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대학 총장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Elisa L. Park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3

        이 연구는 대학의 총장직(college presidency) 강화와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대학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평가기제로 인식되고 있는 미국 대학 총장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의 경쟁력은 그 대학 총장의 역할 수행능력 및 지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전제하에, 미국 대학들은 총장직 강화를 위하여 어떻게 총장평가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한국대학 실정과 상황에 보다 적합하고 효과적인 총장평가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지식과 자료를 확보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br/>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미국 대학 총장평가 관련내용을 (1) 총장평가의 기원, (2) 총장평가의 목적, (3) 총장평가의 방법, (4) 총장평가 결과의 활용 등 네 분야로 나누고, 이에 대한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br/> 본 연구를 통해 총장평가 시스템의 기본적인 성격을 1) 총장평가 목적의 건설적, 긍정적 성격, (2) 총장평가 방법 및 결과활용의 전문적, 실용적, 유익적(beneficial) 성격 두 가지로 정리 요약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내린 결론은 총장평가는 궁극적으로 총장의 발전을 위한 건설적이고 전향적인 지원체제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총장평가 시스템은 각 대학의 독자적인 성격과 상황적 특성에 맞게 신중하고 전문적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평가결과는 그것의 목적에 따라 실용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결국 대학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유익하고 효과적인 시스템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앞으로 실시될 한국대학 총장평가는 그 유익성과 효과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독자적인 평가방법을 개발하는데 깊은 연구와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n U.S. universities and colleges, which has been widely regarded as a supporting mechanism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ge presidency as well as for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chool competitiveness is highly dependent on its president's performance skills and leadership,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U.S.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s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ge presidency. The contents of the study is main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domains: (1) Origin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2) Purpose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3)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4) Usage of evaluation outcom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gathered throughout the research,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U.S. presidential evaluation were capsulated into the following two aspects: (1) constructive and positive intention of the U.S. presidential evaluation, (2) professional, practical, and beneficial approaches in its methodology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outcomes.<br/> As for the conclusion, the main principle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lies in the consequential significance of benefiting not only the president but also ultimately the development of the institution. In this light, the principle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should be well preserved in developing future presidential evaluations in Korean universities better befitting their unique needs and settings as well as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한국 대학 총장평가 현황분석 및 대학구성원 의견조사

        Elisa L. Park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대학의 경쟁력은 대학총장의 역할 수행능력 및 그의 지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에 총장평가 시스템은 총장직(presidency)을 강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효율적인 행정전략 도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최근 한국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총장평가시스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총장평가 시스템을 개발ㆍ활용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 실시된 한국 대학의 총장평가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사례들은 평가실시 주체, 평가목적,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 활용 부분으로 나뉘어 분석되었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한국 대학총장 평가 시스템의 현황 및 특징,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평가 사례들의 두드러진 공통적 특징 중의 하나가 교수협의회에 의한 단독 평가 주관 및 실시 그리고 이에 따른 추가적 문제점 발생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대학집단(대학이사회, 총장, 행정직원, 교수협의회, 교수)들의 총장평가 목적, 방법 및 결과활용 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기존 교수협의회에서 실시한 총장평가 방식은 다른 대학구성원들이 선호하는 평가방식과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의견조사 참여자들 간에도 직급별로 의견일치를 보이는 평가관련 이슈와 의견을 달리하는 이슈가 확연히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의견 차이를 보이는 이슈들은 보통 각 집단의 이해관계와 관련이 있었으며, 한국 대학 총장평가 관련 가장 큰 이슈는 ‘교수’의 평가 참여여부 또는 참여 정도를 결정하는 일임을 알 수 있었다.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esident's performance ability and leadership. Th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s utilized as an effective strategic tool to strengthen the presidency. This study is aimed to acquire the basic necess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two major researches. First, case studies of past Korean universities' presidential evaluations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issues of purpose of evaluation, methodology of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led to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s. Second, since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ast evaluations was the independent role of the faculty council in initiating and implementing the evaluations and the ensuing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opinions of various university constituencies (board of trustees, presidents, administrative staffs, faculty council members, faculty members) on the relevant issues of presidential evaluations. Through the analysis, it was realized that the methods of past presidential evaluations by faculty councils we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methods preferred by other constituent groups. There was a distinctive division of issues that showed agreement and discord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groups. The issues that showed discord of opinions were related to each group's interests and it was evident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in Korean university's presidential evaluation system is the faculty's participation or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residential evaluations.

      • KCI등재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s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World Wide

        현경석(Kyung S. Hyun)·박애리(Elisa L.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비교교육학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교육학의 현황과 실태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비교교육학은 다른 교육학의 세부전공들과 비교하여 나름대로 독자적인 학문분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대학에서 독립적인 전공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는 않으나, 최근 국제화 추세와 더불어 외국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 예컨대 외국의 교육제도, 교육정책, 교육개혁 동향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중요성과 그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동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한국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한국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을 조사하였다. 현황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다섯 항목 1) 4년제 대학 중 비교교육 관련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수), 2) 비교교육 관련 강좌의 수업목표, 3) 커리큘럼 및 강좌명, 4) 강의 방법과 교재현황, 5) 한국 대학의 비교교육 강좌와 관련된 문제점 및 제언 등으로 나누어, 전국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 비교교육학의 실태에 대한 외국과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외국 대학들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과 교육동향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동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첫 조사연구로서,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강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재확인과 함께 외국 대학의 비교교육학 발전현황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overall landscape of Comparative Education study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t universities in Korea. The Comparative Education in Korea is relatively young without a lengthy tail on its name and still on the way of upgrading itself, however various efforts are gather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1) the number of institutions which provide Comparative Education lectures for their teacher training program, 2) aims of Comparative Education teaching, 3) curricular and course titles, 4)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and 5) current issues and problems currently laid on Comparative Education in Korea designated by actual lecturers and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Comparative Education lectu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in Korea will be briefly presented at the beginning part of the chapter. To gauge the comparative position of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introduces the cases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worldwide, presenting various countries' status of Comparative Education along with their developmental status. As the first research which pays an attention on the current figure of Comparative Education in Korea, it will form an impetus on why we should teach college students about comparative education and on what next step should be carri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based on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other countries. Since it is in the transitional stage in terms of its development, it would be critical to have a self-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which will help to lay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ackground for designating the futur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