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모 박물관 속 상실에 관하여 -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칠레 인권박물관을 중심으로 -

        차지민(Jimin Cha)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이 논문은 특정 집단이 겪은 과거의 트라우마를 다수의 대중에게 공감이 가도록 전시하는 추모 박물관에 대해 논의한다. 추모 박물관의 전시 분석에만 제한적으로 머물러 있는 지금까지의 관점과는 달리, 본 연구는 전시 내용의 공감 능력을 증폭시키기 위해 이뤄지는 전시의 일반화(generalization)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실이라는 현상에 주목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박물관 연구에서 간과된 두 가지 요소인 박물관이 속한 사회와 방문객의 경험으로 토론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generalized)이고 초월적인 추모 박물관의 관습적인 전시형태가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현상에 대해 논한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 디시의 홀로코스트 박물관(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과 칠레 산티아고에 있는 칠레 인권박물관(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의 사례가 소개되며, 추모 박물관 연구와 전시 방식에 새로운 방향성이 요구됨을 제기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emorial museums utilize generalization and relatability to introduce an atrocity, which was experienced by a specific group of people, to the general public. Moreover, this research argues whether generalization and relatibility inadvertently cause any harm or trigger misconception about the past. By examining the consequences of these elements(generalization and relatibility) in memorial museums’ exhibit, this research points out what can be lost or misrepresented along the process. Consequently, this study departs from the limited scope of current museum studies, which overwhelmingly rests its focus on analyzing visual representations, hence expands the discussion to society, in which museums inhibit, and visitors’ experience. Thus, by inviting two new aspects(society and visitor), which have been overlooked and excluded in the exiting research, to the discussion,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and understand memorial museums in a new light. Therefore, through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in Washington, D.C. and the 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 in Santiago, Chile, this study offers an alternative view and new direction on inspecting memorial museums.

      • KCI등재

        “좋은 감정들”의 공간, 추모 박물관-애도 공간 속 “해피엔딩”과 “나쁜 감정들”에 관하여-

        차지민 ( Cha Jim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1

        추모 박물관은 슬픔의 공간이다. 그러나 박물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다면, 감동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으로 박물관을 나선 경험이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애도의 공간에서 “좋은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러한 현상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기존의 박물관 연구는 방문객의 감정적 반응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수용하는데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모 박물관 속 “좋은 감정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연구가 놓친 “나쁜 감정들”을 방문자의 시선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박물관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추모 박물관 속 감정적 경험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방문자가 희생자에게 감정적으로 이입되어 전시를 경험하는 현상이 어떻게 방문객을 이성이 아닌 감정에 “지배”되도록 하는지, 둘째, 과거의 인권유린을 사회 구조적 문제가 아닌 희생자들의 개인적인 비극으로 파편화시키는 전시 형식이 어떠한 단절을 촉발하는지, 마지막으로 과거가 “해피엔딩”에 도달했음을 상징하는 추모 박물관 속 “좋은 감정들”과 “나쁜 감정들”에 대해 살펴본다. 추모 박물관에 존재하는 “나쁜 감정들”은 지금까지의 박물관 연구가 주목하지 않은 요소로, 본 연구는 방문객 인터뷰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바로 이 “나쁜 감정들”을 바탕으로 박물관에 관한 논의의 폭을 넓힌다. 구체적인 토론을 위해 미국 워싱턴 디시의 홀로코스트 박물관(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과 저자가 방문객 인터뷰를 실행한 칠레 산티아고의 칠레 인권박물관(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이 소개된다. A memorial museum is a place of sorrow. However, those who have ever visited a memorial museum might have recalled at least an experience that ended with a positive feeling. Why does a space of mourning provoke “good feelings” and what does this phenomenon imply? Existing research of museums tends to be reluctant to analyze visitors’ emotional responses and to reflect their voices. Thu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voices of the visitor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museum research by considering not only the “good feelings”, but also the “bad feelings” that are provoked in the memorial museums. This study examines the emotion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memorial museum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study examines first, how the phenomenon of the museum-goers being emotionally transferred to the victims makes the visitors “ruled by” emotions rather than reason. Second, the study scrutinizes how an exhibition creates disconnections by compartmentalizing past human rights abuses into individual tragedies of the victims as a result erasing the societal structural issues that caused the atrocity. Lastly, the study examines the “good feelings” and the “bad feelings”, which is an elemen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the memorial museums. Therefore, by actively utilizing visitor interviews on “good feelings” and “bad feelings”, which is a facet that has remained unexplored, this study intends to broaden and diversify the scope of museum discussions. For the discussions, it introduces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in Washington, DC, and the 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 in Santiago, Chile, where the author conducted visitor interviews.

      • KCI등재
      •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만족도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전영후(Jeon, Younghu),곽지현(Kwak, Jihyeon),정희영(Jung, Huiyeong),차송은(Cha, Songeun),차지민(Cha, Jimin),채송이(Chae, SongE),최예슬(Choi, Yeseul),최지원(Choi, Jiwon),최지호(Choi, Jiho),한경훈(Han, Kyeonghun),황수경(Hwang, Sugyeong) 국가위기관리학회 202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9 No.2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지역의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만족도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의 관계를 확인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부산, 경남 지역 4년제 25개 대학교의 재학생 4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4월 26일부터 4월 28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활동량은 저강도군이 239명(82.4%)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체활동 시간을 보고한 대상자(n=290)의 MET-minutes 점수는 평균 2417.37±2820.93이었다. 자아존중감은 35.70±7.60점(50점 만점), 대인관계만족도는 80.46±5.72점(130점 만점),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35.20±5.15점(6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이용행태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의 차이는 성별과 사용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신체활동량(r=-.134, p=.004), 자아존중감(r=-.231, p<.000)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인관계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신체활동량과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전략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self-esteem, satisfacti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469 students from 25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6 to April 28,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cell phone usage time (p<.001). Physical activity (r=-.134, p=.004) and self-esteem (r=-.231, p<.001)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levels. Conclusions: When designing the prevention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aking both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enhance.

      • KCI등재

        추모 박물관 그리고 현대소비사회 : “가장 악의적”인 공간 속 “붕괴”에 관하여

        차지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1 탈경계인문학 Vol.14 No.1

        이 논문은 추모 박물관을 현대소비사회 안에서 고찰한다. 기존의 박물관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박물관이 속한 사회를 토론에 포용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시각으로 박물관에 대해 논한다. 논의는 크게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쟝 보드리야르의 이미지에 대한 이론을 통해 첫째, 추모 박물관 전시가 사실과 구분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어째서 “가장 악의적”일 수 있는지 둘째, 추모 박물관 전시 속 이미지가 어떻게 박물관의 메시지를 “완전히 무관심하게” 만드는지 셋째, 보드리야르의 현대소비사회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추모 박물관이 소비가 만연한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즐겁게 소비되는지 탐색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간과되어왔던 현대소비사회를 추모 박물관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박물관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안한다. 연구의 논의는 대표적인 추모 박물관으로 손꼽히는 미국 워싱턴 디시의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 있는 칠레 인권박물관을 통해 진행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memorial museums in the context of consumer society. Unlike the existing studies, which focus mainly on the exhibition, this resear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current studies by inviting society to its examination. Based on Jean Baudrillard’s critical views on image and consumer society, this study tackles memorial museums in a new light largely in three aspects. First, this study inspects why the phenomenon of “indistinguishability” can be “most diabolical.”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image in memorial museum’s exhibition replaces the past with “artificial memory” by causing visitors to become “totally indifferent” to the message the museum is trying to convey. Third, based on Baudrillard’s theory on the consumer society, this research locates memorial museums in consumer society to explore how museums are consumed happily by visitors, who enter the museum from where consumption is prevalent. Thus,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museums by connecting the museums to consumer society, which is an aspect that has been overlooked so far in the discussion of memorial museums. For the discussion, cases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in Washington, D.C. and Museum of Memory and Human Rights in Santiago, Chile will b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