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림원지 범종의 복원과 의의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강좌미술사 Vol.18 No.-

        I have examined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Buddhist bells of different periods of the Unified Silla by studying the changes of the styles of the music playing Apsarases on the Unified Silla bells with inscriptions, which had also undergone changes in their dragon-shaped hooks, sound pipes, upper and lower bands of ornaments and styles of the ornamental designs of striking points. Four Apsarases, two each on the front and the rear, were made on the bells from the early part of the Unified Silla. Of the four instruments of harp-like gonghu, saenghwang and hoengjeok pipes and yogo drum the Apsarases played, more hoengjeod pipe and yogo drum were played by them than the other two. On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however, two Apsarases, each on the front and the rear, were made and they were not playing music but holding up an incense burner each. Apsarases as offerers of offerings on this bell are understood to have been made because the bell was founded by the royal court--and the government--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late king`s soul.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sarases on the bells cast in the middle of the Unified Silla is that two Apsarases, each o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bell, are made, rather that four, and the musical instruments are the yogo drum and the hoengjeok flute. It has not been determined exactly when the change from four to two Apsarases took place, but it is noteworthy that it occurred in the short period between the founding of the bell from the Seollimwon site in 803 and casting of the bell of Silsangsa Temple and founding of the bell of Jogujinza (Shinto shrine) in Japan with the inscription of 833. The bell from the Seollimwon site, therefore, is an important dating material which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Korean Buddhist bells of the second half of the 8th century and those of the 9th century. A replica of the bell from Seollimwon site,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leaving its shards only, was founded on the occasion of the opening of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This replica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unlike other bells it was cast by traditional beeswax mould method. Korean Buddhist bells historically distinguished from Chinese and Japanese Buddhist bells by their dynamic dragon-shaped hooks and delicate designs on them led researchers to think that Korean Buddhist bells were founded by different methods from methods used to make Chinese and Japanese bells and that that different method must be casting in beeswax moulds. Considering that it has not been yet fully established how the great quantity of beeswax needed to make the bells was secured, details of how it was used and if the use of beeswax really improved the designs and other details on the bells, the founding of a replica of the bell from the Seollimwon site in traditional beeswax mould method is epochal in making of Korean Buddhist bells in that it was a departure from the simple imitation of the traditional Buddhist bells which inevitably resulted in founding of stylized, standardized, stereotyped Buddhist bells. Admittedly not a little technical improvement is evidently desired, but the replica of the bell from the Seollimwon site is valued as a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Korean Buddhist bells. In founding quality Buddhist bells, technical investigation and making of replicas of the quality bells of the past are as important as the founding techniques. New developments of the bell shapes and designs on bells are one of the future requirements, rather than blindly copying them. One of the problems in that most of the bells founded are replicas of either the Bell of Sangwonsa Temple or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Imitation of traditional Buddhist bell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ir recreation.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of the Korean Buddhist bel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 have found that the Korean Buddhist bells founded after

      • KCI등재
      • 일본 도쿄(東京)박물관 소장 금산사 은입사 향완의 특징과 중요성

        최응천(Eung Chon Cho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6 불교와 사회 Vol.8 No.-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금산사 은입사 향완의 특징과 중요성 금산사 향완은 어느 때인지 몰라도 법륭사 헌납보물로 등록 소장되어 오다가 현재는 동경국립박물관에 기증되어 법륭사 보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비록 몸체가 사라지고 하부의 다리와 대부만이 남아있지만 남겨진 명문을 통해 고려 1178년에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섬세한 은입사 문양과 크기 면에서 표충사 향완에 버금가는 최상급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남겨진 명문을 통해 이 향완은 당시의 주불전이었던 金山寺 大殿, 현재의 미륵전으로 추정되는 장소의 미륵불상 앞에 있었던 청동제 향완임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최소 1178년 당시까지 미륵상이 봉안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당시에도 이러한 형태의 향로를 분명히 香垸으로 표기하고 있음을 밝혀준다. 제작자인 高正이라는 장인은 지금까지 다른 행적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량이 매우 뛰어났던 입사 장인이었다고 추정된다. 명문에 발원자로 기록된 개경의 현직 관료가 등장하면서 전직 하급관료가 銀을 희사하여 함께 만든 것으로 미루어 중앙집권과 힘을 합쳐 조성할 수 밖에 없었던 당시 지방 사찰 불사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이 밖에도 명문에 등장하는 기비사는 봉안처인 금산사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 유가종의 사찰로 판단됨으로써 기비사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역사 등에 대한 새로운 주목이 필요케 되었다. 여기에 이 향완에 처음 등장하는 여지문과 변형된 쌍구의 당초문은 이후 고려 상감청자나 금속공예 문양에 새로운 시발점이 된 문양사적으로도 중요한 기준작이다. 노신에는 표충사 향완과 마찬가지로 4자의 원권 범자문이 시문되었을 가능성이 많다고 유추된다. 고려 향완 연구의 귀중한 가치를 지닌 금산사 향완은 명문의 중요성 뿐 아니라 소장 경위 등에 관한 과거의 행적에 대해서도 보다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Geumsansa temple hyangwan(incense burner) belonged to Horyu-ji temple for a long time, but it was donated to the Tokyo National Museum and now it is on display at the gallery of Horyu-ji treasure Although only the lower part of hyangwan was left, however the remaining inscriptions allow you to find out what was made in 1178. The delicate silver inlaid pattern and the size are evaluated as the highest quality works comparable to the Pyochungsa temple hyangwan. According to inscriptions, this hyangwan was made of bronze and was enshrined in great hall of Geumsansa(金山寺 大殿) for Maitreya. Gojeong who was maker is believed to have been a very talented inlaid craftsman. In addition, what the incumbent bureaucrats of the Gaegyeong and the former subordinate bureaucrats as a devout patrons participated in the buddhist activity shows an aspect of local buddhist activit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Kibisa temple of the mere-ideation orde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Geumsansa temple. The litch design and a pair of arabesque design on this hyangwan was first appeared was the stylistic indicator in study on pattern history of Goryeo period. Also it is estimated that four sanskrit characters in circle was inlaid on the body of the hyangwan like Pyochungsa's hyangwan. The Geumsansa hyangwan that has the important value of study on Goryeo hyangwan should be investigated thoroughly about the past activities such as the process of the collec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inscriptions.

      • 한국 불교공예의 특성과 감식

        최응천(Eung-Chon Chi)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0 佛敎美術 Vol.21 No.-

        The appraisal of Buddhist craft works falls broadly into style-based appraisal and technique-based appraisal. First, style-based appraisal can be further addressed in the aspect of form, material quality, color sense and rusty condition. Appraisal by form refers to a work to well characterize Buddhist craft works, focusing upon several points. It seeks to analyze Buddhist craftworks many of which originate from traditionally inherited forms rather than designed for any intended purpose or functionality in usage. In some cases, they have unnatural forms designed not for simple purposes, but were originally designed to meet people's needs in their daily life like today. In advanced regard of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hich purposes or usages each Buddhist craftwork has in certain age. And it is required to carefully note that any artifact without certain usage is very likely a fak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examine if a craftwork has its form complying with its purposes. Next, appraisal of Buddhist crafrworks can be based on material quality and color sense. In case of metallic craftworks, there may be differences in color sense depending on their material quality, so it is required to correctly analyze material quality among other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mploy a scientific analysis system like non-destructive analyzer, if necessary, to characterize chemical compositions of artifact. For instance, the appraisal of golden craft works requires clearly identifying if they are made of pure gold or are plated with gold, and the appraisal of gold-plated craftworks requires characterizing traditional golden amalgam plating depending on differences in their color sense. Damaged sections of Buddhist craft works should be more accurately analyzed in the appraisal, and bronze craftworks may reveal differences in color sense depending on alloy content applied at original molding process. And the color sense of silver craftworks sometimes tum from original white color to black staining over time, causing difficulties in correctly identifying it they were originally made of silver. In addition, brassware produced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may appear crude, but i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artar. Overall, it is recommended to appropriately employ data obtained from conservation science or composition analysis, and make a good use of instruments like magnifier with high magnification. Rusty condition is considered a crucial criterion for appraisal of traditional metallic craftworks. Bronze rust formed over hundreds of years is balanced and also has a wide variety of color senses ranging from deep green to emerald, and artificially rust-coated metallic craftworks have relatively even rusty surface, but there is almost no case of uniform rust formed on the surface of metallic craftworks. Monotonous blue rust is considered artificial, and serious chemical smells from rust leave a large room of questions, so it is important to have a smell of rust formed on metallic craftworks. Non-rotted inscriptive writings on the rotted surface of metallic craftworks are a good evidence of in-scriptive writings which were carved extra later or have been forged recently. Secondly, technique-based appraisal of Buddhist craftworks can fall broadly again into inscriptive analysis, patterns, decoration and preparation technique. Inscription requires careful observations, since it adds extra values to Buddhist craftworks, and traditional artifacts containing inscriptive writings are usually high priced in market, so that there are many cases of fake inscription modeled after original artifacts. 불교공예품의 감식은 크게 양식에 의한 감정과 기법에 의한 감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양식에 의한 감정은 형태와 재질, 색감, 녹의 상태 등으로 세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형태에 의한 감정은 불교공예품이 지닌 특색을 잘 파악하는 작업으로 여기에는 몇가지 주안점을 두고 살펴도록 한다. 불교공예품은 처음부터 사용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만든 것과 사용상의 기능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형태에 기인한 예가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단순한 용도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형이 자연스럽지 않은 예가 있으나, 공예품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쓰기 적합하도록 만든 것이 순리라는 점이다. 시대적 특성과 문화를 먼저 고려하여 공예품이 당시 어떤 용도로 사용된 것인지를 파악하여야 하며 기형과 용도가 서로 부합되는지를 살펴보되 전혀 쓰임새가 불분명한 유물은 위작일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재질과 색감에 의한 감정방법으로서 금속인 경우 여러 재질에 따라 색감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재질을 가장 정확히 분석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비파괴 분석과 같은 과학적 분석 장비를 동원하여 유물의 성분을 파악하는 작업도 요구된다. 예를 들자면 금제품은 순금이지 도금인지를 분명히 파악토록 하며 도금인 경우 전통적인 아말감도금에서 오는 오래된 도금의 특징을 색감의 차이에서 찾아본다. 파손된 부위에는 이 부분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여야 하며 청동제의 경우 주조 당시의 합금의 차이에 따라 색감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은제품은 원래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검게 착색되기도 하여 은제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조선시대 유제품 또한 붉은 색이 생경하게 보이지만 주석의 차이임을 감안하여야 한다. 전체적으로 보존과학이나 성분 분석의 데이터, 고배율의 확대경과 같은 자료와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녹의 상태는 금속기의 감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오랜 세월동안 이루어진 청동 부식은 안정적이고 색감의 차이는 있지만 짙은 초록부터 에메랄드 색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전면에 녹을 인위적으로 입힌 경우 녹 표면이 고르지만 일률적으로 녹이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천편일률적인 청녹은 일단 인위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녹에서 심한 화학약품 냄새가 나는 것도 의심의 여지가 많으므로 냄새를 맡아보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다. 표면에 녹이 슬어있는데 명문 안에 전혀 녹이 없는 경우는 명문이 나중에 추각되었거나 근래에 위조되었음을 밝혀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둘째 기법에 의한 감정은 다시 명문 분석, 문양, 장식과 제작기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명문은 불교공예품의 가치를 높여 줄 뿐 아니라 명문이 기록된 유물의 경우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 원래의 유물에 나중에 명문을 위조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불교공예품의 명문 기록은 일정한 패턴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紀年銘, 干支銘 등의 製作日時와 施納寺院, 發願者, 發願文이 들어가며 말미에 제작에 관계된 人名, 重量 등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간혹 年號로 기록된 연대와 干支가 서로 부합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당시 중국 연호와의 혼돈에서 오는 오류인지를 잘 살펴야 한다. 아울러 기록에 보이는 사찰이 이미 廢寺되었는데 기록되지 않았는지, 생몰년대가 확인되는 인물과 연대가 맞지 않거나 그 시대에 부합되지 않는 地名, 官廳이나 官職名, 발원자의 직급에 맞지 않는 격이 너무 떨어지는 유물 등은 위작일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모든 유물을 명문만을 가지고 유물의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도 매우 위험한 감정의 하나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문양은 그 시대에 유행하는 일정한 틀을 유지하고 있게 마련으로서 가령 포도문은 삼국시대에는 나오지 않다가 통일신라에 이르러 시문이 시작되었고 고려시대에는 동자와 같이 장식되는 葡萄童子文이 유행하게 된다. 이처럼 기형에 어울리는 시대의 문양인지를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한 감정 방법의 하나이다. 모든 문양에서 중요한 것은 시대적인 특징과 그 변화가 엿보인다는 점으로서 기존에 알려진 연구 성과 논문을 섭렵하면 이러한 문양을 살펴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아울러 장식기법을 사용할때 전통 장인들의 경우 대대로 전해오는 전통 기법들을 전수받아 만드는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자신들이 새로이 제작기법을 발휘하는 예는 드문 편으로서 감정의 대상이 되는 물건이 그 시대에 적합한 기법으로 만들어 졌는지를 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예를 들자면 범종의 경우 蜜蠟鑄造라는 전통기법, 쇠북의 경우 沙型鑄物法을 사용하는데, 주조 방법의 차이에 따른 주조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징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18세기에 들어와 점차 僧匠의 활동이 줄어든 반면 보다 세분화되기 시작한 私匠들이 지역별로 활발한 鑄鐘活動에 참여하게 되었다. 金成元을 중심으로 한 金氏 일파와 尹尙伯, 尹宗佰, 尹就殷, 尹就三, 尹光衡으로 이어지는 尹氏 일파가 대표적이며 18세기 중엽부터 후반에는 李万乭과 그의 작품 경향은 이어받은 李萬重, 權東三의 계열과 李萬叔과 李永喜로 계승된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까지 활동했던 大邱片手 權東三, 19세기 중엽에 활동한 金鍾得·金鍾伊 형제, 林化順은 이 시기 鑄鐘 활동을 마무리한 私匠이었다. 18∼19세기의 장인사회를 이끌어 나갔던 私匠들은 전 시기에 비해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활동을 하면서 마치 개인사업화 되는 지역적인 편중이 더욱 강해졌다. 18∼19세기의 금고가 가장 많은 수가 남아있지만 주조기술이 거칠어지고 문양은 단순화되거나 ‘옴’자 한자의 범자문으로 축소되었다. 범종의 장인이 금고를 함께 만든 예가 다수 확인되어 문양의 전승이나 기술적 공유부분에 대한 새로운 주목이 필요하다. 남해 龍門寺 운판(1760)은 火焰光背形이라는 한국적 운판 형태로 정착된 18세기의 편년 자료이다. 이는 泉隱寺 운판을 거치며 興國寺 운판(1898)을 통해 19세기에 들어와 渦雲形으로 변모된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향로는 철제에 은입사된 浮石寺銘 향완(1739)과 직지사 철제정형 향로(1750)를 통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부석사 향로의 제작자인 李弘成이 관청 소속 입사장이란 점과 직지사 철제향로의 연당초문과 운룡문 표현을 통해 당시의 철제 입사공예품의 기술적 수준과 위상이 높았음을 증명해 준다. 이 시기 사리장엄구는 淨巖寺 水瑪瑙塔 발견된 일괄유물이 거의 유일하며 승탑의 사리 장엄구가 주로 남아있다. 조선후기 18∼19세기의 불교공예품은 근대까지 계속 사용된 점에서 가장 많은 수가 남아있으나 梵音具를 제외하고 供養具와 儀式具의 제작이 크게 감소한 점을 볼 수 있다. 특히 이 시기 불교목공예품 가운데 佛·殿牌를 포함하여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佛輦과 佛卓, 그리고 疏臺 등이 꽤 많은 수가 확인되어 이들에 대한 보다 세밀한 조사와 연구가 요구된다. Coming to 18th century, the activities of the monks craftsmanship had decreased. However, private craftsmen began to be subdivided into the region to participate in producing Buddhist bell. The private craftsmen who passed lead to a society of craftsmen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they were active in many areas. Also some of them are regional bias was severe like personal business. The Buddhist gongs of 18th∼19th century remain the most. But casting technology became coarse and pattern had been simplified, many Sanskrit characters were reduced to one character, ``om``. In addition craftsmen of these periods made metal drum as well as Buddhist bell. So it is necessary to be focused on sharing of technology and succession of patterns. The Buddhist cloud-shaped plate of Yongmunsa(龍門寺) temple in Namhae is the typical form of 18th century fixed as flame-shaped halo. Coming to 19th century, flame-shaped halo had been changed as wound-shaped cloud through that of Heungguksa temple. The silver inlaid on iron with inscription Buseoksa(浮石寺) temple and ding-shaped incense burner of Jikjisa(直指寺) temple show the new trend of these period. Lee Hong Seong(李弘成) who made incense burner of Buseoksa temple was the inlaid craftsman who heightened the inlaid technique on iron works. The production of offering and ritual utensils had been decreased except for Buddhist sound utensil. But wooden Buddhist works had been made such as palanquin, table, and sotong including Buddhist tablet.

      • KCI등재

        황수영 박사의 한국 범종 연구와 성과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황수영 선생이 평생에 걸쳐 집필한 한국 범종 관련된 자료소개나 논문은 대략 29 편 정도이다. 물론 여기에는 같은 종류의 범종을 중복해서 다른 곳에 소개하거나 여러 편을 묶어 고찰한 논고도 포함된다. 범종의 제작 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한국 범종의 기원과 형태 문제를 다룬 3 편의 글과 統一新羅鍾5 편, 高麗時代鍾18 편, 朝鮮時代鍾3 편과 연구 현황을 다룬 1 편이 확인된다. 그 가운데 高麗時代鍾연구가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統一新羅鍾의 경우 일찍부터 알려져 왔고 많은 연구 현황이 이루어지 반면에, 당시 새롭게 알려지기 시작한 개인 소장 高麗鍾이나 새로이 출토된 高麗鍾은 선생 외에는 잘 파악할 수 없었기에 우선적으로 소개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선생의 범종 연구사에서 더욱 돋보이는 성과는 우리나라 최고의 鍾인 上院寺鍾이 安東에서 옮겨 진 것을 밝혀 上院寺鍾의 원 소재지 문제를 다룬 논문과 3 년 만에 소실된 禪林院址鍾의 현황과 명문, 출토 상황 등을 자세히 밝혀놓음으로써 자칫 사라질 뻔 하였던 統一新羅鍾의 귀한 사례를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한 세 편의 논고, 實相寺鍾의 중요성을 고찰한 글들을 통해 統一新羅美術에서 新羅鍾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부각시킨 일이다. 또한 일본에 소재한 한국 범종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여 틈나는 대로 그들을 소개하고 명문을 실어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이러한 선생의 성과는 .韓國金石遺文.에 다시 정리되어 간행됨으로써 한국 범종 연구에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집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아울러 선생에 의해 설립되어 이후 한국 범종 연구의 중심이 된 韓國梵鍾硏究會(현 梵鐘學會)와 .梵鐘.지의 창간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술사에서 유독 한국 범종 연구를 독립된 분야로 연구될수 있도록 가치를 정립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여기에 미술사에서 범종 연구지나 범종연구회의 경우 일본보다 한국이 훨씬 앞설 수 있게 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한 공로의 하나이다. 이처럼 한국 범종 연구에 있어 선생이 이룩한 한국 범종 관련의 업적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더욱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Dr. Hwang Soo Young wrote 29 research papers including introduction of materials for Korean Buddhist bell throughout his lifetime.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wa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origin and form of Korean Buddhist bell, five articles related to Buddhist bells of Unified Silla dynasty, eighteens articles related to those of Goryeo dynasty, three articles related to those of Joseon dynasty, one article about the research status. Among the 29 research papers a study on Buddhist bells of Goryeo dynasty have accounted for most quantities. Th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his study about Korean Buddhist bell is to highlight the meaning and value of Buddhist bell of Unifed Silla dynasty through three articles related to the original location Buddhist bell of Sangwonsa temple, three articles about status, inscription, and excavated situation of Seonrimwon temple bell destroyed by fire, and one article dealing with the significance of Silsangsa temple bell. Also he appreciated the significance of Korean Buddhist bells located in Japan, and introduced them ever put to excellent advantage in resources. It is re-published from 『韓國金石文(Korean epigraphs left by a deceased)』 that played the most basic role for researching Korean Buddhist bells. Also the foundation of Research Group of Korean Buddhist Bell(now The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Bell) and journal Beomjong(Korean Buddhist bell) established by him played important role in boosting value as an independent field in Korean art history. In additionResearch Group of Korean Buddhist Bell and journal Beomjong became the important momentum to lead in studying Buddhist bells. Thus, his achievements of studying Korean Buddhist bell have the important significance and value than any other field.

      • KCI등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교공예(佛敎工藝)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명문과 도상적 특성-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6 No.-

        조선시대 전기까지의 불교공예품은 왕실 발원의 예가 많고 그 크기도 고려시대에 비해 대형화된 것은 당시 왕권의 확립 과정에서 등장된 기념비적 성격을 지닌다. 특히 조선 왕실 발원 범종의 명문에는 최상위 계층의 發願者와 監督者, 각 분야의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작자들이 분업화하여 종을 제작함으로써 고려 후기 범종에 보였던 중국종의 모방 차원에서 벗어나 조선시대적 범종으로 확립시켜 나가는 밑거름이 되었다. 16세기 중반 이후 왕실 발원 범종이 점차 사라지면서 민간과 절 발원의 범종 제작이 주류를 이루고 제작자도 官匠에서 점차 개인적인 私匠과 僧匠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되면서 전통 방식을 따른 범종의 제작이 늘어나게 되었다. 조선 전기의 사리장엄구는 고려에 비해 사리 장엄 방식이 단순해지고 사리기의 종류와 양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왕실 발원의 사리기는 예가 많지 않지만 아직 그 제작 기술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이고 있는 작품을 통해 사리 장엄의 전통이 꾸준히 계승되어온 점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의 향완은 고려시대 후기의 예들보다 둔중해지고 대부가 과장되며 梵字가 작게 축소된 도식화의 경향과 범자문의 내용에 새로운 변화가 보인다. 향완의 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은 은입사라는 기술과 고가의 재료라는 점에서 제약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록 한 점씩에 불과하지만 명문 있는 바라와 금강령을 통해 당시 지방 사찰에까지 미친 왕실 발원의 불사를 밝혀볼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기록으로나마 왕실 원찰에 사용된 燈籠, 幡蓋, 私幡 등과 같은 다양한 장엄구가 제작된 것과 조선시대의 金字經에 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의 불교공예는 비록 왕실 발원이란 한정된 계층과 작품의 다양성 면에서 고려 전기에 비해 풍부하지 않지만 당시로서는 최고의 전문가 집단을 동원하여 침체된 고려 후기 불교공예분야에 새로운 활력을 넣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몽고의 침입과 항쟁, 원나라의 지배하인 13세기 중엽 이후 오랜 기간 그 맥이 끊어졌던 한국 불교공예의 전통은 이러한 조선 전기 활발한 주조 활동을 통해 다시 금 그 전통을 되살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선후기 한국 전통형 종이 다시 부활될 수 있는 중요한 기틀이 되었다.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period, Buddhist craft works were frequently commissioned by the royal house. They were often larger in size than those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part because they were made to convey the new ruling dynasty`s prestige. Buddhist bells, accounting for the largest category of surviving Buddhist craft items, were, for example, produc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op-notch specialists from each of the areas involved in the casting process. Early Joseon Buddhist bells went beyond the level in late Goryeo, consisting of simply copying Chinese bells, and laid the groundwork for the independent native tradition that was later forged. Although patronage for Buddhist crafts was limited, during this period, to the royal house, and works produced were not extremely varied, compared especially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se works created by elite artisans are significant insofar as they breathed new life into this field, on a decline since the late Goryeo period. Starting from the mid-13th century, with the Mongol invasion and the subsequent Mongol rule, Buddhist crafts died out virtually completely. The lively casting activity in early Joseon, therefore, revived a moribund tradition on the brink of complete extinction. Contributions by early Joseon artisans can scarcely be exaggerated in terms of how instrumental they were in ensuring the renaissance of the Korean bell casting tradition in late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기록문화재(記錄文化財)를 통(通)한 조선시대미술(朝鮮時代美術)의 도상해석학적(圖像解釋學的) 연구(硏究) 특집(特輯) :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경종대)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성 연구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전란 이후 이루어진 사찰의 복구와 중창 불사 가운데 17세기 초부터 梵鐘을 중심으로 가장 먼저 전개되었으며 불교공예품도 조선시대 전 기간 가운데 가장 활발한 제작활동을 한 부흥의 시기이다. 범종의 경우 僧匠의 활동을 시작으로 私匠이 등장하여 이제 각 지역별로 독특한 계보를 이루며 크고 작은 범종을 제작하였다. 나름대로의 독특한 범종의 형태와 특성을 구가해 나갔던 장인들의활약은 이후 조선후기 범종의 다양한 계보를 확립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구심적 역할을 하였다. 金鼓의 경우 그 수량은 많지 않아도 조선시대 금고로의 완전한 확립을 이루는 다양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면서 18세기 금고로의 이행 과정을 거치게 된다. 舍利器의 발견 예가 奉印寺 사리탑, 落山寺空中舍利塔처럼 매우 희소한 것은 탑이나 僧塔 등에 넣어지는 석조물의 건립이 적었다는 시기적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香완의 경우 비록 형태와 문양에서 격이 떨어지지만 通度寺 康熙13년명 향완(1674)이라는 대작을 완성한 뒤 그 화려한 전통은 종말을 고하게 된다. 17세기 雲板은 현재 리움미술관 소장 운판 한 점 밖에 확인할 수 없지만 龍身의 굴곡진 몸체를 운판의 외형으로 삼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것은 운판의 조형에서 얽매이지 않고 한국적인 운판형태로 새롭게 수용·변화시킨 독창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요한 불교공예품의 자료로 靑谷寺 明鏡臺(1693)와 大芚寺 經欌(1630)과 같은 목공예품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작품은 조성 연대를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세부 수법이 탁월한 불교 공예의 걸작이다. 특히 經欌의 문 안에 그려진 黃線描 四天王圖는 17세기 線描 佛畵의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 그 가치가 지대하다. 아울러 17세기의 殿牌와 佛牌도 萬曆34年銘 殿牌(1606)년을 시작으로 다양한 양식과 함께 세부 조각이 탁월한 수작을 남기고 있어 조선 불교 공예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로 검토되어야 한다. After Japanese Invasion and Manchu Invasion, Buddhist crafts were greatly increased based on Buddhist bell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In case of Buddhist bell, monk craftsman led the creation of Buddhist bell in early 17th century, private craftsman who formed regional lineage made a various Buddhist bel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Buddhist Gongs of the 17th century shows the transitional process to Joseon metal drum and completion of typical style. In case of Sarira reliquaries, a small number of examples has been found. Because stone work of the building did not have much. Incense burners(Hwang-wan) of the 17th century were degraded in forms and patterns. After completing masterpiece of Tongdosa hwang-wan made in 1694, the form of silver inlaid hwang-wan was disappeared. The cloud-shaped plate of Leeum(Samsung museum of art) is the only example of the 17th century, but this work shows the newly established traditional form. The wooden works are the important art works in this period like wooden mirror of Cheonggoksa temple made in 1693 and wooden sutra case of Daedunsa temple made in 1630. Especially Four Guardian Kings painting drawn yellow color inside door of wooden sutra case of Daedunsa temple is the only drawing Buddhist painting material. Also the Buddhist tablet with inscription Manli 34th(1606) has important value in research of Buddhist wooden works of 17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