catholic humanism has been enrich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trends of each era, and accordingly, the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ird, this paper introduces how overseas Catholic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particularly social justice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universities in this era.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presents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faced b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 가톨릭 이념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김정우 ( Kim Jung Woo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논총 Vol.19 No.-

        본고는 많은 대학들이 학령인구의 감소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는 현상황에서 가톨릭 학교로서의 이념 실현과 치열한 경쟁관계 속에서 가톨릭대학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다른 대학과의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발표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Ex Corde Ecclesiae)을 중심으로 살펴 볼 것이다. 본교(대구가톨릭대학교)가 일반 대학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일은 결국 오늘의 현실에서 대학으로서 더욱 가톨릭적인 특성을 찾는 것이고, 다른 대학과 경쟁하기와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보완되는 개념으로 신앙과 이성을 통한 진리추구를 할 수 있는 공동체,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인간(휴머니즘)중심의 가톨릭적 사상을 바탕으로 4차 혁명의 시대 변화에 맞춰 시대의 흐름과 미래의 변화를 읽어가는 대학, 가톨릭 사회교리를 실천하여 인간다움 인격체를 양성하는 차별된 학교가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ways to survive competition with other universities while maintaining the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amid the realization of ideology as a Catholic school and fierce competition among many universities amid the shrinking school-age popul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To that end, we will focus on Pope John Paul II’s 「Papal decree on the Catholic University」(Ex Corde Ecclesiae), which was announced in 1990. The fact that this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has the upper hand in competition with ordinary universities is to eventually find more Catholic characteristics as a university in today’s reality, and that its identity as a Catholic university and competing with other universities should be the center of community and education that can pursue truth through faith and reason with complementary concepts rather than conflicting concepts. It should also become a university that reads the trends of the times and future changes in line with the changes of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based on the Catholic thought centered on humanism, and a differentiated school that trains humanistic personalities by practicing Catholic social doctrines.

      • KCI등재

        의학교육에서 가톨릭 정신의 구현

        김평만(Kim Pyeong-man),임선희(Yim Seon-hee),오승민(Oh Seung-m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1

        오늘날 자연과학 중심의 생의학 모델에 근거한 의료와 의학교육, 철학적 반성이 결여된 생명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말미암아, 의료의 비인간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윤리문제들이 발생하고, 의료인의 정체성에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의과대학에서 인문사회의학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에서도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인 옴니버스 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옴니버스 교육은 인문사회학 과정에 가톨릭 정신을 결합하여,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란 소명의식과 사명감을 지닌 인격적으로 성숙한 의사, 의료지식과 기술역량뿐 아니라 공감하는 역량과 도덕적 역량을 지닌 의사, 환자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요구에도 응답하는 봉사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의사다. 다른 의과대학에서 운영되는 인문사회의학 교육과 달리, 통상적인 인문사회학적 관점에 가톨릭 정신이 결합되면서, 옴니버스 과정은 인간과 의료를 바라보는 시선과 환자의 치유를 영적인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고, 의학직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의료인의 길이 변화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복음적인 인간 성숙을 기반으로 충만한 사명감을 지닌 생명의 봉사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먼저 옴니버스 교육과정의 시작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옴니버스 교육을 구성하는 원리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정신이 옴니버스 과정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옴니버스 과정의 교육방법론을 살펴보고 방법론 자체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을 살펴본다. 이어 이 논문의 결론으로, 가톨릭 정신은 의대 교육과정에서 봉사나 자선, 그리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르침 등 특정한 분야를 통해 구현되는 것보다, 인간과 의료에 대한 인식론과 참다운 의료인 상에 대한 존재론의 차원에서 구현되는 것이 더 근본적이고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환자와 의료를 복음적 시선으로 이해하는 자세와, 고통 받는 사람들의 이웃이 되라고 부름 받은 의료인의 사명에 응답하려는 태도를 교육하는 것이 의학교육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이며, 여러 가지 한계에 도달한 현대 의료를 극복하는 출발점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biomedical model affecting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the advance of biotechnologies unaccompanied by philosophical reflection, medicine has been dehumanized and industrialized. As a consequence, these developments are causing ethical problems and identity confus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As one of the potential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eed to be integrated into medical education. For this reason, we have developed a new curriculum named the “Omnibus Curriculum”, and implemented it in the curriculum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The Omnibus Curriculum aims to produce medical professionals who embody Catholic identity. We understand Catholic identity to imply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an open attitude to professional vocation, spiritual and personal maturity, a high level of empathy, high ethical standards, servant leadership, and a high sensitivity to social justice. The curriculum can achieve these aims through the embodiment of Catholicism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 approach that serves to distinguish the Omnibus Curriculum from similar curricula offered in other medical school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mnibus Curriculum, and show how it embodies Catholicism. In addition, we present our creative teaching methods, which mimic the creative teaching methods of Jesus. Afte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e are now convinced that Catholicism can offer answers to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questions confronting medicine, the medical system, and medical professionals, and can provide important directions for surmounting the current obstacles in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 현대 성경 연구와 ‘덴칭거’

        송창현(Song, Changhyu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성경 연구와 덴칭거, 곧 가톨릭 교회 교도권의 공식적인 가르침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덴칭거는 가톨릭 교회에서 성경 해석의 본질적인 특성들을 조명한다. 그리고 그것은 여러 주제들, 곧 성경과 성전의 관계, 성경 해석에 대한 특징적으로 가톨릭적인 접근에 대한 탐구, 역사-비평적 방법과 다른 방법들의 역할, 성경의 영성적인 의미와 더 충만한 의미, 그리고 가톨릭 해석 안에서의 교부들의 주석의 역할 등에 대한 균형 잡힌 판단을 제공한다. 몇몇 주석가들에 따르면, 지난 세기 동안 가톨릭 성경 연구는 학문적이지는 않았지만 가톨릭적인 것에서, 오늘날 뚜렷하게 가톨릭적이지는 않지만 학문적인 것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우선적인 이유는 역사 비평적 방법론의 독점적 지배에 대한 불만과 성경에 대한 과거의 접근 방식들인, 교부들의 성경 해석과 거룩한 독서에 대한 향수 때문이다. 가톨릭 성경 연구에 있어서 가톨릭적인 것은 무엇인가? 가톨릭 주석은 어떤 특정한 학문적인 방법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하지 않는다. 성경은 인간의 언어로 표현되기 때문에, 가톨릭 주석가들은 성경의 의미를 식별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객관적으로 학문적인 방법들을 자유로이 사용한다. 가톨릭 전통 안에서 성경 해석은 교회의 살아 있는 전통, 특별히 성경을 해석하는데 있어 교부 시대의 공헌을 인정한다. 가톨릭 주석가들은 역사-비평적 방법을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하지만, 그것의 한계도 인정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biblical studies and Denzinger, that is the official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s Magisterium. Denzinger sheds light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Catholic Church. And it offers balanced judgments on some issues, the inspiration, the complex relationship of Scripture and Tradition, the search for a distinctively Catholic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the rol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nd other methods, the spiritual and fuller senses of Scripture, and the role of patristic exegesis in Catholic interpretation. According to some exegetes, Catholic biblical scholarship had changed over the course of the last century from being Catholic, but not very scholarly, to its present condition of being scholarly, but not markedly Catholic. The primary reason for this was dissatisfaction with the dominanc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nd a desire to reclaim past approaches to Scripture, e.g., patristic interpretation, lectio divina. What’s Catholic about Catholic biblical scholarship? Catholic exegesis does not claim any particular scientific method as its own. Because the Bible is expressed in human words, Catholic exegets freely use scientific methods, as objectively as possible, to discern its meaning.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Catholic tradition recognizes the living tradition of the church, especially the contribution of the patristic era, in interpreting Scripture. Catholic exegetes use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s an indispensable tool, but its limitations are acknowledged.

      • 대학 교양교육에 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一考)

        김언경 ( Kim Eon-kyeong ),김춘수 ( Kim Chun-soo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2 융합교양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공존하는 다양한 문화 중 하나인 농문화 속 수어에 대한 이해와 대학 교양교육에서 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一考)이다. 2016년 2월에 ‘한국 수화언어법’이 제정되면서 수어가 농인이 사용하는 제1의 언어로 농인의 고유한 언어로서 한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갖는 언어로 인정을 받았지만, 그 실효성에 있어서는 큰 역할이나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COVID19 감염증 보도 과정에서 농인들이 신속 정확하게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확대 시행되었다. 또한 실시간 TV 정부 브리핑과정에서 수어 통역사의 위치 변화를 통해 농인들의 사회 위치가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농인의 사회 참여와 청각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 확대 및 고등교육 기회 확대에 따른 수어 통역 서비스의 요구가 점차 커지고, 전문성과 다양성이 요구되면서 수어 통역사의 역할과 수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수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수어를 가르치는 곳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수어 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현실이고, 여전히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어 교육은 개인의 취미 생활 등의 형태로 치부되며 환원되고, 모든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수어’ 교양강좌는 특수 목적을 가진 대학 이외에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톨릭 이념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는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수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이에 왜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수어 교육이 필요하며, 수어 교육의 방법에 대해 인근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in Deaf culture, one of the various cultures that coexist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ith the enactment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February 2016, sign language was recognized as the first language used by farmers as a language equivalent to Korean, but i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or effect in its effectiveness, and expanded to allow the Deaf to receive related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position of the Deaf are moving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through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during the real-time TV government briefing. In addition, the demand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is growing due to the participation of the Deaf in society, the expans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are increasing. However, despite this interest,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education remains on a very personal level, and sig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still dismissed as a form of personal hobby and is rarely given to all students. In this situation, it is a big problem that there is no awareness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Daegu Catholic University, which strives to spread Catholic ideology. Therefore, why sig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method of sig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ase of nearby Daegu University.

      • KCI등재

        새로운 복음화의 선도자로서 가톨릭 학교장 양성

        데이비드 스페시아,권구식(번역자)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7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톨릭 학교들과 교육 지도자에게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회의 ‘선교적 변화’(a missionary transformation)를 요청한다. 가톨릭교회는 교육 지도자이자 교회 직무자, 나아가 새로운 복음화의 중개자로서 사명을 수행하는 교회적인 학교장들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는 우선, 가톨릭 학교의 사명을 위한 기본적 개념 틀로서 주어진 ‘새로운 복음화’에 관심을 집중한다. 그리고 이는 가톨릭 학교장들이 수행하는 고유한 역할에 적용되기에, 그 정신의 기초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본고는 앞선 주제들의 맥락과 연관된 주요 가톨릭 가르침과 선행 연구자들의 통찰들을 살펴본 다음, 가톨릭 교육 지도자들의 양성에 필요한 몇 가지 권고들과 더불어 끝을 맺는다.

      • KCI등재

        종교 코드를 통해 읽는 5·18항쟁

        오승용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종교 스펙트럼을 통해 읽는 5·18항쟁은 매우 흥미로운 주제지만 연구가 충분하진 않다. 종교와 국가와의 관계만큼 종교와 민중항쟁의 관계가 평범하진 않다. 본질적으로 국가와 종교의 관계는 대립적이라기보다는 균형 지향적일 수밖에 없다. 국가 혹은 체제에 반하는 종교가 존립하기 위해서는 상상할 수 없는 탄압과 박해,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국가와 종교가 충돌하는 지점은 신앙의 자유 영역이 아닌 ‘신앙 실행의 자유’ 영역이다. 신앙 실행의 자유는 종교 활동이나 행사를 통해 신앙을 실천하는 자유 곧 종교적인 확신에 따라 행동하고 교리에 따라 생활할 수 있는 자유를 말한다. 종교는 신앙 실행의 자유를 통해 국가와 국가의 정책, 국가의 담지자인 정권과 긴장관계를 형성해 왔다. 5·18항쟁과 종교가 만나는 지점, 5·18항쟁과 가톨릭이 만나는 지점이 정확히 이 부분이다. 국가에 저항하는 광주 시민과 가톨릭의 만남을 연결시켜주는 접착제가 신앙 실행의 자유였다. 5·18 당시 가톨릭교회는 계엄군의 강경진압에 항의하고, 이를 광주 이외 지역에 알리는 활동을 담당했다. 그리고 시민들과 함께 직접 투쟁에 참여하기보다는 그들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구호’ 활동을 주로 담당했다. 그러나 오월 진상규명 운동을 가장 주도적으로 해나가며, 한국의 민주화운동에 있어 큰 역할을 해왔다. 가톨릭교회의 이와 같은 활동과 역할이 ‘부끄러움’과 ‘산 자의 의무’에서 이루어진 것인지, 종교적 신념과 신앙 실행의 자유에서 이루어진 것인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지만, 5·18항쟁과 오월진상규명 활동에 있어 가톨릭교회의 활동을 드러내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 5·18항쟁을 계기로 가톨릭교회는 군사정권의 국가안보 이데올로기와 정면충돌하고 독재정권 또는 군사정권의 지배방식을 거부하면서도 교회운동의 반공주의적 성격을 분명히 하였다.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을 계기로 권위주의 정권의 교회 일부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공세는 가톨릭교회와 정부가 정면충돌하는 계기가 되었고, 가톨릭교회의 상대적 급진화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인간과 환경

        김재득(Kim Jae-deuk),장동하(Chang Dong-ha)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가톨릭교회의 인간과 환경 관련 운동을 살펴보면 일정 시기에 폭발적 원론 수준으로 일어난 이후에 지금까지 뚜렷한 상승 곡선을 유지하였다고 볼 수 없다. 가톨릭 환경운동이 사회 환경 단체의 환경운동과 큰 차별성이 없이 진행되어 왔다. 이것은 가톨릭 신자들이 함께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풀뿌리 환경운동’의 미약함을 의미한다. 다행히 최근의 가톨릭교회 안을 들여다보면 우리농실천, 생협 등 가톨릭 신자들의 환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풀뿌리 환경운동들이 진행되고 있다. 환경 사목의 외향이 각종 성명서와 퍼포먼스를 앞세우는 쪽으로 급격히 부풀려진다거나, 그 결과를 ‘보여 주기 식’으로 치달았다는 지적은 타 종교에 비하여 조금은 비켜 갈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 문학, 환경 미술, 환경 영화, 환경 음악과 같은 생태 환경문화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관심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과 환경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전국 모임으로는 천주교환경연대에서 2002년 천주교창조보 전모임으로 탈바꿈한 ‘천주교창조보전모임’이 있다. 그러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생활 속의 실천에만 그치고 있어서 정착 단계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이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이 아니기에 가톨릭 환경운동 단체에 대한 바람과 과제를 첫째, 조직 분야(구성 및 기획), 둘째, 인적 분야(교육 및 연구 활동 과제), 셋째, 대외적 네트워크 분야(연대 및 실천과제)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연구자가 제안한 15개의 과제를 동시에 모두 해결하자는 의견은 아니다. 인간과 환경 및 생태 문화에 대비한 환경운동 및 환경 정책은 교육 정책의 경우처럼 백년대계 차원에서 책임감 있게 성심껏 세워져야 한다. 적지 않은 성과를 낸 가톨릭교회이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한 방울의 물이 모이고 모여 강물을 이루듯, 그 작은 실천들이 마침내 이 사회를 지속 가능한 생태적 사회로 바꿀 수 있기에 인간과 환경을 위하는 가톨릭교회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는다. It is true that there have not accumulated the great results of activities concerned with human and environment in catholic church. It shows that catholic environment activity has gone without big difference comparing the other green lobbys’ eco-activities. This means that ‘Grass roots environment exercise’ that catholics can practice together have been insignificant. Recently grass roots environment movement(MOV)s are coming along very well fortunately. Moreover, the attempt to escape in exercise of ‘Showing’ is often witnessed. But, despite continuous support and interest are required for ecosystem culture such as environment literature, environment graphics, environment movie, we are not recognizing deeply importance of human and environment. It does not look like perfect solution, but is not entirely impossible for the present. First,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plan) Second, human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subject) Third, an exterior network policy (era and practice subject) are presented with desire and key task about Catholic environment exercis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