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율곡학파의 리기론 -리기 이해 문제를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율곡학파의 율곡 리기의 이해(분석) 방법을 살펴본 글이다. 분석의 대상은 시기적으로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구체적 인물로는 율곡 이이와 그의 적전으로 보기에 논란이 없는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하, 남당 한원진을 선정하였으며, 그 분석 내용은 리기 이해에 국한시켰다. 먼저 율곡의 리기 이해를 분석하였으며, 그의 제자들이 그의 리기를 이해 방식이 어떻게 구체화하고 심층화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고찰을 통해서 살펴본 리기 이해의 변화는 율곡의 리기 이해를 원론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다변화시켜 다각도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리기론 자체의 발전만이 아니라 심성론의 심화로도 나타난다. 율곡과 그의 제자들은 리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고백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리기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라는 주자학의 원론적 난제로부터 연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리기를 다각도에서 접근하는 한편, 세분하여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율곡학파의 리기 이해에서 주리와 주기는 한 단편의 이해일 뿐이었다. 이를 통해서 퇴계학파의 주리와 주기의 대립이라는 도식은 제한적으로만 가능할 뿐이라는 것도 부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LiKi by Yulgok school.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understanding of LiKi, from 16th century to 18th century. Specific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understandings of Yulgok Lee I, and his indisputable disciples, Wooam Song Si-yeol, Suam Kwon Sangha and Namdang Han Wonjin. First, this thesis analyzes Yulgok`s understanding of LiKi and how his disciples made depth in his understanding. Yulgok school could diversify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LiKi in various angles, based on Yulgok`s understanding. Also, this resulted not only in development of Theory of LiKi but also in advance of Theory of XinXing. Yulgok and his disciples confes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explain LiKi. This is drawn from neo-confucian dilemma of Li and Ki being one but two, and two but one at the same time. Yet, they approached LiKi in various angles, subdivided and analyzed LiKi to explain this dilemma. In Yulgok school`s understanding of LiKi, zhuli and zhuqi are only one part of fragmented understandings.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oegye school`s diagram of dialectic conflict between chuli(主理, principle(li) as the predominant factor) and chuki(主氣, materail force(ki) as the predominant factor) is only available in restrictive understanding.

      • KCI등재

        철학 : 동서양의 감정이해 -플라톤과 율곡을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이상인 ( Sang In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현대적 의미의 ``감정적 지능``이 전통적인 동서철학에서 개념적으로 구현되는 방식을 고찰하고 감정적 지능에 대한 현대의 과학적 정초가 동서양의 전통적 심리학의 감정이해와 본질적인 측면에서 일치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한편으로 플라톤은 다음과 같은 영혼의 세 가지 활동중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감정의 지능성과 합리성을 규명한다. 첫째, 인간의 영혼은 욕망과 격정과 이성의 세 부분의 상호작용 속에서 활동한다. 둘째, 특정한 실천적 행위에 이르기 위해서 영혼은 인식하고 쾌와 불쾌의 관점에서 느끼며 유쾌한 것과 불쾌한 것을 좋은 것과 나쁜 것의 관점에서 추구할만한 것과 회피해야 할 것으로 욕구한다. 셋째, 인식과 감정과 욕구는 영혼의 각 부분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영혼의 세 부분에 상응하여 인식과 감정과 욕망의 세 형태들이 나타난다. 넷째, 구별능력으로서 지성과 확신과 감성, 그리고 그것들이 수반되는 쾌와 불쾌의 감정은 유비적-단계적인 합리성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율곡의 심성론 역시 감정의 사유연관성과 합리성을 다음과 같이 규명한다. 첫째, 그의 정의(情意)론은 마음의 허령지각한 기능을 전제하고, 미발의 본성과 이발의 감정과 생각작용을 하나의 연속적 과정 속에서 파악한다. 둘째, 리를 지각한 마음은 본성과 생각과 의지를 주재하여 도덕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마음속에 생각[意]과 의지[志]와 감정[情]은 불가분리적으로 통합되어 있고, 감정은 생각과 의지를 주재하고 통솔함으로써 이성과 대비되지 않고 오히려 이성적 사유와 상보적 관계를 갖는다. 넷째, 마음의 지각능력이 어떻게 올바른 리를 지각할 수 있고 또 마음이 사욕에 흐르기 쉬운 감정을 어떻게 이성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지의 문제는 성(誠)과 경(敬)의 수양론을 통해 보완된다. 플라톤의 심리학과 율곡의 심성론에서 감정은 이성적 인지능력과 별개의 대립적 능력으로 파악되지 않을 뿐 아니라 주어진 사태에 본능적으로 감응하는 불합리한 피동적 능력으로 간주되지도 않는다. 이 점에서 ``감정적 지능``에 대한 현대의 과학적 논의는 동서양의 전통적 심리학/심성론에 대한 일종의 재발견으로 평가될 수 있다.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die Art und Weise zu betrachten, wie sich die emotionale Intelligenz im modernen Sinne in der philosophischen Tradition vom Abendland und Ostasien begrifflich verkoerpert, und es aufzuzeigen, dass die moderne wissenschaftliche Grundlegung der emotionalen Intelligenz im Grunde mit der Emotionsauffassung der traditionellen Psychologie im Abendland und Ostasien uebereinstimmt. Auf der einen Seite hat Platon die Intelligenz und Rationalitaet der Emotion auf folgende Weise begruendet. Erstens, wirkt die menschliche Seele im Zusammenspiel der drei Teilen, d.h. des Begehrlichen, des Ledenschaftlichen und des Vernuenftigen. Zweitens, muss die Seele, um eine bestimmte Handlung auszuloesen, etwas Bestimmtes erkennen, die Gefuehle der Lust und Unlust davon haben, und es von der Sicht des Guten und Boesen als etwas zu Verfolgenden oder zu Vermeidenden wollen. Drittens, muss jedes Teil der Seele erkennen und fuehlen und wollen, und drei psychischen Akten von Erkenntnis und Gefuehl und Willen kommen entsprechend drei Teilen der Seele vor. Viertens, haben die Noesis und die Doxa und die Aisthesis jeweils als Unterscheidungsvermoegen, und die sich daraus ergebenden Gefuehle der Lust und Unlust die analogischen und abstufbaren Rationalitaet. Auf der anderen Seite beleuchtet auch Yulgok in seiner Lehre des emotionalen Denkens die Denkrelevanz und Rationalitaet der Emotion folgendermassen. Erstens, setzt seine Lehre die kognitive Funktion der Seele voraus, und fasst die unverwirklichte Natur und die verwirklichte Emotion und das Akt des Denkens in einem kontinuierlichen Prozess auf. Zweitens, macht die Seele, die das Prinzip erkennt, die moralische Praxis moeglich, indem sie die Natur, das Deknen und den Willen kontrolliert. Drittens, sind das Denken und der Wille und die Emotion in der Seele untrennbar vereinigt, und die Emotion steht mit dem vernuenftigen Denken in einem komplementaeren Verhaeltnis. Viertens, werden derartige Probleme, wie z.B. das Denkvermoegen der Seele das wahre Prinzip bergreifen kann und wie die Seele die Emotion, die der privaten Begierde neigt, in ihrem vernuenftigen Zustand behalten kann, durch die Lehre der Treue und Bildung ergaenzt. In der Psychologie von Platon und Yulgok wird die Emotion weder fuer das antikognitive Vermoegen noch fuer das irrationale und passive Vermoegen, das die gegebene Sache instinkthaft erleidet, gehalten. In diesem Aspekt kann die moderne wissenschaftliche Diskussion ueber die ``emotionale Intelligenz`` als eine Art von Wiederentdeckung der traditionellen Psychologie vom Abendland und Ostasien geschaetzt werd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철학 : 삼봉 정도전의 벽이단론과 그 해석 문제 -심문천답과 심기리편을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4

        이 논문은 조선전기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1342∼1398)의 벽이단闢異端(Excluding Heresy) 문제와 그 해석을 다룬 글이다. 조선 건국의 이념과 제도와 문물의 이론적 초석을 제공한 정도전의 대표적인 벽이단서로 간주된 일련의 저술 심문천답心問天答(1375), 심기리편心氣理篇(1394), 불씨잡변佛氏雜辨(1398), 특히 앞의 두 저술에 나타난 벽이단 문제를 다루었다. 정도전의 벽이단 특히 불교비판 문제에 대한 이해와 왜곡은 삼봉 사후부터 현대까지 계속되어 왔다. 정도전의 세 저술에 나타난 벽이단론의 변화는 유교의 자기 반성, 도교와 불교의 정치적 비판과 유교 중심적 수용, 그리고 정치적 필요성에 따른 교세의 축소를 위한 정책적 비판의 방식으로 전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세 저술이 그의 대표적 도교와 불교비판서로 간주된 것은 정도전의 글 그 자체에 기인한 것이라기보다, 오히려 권근의 주석과 서문에 나타난 평가에 기초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연구자들이 갖고 있던 오해의 소지는 심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씨잡변에 나타난 불교비판을 전제로 앞의 두 저술에 무비판적으로 이해하였고, 심기리편에 나타난 개념을 심문천답에까지 소급 적용시켜 해석하였기 때문이다. 심문천답에 나타난 개념은 성리학적 심 개념으로 허령지각한 마음이 천리를 지각하고 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식적 판단의 주체였다면, 심기리편에 나타난 마음은 불교의 일체의 인연화합이 일어나는 장인 주관적이면서도 초탈적인 심을 은유한 것이었다. 그리고 정도전의 일련의 저술에 일관되게 나타난 벽이단의 정신은 다름 아닌 인욕적 인심에 대한 천리天理이었으며, 주관적 마음과 육체적 기질에 대한 생리生理이자 의리義理였고, 인연화합의 허구적 심리현상에 대한 실리實理라는 기준이었다. 즉 정도전이 비판한 대상은 성리학적 리理의 필요충분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당시의 세태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리고 그 내용은 유교의 자기비판이었고, 유교를 통해 도교와 불교의 폐해를 극복하려 하였으며, 유교의 공고화와 부흥을 위해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이 고찰을 통하여 정도전의 벽이단론은 성리학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학의 자기 비판적 태도인 동시에 도교와 불교의 포용 혹은 조화라는 융복합적 가능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치적 이유로 불교 비판의 목소리가 점진적으로 강해진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차적으로 거시적 안목에서 현대사회에서 유교의 벽이단론이 갖는 의미를 반추해 보는 한편, 과거의 종교대립과 갈등, 그리고 화합의 모색 문제를 재해석함으로써 종교다원주의 사회 속에 나타난 종교적 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itself on understanding of anti-heresy view of Early Chosun Neo-Confucianism - viewpoint of Confucianism toward Buddhism and Taoism. More specifically, this thesis discusses the criteria and of heresy while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Sambong Jeong, Do-Jeon (1342~1398), who contributed to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Jeong, Do-Jeon`s writings on philosophy, economics and politics, political exclusion of Buddhism, and his writing on criticism of Buddhism show different attitudes. Former studies suggested that Jeong, Do-Jeon criticized Buddhism and Taoism. However, this theory would like to add another view point that Jeong, Do-Jeon also suggested harmony and tolerance. The contemporary reaction of buddhists shall also be given in this theory. Through this study, it can suggest a way to solve religious conflicts and make harmony by re-interpreting religious conflicts of past, as well as ruminate the meanings of anti-heresy of Neo-Confucianism in current society`s view Anti-heresy of Neo-Confucianism is a view point that excludes heresy to protect the original. Anti-heresy, which developed in early Chin dynasty (an ancient Chinese empire) by Confucius, became magnified in Neo-Confucianism while criticizing Buddhism and Taoism.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late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used anti-heresy in political and scholarly matters. Jeong, Do-Jeon was representative scholar of anti-heresy. His writings also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books of Early-Chosun anti-heresy, especially focusing on criticizing Buddhism. Jeong, Do-Jeon aimed for ideal society where ideas of Neo-Confucianism are realized. He strictly applied such ideas in founding principle, national system, and culture. As Neo-Confucianism of Chinese Song dynasty focused on criticizing Buddhism and Taoism, Jeong, Do-Jeon kept the criticism. However, his first two writings have certain issues on being classified as anti-heresy writings. That is because the two books rather focus on enlightenment and convergence instead of exclusion. Nevertheless, the two books are considered as anti-heresy writings because Kwon, Keun judged so in his annotation and preface. Sim-Mun-Chun-Dab(心問天答) is a book of question and answer, not inter-criticism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is book actually criticized personal desires that set national security and stability of people`s lives away. Therefore, this book is a book that focuses on criticizing people who follow personal desire and set Confucian principles away. Sim-Ki-Li-Pyeon(心氣理篇) was thought of as the first major criticism toward Buddhism and Taoism as it was written after Jeong, Do-Jeon`s exclusion of Buddhism in 1391. However, this book is rather a book of enlightenment than a book of criticism. Sim, Gi, and Ri represent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respectably. This book was composed of three chapters, which are Sim-Nan-Ki(心難氣), Ki-Nan-Sim(氣難心) and Li-Yu-Sim-Ki (理諭心氣). The chapters` contents are Criticism of Taoism by Buddhism, Criticism of Buddhism by Taoism, and Enlightenment of Buddhism and Taoism by Confucianism. Therefore, the book is about leading Buddhism and Taoism toward Confucianism by converging them in the view point of Confucianism. Bul-Ssi-Jab-Byeon (佛氏雜辨) is a book that criticizes Buddhism, and was written only a little prior to his death. However, due to political reason, this book was not published for certain period of time. Although it has the form of criticism of Buddhism, the content actually focuses on criticism of negative phenomenon of Buddhism rather than the theory and concept of Buddhism. Thus, it would be more valid to regard criticism of Buddhism as what was derived from realistic and political reason for tactical purposes. Therefore, it is more valid to regard this criticism as what was overestimated due to Jeong, Do-Jeon`s political standpoint. Also, such evaluation was more from Kwon, Keun`s annotation and preface, instead of from the book`s original message. It would be more likely to understand that Jeong, Do-Jeon rather tried to find way to keep Taoism and Buddhism in check, and make way to future together in harmony. There is an idea that the three books have in common, which is that Confucianism is a theory of loyalty and pursuits live principles, and the that heresy is bounded to gain and loss and pursuits hollow ideas. In general term, heresy that he suggested seems to be Taoism and Buddhism from historical background. However, heresy can be any group that focuses on profit instead of loyalty, and fixed principle instead of live principle. From such view point, it can be considered that his criticism not only was made toward Taoism and Buddhism, but Confucianism itself was also target of criticis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퇴계 이황과 우담 정시한의 삶과 학문 - 자경(自警)과 습서(習書)를 중심으로 -

        리기용 ( Lee Ki Yong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우담 정시한의 삶과 학문을 첫째 군자의 상징 중 매(梅)와 죽(竹)의 은유, 둘째 죽음을 앞두고 생을 정리하며 쓴 자명(自銘)과 자경(自警),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간과된 주제인 습서(習書)와 경(敬)의 실천에 초점을 맞추어 퇴계와 우담의 삶과 학문의 단면을 대비시켜 양자의 공통점을 찾아보고자 한 글이다. 그들의 삶과 학문의 성격을 당시의 학자들과 구분시켜 파악하기 위하여 유가와 도가를 상징하는 명교(名敎: 廟堂)와 자연(自然: 山林)이라는 개념을 유학자들의 출처와 대비시켜 그 특징을 정형화시켰다. 고찰한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와 우담은 모두 매화[梅]와 대나무[竹]에 대한 깊은 사랑을 매화를 바라보며 시로 노래한 영매(詠梅)와 매화를 곁에 두고 그림으로 옮기는 화매(畵梅)를 통해서 퇴계와 우담의 특징을 설명하였으며, 풍락정에 옮겨 심어 놓은 대나무[移竹]과 그곳에 부임하는 손자에게 그것을 사표 곧 선생죽(先生竹)으로 삼으라는 일화로 양자의 가교로 삼아 대비시켰다. 둘째, 퇴계와 우담은 모두 삶의 마지막을 스스로 정리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죽음을 준비하며 자명(自銘)과 자경(自警)을 썼다. 여기에는 자신의 부족한 자질, 허약하고 젊은 시절의 병치레, 정치적인 회의와 뒤늦게 학문에 전념하며 도를 즐기며 살다[樂道] 한평생을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마감하는 삶이 요약되었고, 소박한 장례를 치르라는 유언을 통해 은일의 삶 속에 자연스런 죽음을 준비하는 모습이 공통적으로 담겨 있었다. 셋째, 작은 일상의 습서 공부에서도 학문 전체에 일관된 경(敬) 공부가 실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명도에서 주자를 통해 퇴계에게 전해지는 서자명(書字銘)을 통하여 글씨의 점과 획을 익히는 순간순간 경 공부를 잃지 말라는 습서의 정신이 계승되고 있었다. 퇴계는 습서라는 시를 통해 그 정신을 제자에게 전했으며, 이것은 시간을 뛰어넘어 우담의 습서하는 삶과 학문의 일부로 계승되고 있었다. 이 고찰을 통하여 17세기 퇴계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우담 정시한이 퇴계의 삶과 학문을 본받는 학퇴계(學退溪)의 구체적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것은 산림자연을 지향하는 삶의 자세와 정·주(程朱)로부터 퇴계를 거쳐 우담으로 계승되는 경(敬) 공부의 정신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similarity between Woodam(愚潭) Jeong Si-Han(丁時翰) and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by comparing their respective academic works, focusing on the following: first, metaphor on plum and bamboo, the symbols of sage(君子), and second, Self-Inscription(自銘) and Self- Alert(自警) that reflects life before death, and generally neglected topic, calligraphing and mindfulness. To understand their life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this paper categorizes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by contrasting the concept of Mingjiao(名敎, Miaotang廟堂) and Ziran(自然, Shanlin山林) - symbolizing Confucianism and Taoism - with respect to the origins of Confucianists. This paper finds the following. First, both Toegye and Woodam show strong love toward plum and bamboo.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 and Woodam can be explained with Yongmei(詠梅), poetry about plum, Huamei(畵梅), paintings of plum, and story about replanting bamboo in Fengleting(豊樂亭) and making it Xianshengzhu(先生竹) for grandchildren. Through this comparison, it can be shown that both scholars symbolically show their aim toward natural life of Shanlin using the nobility of plum - blooming after long winter but not selling its fragrance (梅不賣香), and virtues of bamboo - constancy, integrity, emptiness and uprightness, representing loyalty and integrity of scholar. Secondly, Toegye and Woodam wrote Self-Inscription and Self-Alert to prepare for their natural death by reflecting their life. The essays show their lack of talent, weak and frail youth, political skepticism, devotion to academia late life, joy of living in Tao(樂道), and their will to have humble funeral, preparing for natural death. Thirdly, it is verified that study of mindfulness through calligraphing has been practiced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study of structure and content of Confucianism. Woodam inherits the life of calligraphy as part of study that originated from Chengmingdao(程明道), Zhuzi(朱子), passed down to Toegye as Shuziming(書字銘) - the writing implying the spirit of calligraphy not to forget study of mindfulness even when learning the art of wri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fe and study of Toegye and Woodam, living in obscurity without going into government, pursuing Shanlin, not Mingjiao show the view of Seonbi(士) toward origins. Also, it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Confucianist view of life and death by studying Self-Inscription and Self-Alert, accepting and preparing natural and humble death. Lastly, the records about calligraphy as the process of study, not the result, restores the image of practicing the art of writing, and it verifies the essence and aspect of calligraphy practicing mindfulness, passed down from Chengmingdao and Zhuzi to Toegye and inherited by Woodam.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reate detailed view of Woodam Jeong Si-Han, representative scholar of Toegye school in 17th century. following the life and study of Toegye(學退溪).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