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주현 ( Juhyun Kang ),신택수 ( Tacksoo Shin )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는 동시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인과경로에 있어 사회적 지 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및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4곳을 임의표집하여 37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Mplus 5.21를 이용하여 이론 모형을 분석하였다. 자살생각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변인으로 성별, 연령, 종교유무, 부모와의 동거여부, 학교유형 등을 선택하였다. 연구결 과 이론에 근거하여 2차 요인구조로 수립한 측정모형은 자료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직접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스트레스에서 우울, 우울에서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간접효과가 존재하는 완 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희적 지지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통제변인 중 학교유형과 종교유무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 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adolescents`` str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nd secondly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For this study, 372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4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plus 5.21.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cond-order factor measurement model explained the data well. Second, although stress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cation on path from stress to depression and from depression to suicidal ideation indicating depression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ird, stress and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mixed effect on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control factors such as school type and religion had meaningful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 and the limit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전시뮤지엄 아이덴티티(M.I.)로서 전시 포스터 시리즈: 2000년대 이후 사례를 중심으로

        강주현(Kang Juhyun) 한국디자인사학회 2023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 No.7

        이 연구는 일부 뮤지엄에서 나타나는 전시 포스터 시리즈를 연구한다. 전시 포스터 시리즈는 일정한 뮤지엄에서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지는 연속적 포스터이며 이것은 뮤지엄 아이덴티티로서 작동한다. 뮤지엄의 아이덴티티와 더불어 뮤지엄을 찾는 관람객에게 보이는 대표적 시각물인 포스터가 연작(시리즈)으로 디자인되며 평면의 연속성을 가질 때, 단순 평면의 차원을 벗어나는 경험을 관람객에게 선사한다. 1940년대부터 진행되어 온 전시 포스터 시리즈 디자인의 역사를 관찰하고 2000년 이후의 전시 포스터 시리즈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다. 동시대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전시 포스터 시리즈가 가지는 의미를 모색하며 그것이 관람객에게 뮤지엄 아이덴티티로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한 전시 포스터 시리즈 디자인을 바탕으로 전시 포스터 시리즈의 유형과 디자인 접근 방법에 따른 분류를 진행하여 해당 전시 포스터 사례를 분석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xhibition poster series that appears in some museums. The exhibition poster series is a continuous series of posters created by the same designer for a certain period at a specific museum, and functions as the museum’s identity. Along with the museum’s identity, these posters, which are representative visuals presented to museum visitors, offer an experience that goes beyond the dimension of a simple flat surface when they have a continuity in their design. The study observes the history of exhibition poster series design, which has been ongoing since the 1940s, and focuses on the exhibition poster series after the year 2000.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exhibition poster series for contemporary graphic designers and how it functions as the museum’s identity for the visitors. Based on the investigated exhibition poster series designs, the research categorizes and analyzes the cases of the exhibition poster series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design approaches.

      • KCI우수등재

        청년과의 여가 격차에 대한 시니어의 인식과 경험

        이혜린(Hyerin Lee),강주현(Juhyun Kang)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2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전망되면서 다수의 시니어가 직면할 여가시간 활용의 문제는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시니어 세대는 청년 세대에 비해 여가시간이 더 많음에도 여가활동 만족도는 더 낮고, 여가활동 다양성, 여가 소비, 여가 인식 등에서 격차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니어가 직면한 여가 격차의 문제는 정책입안자나 연구자보다 시니어 당사자가 인식하고 주도적으로 고민해야 보다 효과적인 실천 대안을 내놓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 세대와의 여가 격차에 대한 시니어의 인식과 경험을 시니어 당사자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여적 연구방법인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시니어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시니어 세대가 직면한 여가 격차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60대 이상 시니어 8명으로 구성된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직접 촬영한 사진과 표적집단면접(FGI) 및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진술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도전성의 격차, 소비인식의 격차, 여가인식의 격차, 관계인식의 격차, 돌봄여건의 격차, 적응력의 격차 등 총 6개 상위 주제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시니어의 여가 인식과 여가 격차 경험 내용을 토대로 시니어 세대가 당면한 여가 현실을 도출하였고, 여가 격차의 해결방안을 저렴하고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개발, 여가 정보 접근 기회의 확대, 여가 커뮤니티 형성 지원, 여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가족 돌봄자 대상 여가 지원, 수준별 세분화된 프로그램 운영 등 6가지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포토보이스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시니어가 인식하는 여가 격차 경험을 보다 깊이있게 이해하고, 참여자의 다양한 관점을 포착하였으며, 시니어 당사자가 격차의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고민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s South Korea is predicted to become a super-aging society in 2025, utilizing leisure time for many older adults is becoming an even more important issue. According to the Korean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older adults have more leisure time than younger adults, but their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is lower, and the generation gaps in leisure activity diversity, leisure consumption, and leisure awareness are widening. Not only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but also seniors themselves must recognize and proactively address the problem of the leisure gaps so that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solutions can be devi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lder adul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leisure gaps with younger adults. By adopting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hich is a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the leisure gaps faced by the senior generation through their own voices. From eight seniors in their 60s or older, state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tographs taken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revealed a total of six high-level thematic categories, or leisure gaps, as follows: the gaps in trying new activities, consumption perception, leisure perception, relationship perception, care conditions, and adaptability. From the results, the leisure reality faced by older adults was derived, and solutions to the leisure gaps wer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developing inexpensive and diverse leisure programs, expanding access to leisure information, supporting the formation of leisure communities, developing and supporting leisure education programs, supporting leisure for family caregivers, and operating detailed multi-level programs. By applying the photovoice method, this study enabl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the leisure gaps as perceived by older adults, captured various perspectives of theirs, and demonstrated that seniors were able to consider and contemplate the issue of the leisure gaps on their own and derive improvement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