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아츠모리ㆍ나오자네 그림 〉과 전쟁의 기억 -『헤이케 모노가타리』와 〈 헤이케 그림 〉 사이에서-

        스즈키아키라 ( Suzuki Akira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日本硏究 Vol.0 No.68

        헤이케 모노가타리??제 9권에는 이른바 <이치노타니 전투> 양상이 그려지고 있다. 그 후반에는 전쟁에 패한 헤이케 가문의 사람들이 전사하거나 생포되는 이야기를 열거하고 있는데, 젊은 무사인 타이라노 아츠모리의 전사에 대한 이야기는 그 중에서도 특히나 유명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겐지 쪽의 무사인 쿠마가이 나오자네가 생포한 아츠모리의 젊고 아름다운 모습과 영롱한 언동에 마음이 움직여, 목숨을 구해주겠다고 까지 제안하지만, 아츠모리는 이를 거절하고 죽음을 선택했다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이 이야기를 근거하여 그린 그림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것은 바다에 떠있는 아군의 배를 향하여 바닷속에서 말을 모는 아츠모리를 물가에서 나오자네가 부채를 들어 손짓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본고에서는 그것을 <아츠모리?나오자네 그림>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는데, 실은 이 그림은,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의거한 모노가타리 그림, 즉 <헤이케 그림>이면서, 모노가타리 분문과는 이질적인 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널리 알려진 구도의 그림이면서 이 점은 지금까지 거의 주목 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이런 구도가 17세기까지 정착된 양상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 그림의 구도와 본문과의 차이에 주목하는 것으로, ??헤이케 모노가타리??와 <헤이케 그림> 사이에 모노가타리 이해의 동요나 변질이 생겨난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헤이케 모노가타리??는 과거 실제로 일어난 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으며, 전쟁에 관해 후세 사람들의 이해에 커다란 작용을 미쳐왔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중학교 2학년의 국어교과서에서 오늘날에는 ?아츠모리의 최후?라고 읽혀지는 것이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례에도 주목하며, 본고에서는 마지막에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뿌리 내린 전쟁의 기억 형성에 <아츠모리?나오자네 그림>이 어떻게 관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Chapter 9 of The Tale of the Heike depicts the episode known as the Battle of Ichi-no-tani. The latter half of the chapter lists stories about the deaths in battle and the captures of the members of the Taira clan. The story about the death in battle of the young warrior Taira no Atsumori is especially famous among them: the Minamoto warrior Kumagai Naozane, moved by Atsumori’s youthful beauty and his valiant words and deeds, offers to save his life, but Atsumori refuses his offer and choses to die. This paper focuses on a picture based on this story. It depicts the scene in which Naozane raises his fan at the water’s edge to call back Atsumori, who rides on a horse forward into the sea. Although this picture, which I call “The Picture of Atsumori and Naozane” in this paper, is a narrative painting based on The Tale of the Heike, it creates a different world from that of the body of the text. Despite being a well-known picture, this aspect has rarely been noted so far.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way in which this kind of composition had been established by the seventeenth century. By looking at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I will then examine how the interpretations of the story have fluctuated and have transformed in the interstices between The Tale of the Heike and Heike pictures. The Tale of the Heike, drawing on a war that actually took place in the past,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understanding of that war and still continues to do so. The way in which Japanese language textbooks for second-year junior high-school students treat The Tale of the Heike is a typical case. After examining this and other cases, I will conclude this paper by considering in what way “The Picture of Atsumori and Naozane” may affect the construction of the memory of the war narrated in The Tale of the Heike.

      • KCI등재

        기획논문: 동아시아 문학의 확장: 류큐 표류기, 군기, 설화 : 문예로서의 도해기(渡海記),표류기(漂流記): 바다와 해역을 둘러싼 표현의 계통

        스즈키아키라 ( Suzuki Akira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4 No.-

        조선과 류큐, 류큐와 조선의 관계사를 파악하고자 할 때, 중국이나 일본이라는 타국, 그리고 각국의 국내에 존재한 복수의 거점 지역을 다방향적으로 이은 교류망, 다시 말해 다극적인 이동과 월경(越境)의 동태를 널리 내다보고, 이러한 거대한 판의 일부로서 성립되어 온 조선과 류큐, 류큐와 조선의 관계를 가능한 다면적으로 그려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망 아래, 본고에서는 우선 일본의 중세 문학에 기술된 도해(渡海) 양상과 그 의의를 대해, 이러한 표현이 생겨난 기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16세기 문예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한편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조선·류큐는 모두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쟁·침략이라는 사태와 직면하게 되었다. 일본으로부터 조선이나 류큐에 군사 목적으로 도해한 사람들 중에서는 귀국 후에 스스로 도해 체험·전쟁 체험을 각서(覺書, 오보에가키)로 정리한 이가 적지 않다. 그들의 각서는 종래에는 역사 사료로서 이용되었지만, 최근 필자가 분석해온 것에 의하면 적잖이 문예로서의 측면을 가지고 있어 문학사적인 관점에서 독해를 필요로 하는 실로 흥미로운 자료군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도해기로서의 색채를 포함하고 있는 각서에 주목하여 그 문예로서의 측면을 재확인했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에 지금까지는 주로 근세의 문제로서 취급되어 온 ``표류기``에도 시야를 넓혀, 그 구체적인 표현을 통해 이른 바 도해기(渡海記)·표류기(漂流記) 류가 시대를 넘어 내재해 오고 있는 바다와 해역에 관련된 표현의 계통에 대해 언급했다.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hoson-Ryukyu and Ryukyu-Choson relations, there is a need to widely observe the multipolar migrations and border-crossing movements (i.e. the networks linking important existing regions within China, Japan and other countries in multiple directions) and to describe Choson-Ryukyu and Ryukyu-Choson relations in multiple facets as one part of this enormous field. Under this networ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ets of "traversing the seas" and its significance described in Japanese medieval literature and the foundation on which this expression was created. It will look at 16th century literature in particular. In additio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both Choson and Ryukyu faced invasions and wars in their relations with Japan. Among those who traversed the seas as soldiers to Choson and Ryukyu, there were many who wrote of their traversing and war experiences after returning to Japan in their memoirs (覺書). Although their memoirs are traditionally used as historical sources, many of those analyzed by the author have literary aspects and from a literary history perspective, are actually interesting texts that demand readi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memoirs that included "traversing the seas" accounts and reconfirmed their literary aspects. And lastly, broadening the scope of this category to includ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s, which have mainly been dealt with as a modern problem, it references the system of concrete expressions transcending the period concerning the seas inherent in the so-called "traversing the seas" and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s.

      • KCI등재

        〈敦盛 · 直実図〉といくさの記憶

        스즈키 아키라(Suzuki Akira,鈴木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日本硏究 Vol.0 No.68

        『헤이케 모노가타리』제 9권에는 이른바 〈이치노타니 전투〉 양상이 그려지고 있다. 그 후반에는 전쟁에 패한 헤이케 가문의 사람들이 전사하거나 생포되는 이야기를 열거하고 있는데, 젊은 무사인 타이라노 아츠모리의 전사에 대한 이야기는 그 중에서도 특히나 유명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겐지 쪽의 무사인 쿠마가이 나오자네가 생포한 아츠모리의 젊고 아름다운 모습과 영롱한 언동에 마음이 움직여, 목숨을 구해주겠다고 까지 제안하지만, 아츠모리는 이를 거절하고 죽음을 선택했다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이 이야기를 근거하여 그린 그림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것은 바다에 떠있는 아군의 배를 향하여 바닷속에서 말을 모는 아츠모리를 물가에서 나오자네가 부채를 들어 손짓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본고에서는 그것을 〈아츠모리 · 나오자네 그림〉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는데, 실은 이 그림은,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의거한 모노가타리 그림, 즉 〈헤이케 그림〉이면서, 모노가타리 분문과는 이질적인 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널리 알려진 구도의 그림이면서 이 점은 지금까지 거의 주목 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이런 구도가 17세기까지 정착된 양상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 그림의 구도와 본문과의 차이에 주목하는 것으로, 『헤이케 모노가타리』와 〈헤이케 그림〉 사이에 모노가타리 이해의 동요나 변질이 생겨난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헤이케 모노가타리』는 과거 실제로 일어난 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으며, 전쟁에 관해 후세 사람들의 이해에 커다란 작용을 미쳐왔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중학교 2학년의 국어교과서에서 오늘날에는 「아츠모리의 최후」라고 읽혀지는 것이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례에도 주목하며, 본고에서는 마지막에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뿌리 내린 전쟁의 기억 형성에 〈아츠모리 · 나오자네 그림〉이 어떻게 관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Chapter 9 of The Tale of the Heike depicts the episode known as the Battle of Ichi-no-tani. The latter half of the chapter lists stories about the deaths in battle and the captures of the members of the Taira clan. The story about the death in battle of the young warrior Taira no Atsumori is especially famous among them: the Minamoto warrior Kumagai Naozane, moved by Atsumori's youthful beauty and his valiant words and deeds, offers to save his life, but Atsumori refuses his offer and choses to die. This paper focuses on a picture based on this story. It depicts the scene in which Naozane raises his fan at the water's edge to call back Atsumori, who rides on a horse forward into the sea. Although this picture, which I call "The Picture of Atsumori and Naozane" in this paper, is a narrative painting based on The Tale of the Heike, it creates a different world from that of the body of the text. Despite being a well-known picture, this aspect has rarely been noted so far.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way in which this kind of composition had been established by the seventeenth century. By looking at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I will then examine how the interpretations of the story have fluctuated and have transformed in the interstices between The Tale of the Heike and Heike pictures. The Tale of the Heike, drawing on a war that actually took place in the past,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understanding of that war and still continues to do so. The way in which Japanese language textbooks for second-year junior high-school students treat The Tale of the Heike is a typical case. After examining this and other cases, I will conclude this paper by considering in what way "The Picture of Atsumori and Naozane" may affect the construction of the memory of the war narrated in The Tale of the Heike.

      • KCI등재
      • KCI등재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Postwar Japan

        Akira Suzuki(스즈키 아키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4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abor un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in postwar Japan from the 1950s to the 2000s. The paper focuses on union-CSO relationships in three periods: the “post-authoritarian” period (the 1950s), the period of controversies over industrial pollution (from the mid-1960s to the mid-1970s), and the period of union decline and neoliberalism (the 1990s and the 2000s). In the first period, the labor movement led coalitions as a “vanguard.” In the second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s and CSOs became distant or tense. In the third period, to regain their social presence, labor unions formed coalitions with non-profit organizations (NPOs), and relationships between unions and CSOs were relatively equal. The third period also saw the development of more militant union-CSO coalitions to oppose labor market deregulation.

      • KCI등재

        Effect of concentrated carbon dioxide exposure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initiation of Ganoderma lucidum

        서건식,스즈키 아키라,Seo, Geon Sik,Suzuki, Akira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2004 한국버섯학회지 Vol.2 No.2

        The effect of $CO_2$ concentration (500, 3,000, $6,000{\mu}{\ell}/{\ell}$)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primordium formation of Ganoderma lucidum on nutrient agar medium was examined. Optimum $CO_2$ concentration for vegetative growth was above $3,000{\mu}{\ell}/{\ell}$. Fruit body initiation was accelerated at higher than $3,000{\mu}{\ell}/{\ell}$ $CO_2$ exposure but the maximum number and size of primordia, and primordium color were not influenced by $CO_2$ concentrations. Whereas each atypical fruiting structure forming stock culture showed different fruiting time under each concentration of $CO_2$ expos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