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시화 기법을 이용한 룸에어컨 유동 분포 분석

        이수홍(Soo-Hong Lee),라선욱(Seon-Uk Na),강근(Geun Kang),고한서(Han Seo Ko)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9 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Flow distributions of a room air conditioner (RAC)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 visualization technique such as a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o analyze an efficiency and noise of the RAC. Pitot tubes have also been used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inside the RAC with various positions to confirm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PIV technique. Then,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carried out by develop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programs to calculate the flow velocity inside the RAC.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new designs of the RAC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AC. Various flow distributions by controlling the outlet flow velocity have been observed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to compare the efficiencies between different RAC models in this study.

      • 동시 공학에 의한 자동차 전장 시스템 연구

        이수홍(Soo-Hong Lee),최두선(Doo-Sun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1993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Design and production of wiring for automobile systems provide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concurrent engineering framwork. Key issu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an architecture that supports collaboration among engine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parts of the wiring design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hierarchical representations that captur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e.g., connectivity. geometry) of the harnesses. The abstraction of design information results in features. while the abstraction of operations leads to the development of agents. These abstracts are essential for efficient transactions among people and computer tools in a domain that involves numerous interacting constraints. We have decomposed the wiring design process into four basic categories of tasks that are each addressed by an "agent": the Environment Editor(EE). the Free Space Manager(FSM). the Wiring Editor(WE), and the Pan Selector(PS). In this paper the strategy for the problem decomposition. the definition of features. and the ways in which features, are used by various agents. are discuss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some of the issues raised by the project and the Steps underway to address them.<br/>

      • KCI등재

        영남지역 묘역식지석묘의 특징과 구산동지석묘의 성격

        이수홍(Soo Hong Lee) 부산고고학회 2023 고고광장 Vol.- No.32

        영남지역의 묘역식지석묘를 검토하고, 구산동지석묘의 특징과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남지역에는 현재까지 56곳의 유적에서 340여기의 묘역식지석묘가 조사되었다. 묘역식지석묘는 영남 각지에 분포한다. 청동기시대 전기의 늦은 시기에 출현하여 초기철기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축조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거대한 묘역식지석묘가 군집을 이루어 축조된다. 이 시기는 거대한 묘역식지석묘가 계층화의 과정을 보여주지만, 아직 완전한 불평등사회로 진입한 것은 아니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불평등사회로 진입하면서, 공동체를 위한 것이 아닌 1인을 위한 무덤이 축조되는데 무덤군에서 거대한 묘역식지석묘는 단 1기만 축조된다. 구산동지석묘는 그 규모에서 압도적인 거대함, 무덤군에서 1기만 촌재하는 묘역식 무덤, 상석이 묘역에 직교하고, 매장주체부가 목관(木棺)이며, 출토유물이 기존의 지석묘 출토유물과는 이질적인 옹(甕)과 두형토기(豆形土器)라는 특징이 있다. 초기철기시대에 축조된 것이 확실하며 무덤으로 축조되었다. 김해지역에 새로운 이주민의 정착이 늦어진 것은 구산동지석묘를 축조할 만큼 강력한 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구산동지석묘는 초기철기시대 재지민이 축조한 최후의 군장묘이다. 청동기시대가 끝나는 전환기에 변화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후 청동기시대는 종언하고 새로운 시대가 개막한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dolmens with a boundary in the Yeongnam regio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e Gusan-dong Dolmen. In the Yeongnam region, approximately 340 dolmens with a boundary were investigated at 56 relics. The distribution of dolmens with a boundary covers the entire Yeongnam region. They appeared in a relatively late period of the former part in the Bronze Age and continued to be constructed until the early Iron Age. Entering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large-scale dolmens with a boundary were built in clusters. This period witnessed the stratification process of such large-scale dolmens with a boundary, but they had not entered a completely unequal society yet. Entering the early Iron Age, they entered an unequal society and built graves for individuals rather than the community. Only a large-scale dolmen with a boundary was built for a grave group. The Gusan-dong Dolmen is characterized by its overwhelmingly vast size, its uniqueness as the only dolmen with a boundary in the grave group, its stone stable orthogonal to the grave boundary, its wooden coffin for the subject of burial, and its artifacts heterogeneous from the ones of the old dolmens including jars and pedestal vessel pottery. There is no doubt that the dolmen was built as a tomb in the early Iron Age. The settlement of new migrants in the Gimhae area was late because there was a force that was powerful enough to build the Gusan-dong Dolmen in the area. The Gusan-dong Dolmen was the last chief tomb built by local people in the early Iron Age, displaying their acceptance of changes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at the end of the Bronze Age in a symbolic way. It marked the end of the Bronze Age and opened a new age.

      • KCI등재

        부산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의 지역상

        이수홍 ( Soo Hong Le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항도부산 Vol.28 No.-

        새롭게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한반도 남부지방이 제일성을 가진다. 금강하류역에는 가락동유형이 분포하고 그 외 지역은 역삼동·흔암리유형이 분포한다. 부산은 역삼동·흔암리유형 분포권이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전기의 주거지는 방곡리유적, 석대동유적 등에서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가 되면 송국리문화가 새롭게 등장한다. 송국리문화는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경기 남부-충청북부-경북북부-동남해안을 잇는 선의 남서쪽에 분포한다. 송국리문화가 분포하지 않는 곳을 검단리문화분포권이라 한다면 울산을 비롯한 동남해안지역은 문화권에 포함되는 하위개념을 유형이라 할 때 검단리유형이 분포하는 곳이다. 부산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되는 곳으로 양 문화의 접경지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조사된 무덤은 모두 후기에 속한다. 매장주체부의 구조는 할석석관, 토광, 위석목관 등이 있는데 할석석관묘가 다수를 차지한다. 호형(적색마연)토기가 부산지역 무덤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지역성을 인정할 수 있어 ``부산식토기``라 명명하였다. 검단리유형은 기장을 중심으로 북동부에 주로 분포한다. 송국리문화는 서쪽의 미음동 분절유적, 부산진구의 하야리야부대 부지내 유적, 석대동유적 등에 분포하다. 검단리유형은 북쪽에서 전파되었고 송국리문화는 남해안을 비롯한 서쪽에서 전파되었다. 석대동유적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된 유적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Busan area based on newly excavated material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Uniformity of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Culture of Kum-River downstream was usually Garak-Dong type, while Yeoksam-Dong type and Heunam-Ri type were in other areas. Busan was the area of distribution of Yeoksam-Dong, Heunam-Ri type. The representative dwellings of excavated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were found in Banggok-Ri and Seokdai-Dong remains. Whe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Songkuk-Ri culture appeared. Songkuk-Ri culture failed to spread 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Songkuk-Ri culture just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the southern Kyungki, the northern Chungcheong, the northern Kyungbuk and the southeastern coast as a connecting line. The area of Kumdan-Ri cultural distribution was defined as the area of a non-existent area of Songkuk-Ri culture in this paper. Especially Busan had both cultures as a borderland. Excavated tombs in Busan belonged to the latter period of the Bronze age. The types of main part of burial were a split stone coffin, the hole tomb of soil, and the wooden coffin surrounded with stones. The tombs of split stone coffin were the majority. The feature of the tombs in Busan area was excavated lots of red pottery. The Kumdan-Ri type was mainly distributed around Kijang in northeastern part of Busan. Songkuk-Ri type was mostly distributed in western Busan. I believe that The Kumdan-Ri type was spread from North, while Songkuk-Ri culture was spread from southern coast. Sukdai-Dong site excavated both cultures in Busan area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에 나타난 조각의 장소특정성 활용방안연구

        이수홍 ( Soo Hong Lee ),김범수 ( Beom So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글로벌리즘 시대, 각 나라의 도시공간들이 균질화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장소특정성(site-specific)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은 이러한 몰개성적인 도시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렇듯 공공미술에서 장소특정성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대표적인 공간예술인 동시에 장소적 맥락을 중요시하는 조각에 대한 집중적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장소특정성에 대한 무분별한 개념의 확대와 혼용은 이에 대한 소모적 담론과 혼란만 가중시켰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진행되어온 이전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보다 한국사회에 적합한 통합적 패러다임으로서 공공미술이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접근방식과 논의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의문에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자는 우선 장소개념에 대한 재규정과 함께 20세기에 다양한 ‘대안적 장소’담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장소론에 등장하는 사건(event) 개념과 안느 수리오(Anne Souriau)의 디에제티크(diegetique)의 공간을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장소 특정적 미술이 각 시대에 나타난 장소 담론들과 어떠한 접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 그리고 위 담론의 대표적 실천 사례인 리차드 세라의 <기울어진 호>와 독일의 뮌스터 조각프로젝트의 장, 단점과 특이사항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Due to the uniformity of urban spaces in the world caused by globalization, public arts play an important role providing vitality and identity in those non-characteristic cities. Hence, sculpture, highly related to the site specificity among public arts, has been highlighted and intensive discussion is going on. However, the expansion and misuse of the site specificity concept without a detailed discussion and calibration rather increase confusion and useless debates. Then, we can throw a question that what is needed for public arts to function as an integrated paradigm for the Korean society resolving this problem.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study I first discuss the limit and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e specific public arts and reset the concept of the site. Next, I analyze the possibility whether the site specific art can be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alternative space’ frequently referred in 20th century: the ‘event’from Gilles Deleuze, the ‘diegetique space’ from Anne Souriau. In addition, I analyze pros, cons, and features of ‘Tilted Arc’ by Richard Serra and ‘Sculpture Munster Project’ in German which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bove ‘alternative space’ concepts. Based on those analyses, finally, I propose a way how the Korean public art projects should move on.

      • 사물인식 기반 테오 얀센 자율주행 실습

        이수홍(Soo-Hong Lee),김종규(Jong-Kyu Kim)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테오 얀센 메커니즘을 기구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화하고 이를 이용해 8족 보행을 하는 로봇을 제작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보행 로봇이 주어진 경로를 주행하고 특정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학부 3학년 정규 과목에 적용하여 기계공학도에게 다소 어렵고 힘겹게 느껴졌던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등을 한번 경험해 봄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자신감을 함양시켜 좋은 결과를 얻었고, 향후 신기술을 적용한 융합형 과목의 차기 버전을 준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In this study, the kinemat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the mechanism of Theo Jansen were used to fabricate a robot that walks on eight legs, and an algorithm that allows the walking robot to travel a given path and recognize a specific image using a camera was implemented. By applying it to regular subjects in the third year of undergraduate school and experienc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Internet of Things), which were somewhat difficult for mechanical engineering students, good results were obtained by cultivating students confidence in this field. We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preparing the next version of convergence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