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丁若鏞 易學의 ‘再閏之卦’ 硏究

        丁海王(Jung, Hae-W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4 No.-

        丁若鏞의 易學은 曆法的 세계관의 반영으로서, 역학사적으로 漢代 역학자들의 역법적 세계관에 바탕한 역학에 상당 부분 찬동하는 역학이다. 정약용의 역학은 또 漢代 象數易의 한 특징인, 『周易』의 기호와 언어를 매개하는 ‘象’을 중시하는 역학이다. 정약용의 이러한 관점들은 그의 역학체계 전반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특히 그의 ‘再閏之卦’에 대한 해석에서 드러난다. 역법의 의의는 천체운행의 공간적 상황을 시간으로 표현한 것이며, 그 기본축은 1년의 12달이라는 시간흐름의 순환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이것은 기본 역법체계의 平年과 平月이며, 이만으로는 실제 천체 운행을 그대로 반영할 수 없다. 왜냐하면 실제와 기본 역법체계 사이의 오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 오차를 반영한 것이 閏年과 閏月이다. 정약용은 平年·平月의 기본 역법체계를 12개의 四時之卦로 나타내고, 閏年·閏月에 해당되는 괘를 ‘再閏之卦’로 이름하였는데, 이것이 곧 ‘中孚卦’와 ‘小過卦’이다. 그래서 이러한 사시지괘와 재윤지괘로서 역법의 기본체계가 다 갖추어지고 이 괘들이 중심괘가 되어 64괘 중 나머지 50개의 괘, 즉 그가 말하는 50衍卦가 연역되어 나온다고 주장한다. 정약용 역학의 재윤지괘의 존재 의미는 이 세계의 변화운행에는 그 기본축 외에도 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는 요소가 존재한다는 그의 특징적 세계관에 있다. 또, 당연하게도 다른 괘들과 마찬가지로 재윤지괘인 중부괘와 소과괘도 그 괘사와 효사의 해석에는 그의 상수역 이론이 적용된다. Yagyong Jung"s Yi-theory is the reflection of his calendar world view based on the view of Yi-theorists of the Han漢 Dynasty period. And his Yi-theory is a theory to put stress on the images象 which mediate between symbol and language in 『Zhouyi周易』(『Book of Changes』), that view is a characteristic of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數 in interpreting 『Zhouyi』 in the Han Dynasty period. This point of view of Yagyong Jung can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all of his Yi-theory, especially to his interpreting two ‘Zairunzhigua’es which mean the hexagrams to symbolize two leap months in five years. The significance of a calendar is to describe the spatial situation of the celestial movements in time, and the basic axis is to be expressed as a recurring cycle of twelve months of a year. But this is just the axis of common year and common month of the basic calendar system. These common year and common month alone can not mirror all of the actual celestial movements. Because there is the gap between the actual celestial movements and the basic calendar system. To correct this gap is leap year and leap month. Yagyong Jung expresses the basic calendar system of common year and common month by 12 ‘Sishizhigua四時之卦’es which mean the hexagrams to symbolize four seasons and twelve months of a year, and he names the hexagrams that corresponds to leap year and leap month as two ‘Zairunzhigua’es, those are ‘Zhongfugua中孚卦’ and ‘Xiaoguogua小過卦’. So according to his view, these ‘Sishizhigua’es and ‘Zairunzhigua’es embody the basic fabric of the calendar, from which other 50 hexagrams of 64 hexagrams of 『Zhouyi』 are developed, he calls the hexagrams ‘50yangua五十衍卦’es. The significance of ‘Zairunzhigua’es of Yagyong Jung"s Yi-theory is, in the changes and operations of the world there is an element that corrects the gaps that may arise there in addition to the basic axis.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 of the world. And, of course, in case of ‘Zairunzhigua’es, namely ‘Zhongfugua’ and ‘Xiaoguogua’, here as elsewhere his theory of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 ar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 and language of the hexagrams卦 and the lines爻.

      • KCI등재

        朱熹와 王守仁과 丁若鏞의 『大學』 해석 비교

        丁海王(Jung, Hae-W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3 No.-

        본 논문은 주희, 왕수인, 정약용의 『대학』해석을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드러낸다. 주희의 『대학』 해석은 고대철학시대의 『대학』이 후기중세철학시대인 중국적 스콜라철학인 성리학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그 해석은 당시 봉건왕조 체제의 존립이유를 해명하고 그 유지ㆍ존속을 정당화하는 의의를 갖는다. 그가 말하는 ‘격물치지’는 그 시대 신분질서를 부여하는 ‘천리’를 그 구성원이 철저히 인식하고 정당성을 확보하여, 그 체제수용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왕수인의 『대학』 해석은, 주체중심의 근대정신의 싹을 함유한 육구연의 철학을 계승한 것이다. 육구연의 ‘심즉리’는 도덕주체 속에서 도덕원리를 찾아야 함을 선언한 것이다. 왕수인은 이러한 선언을 발전시켜, 모든 것의 중심이 객관세계의 하늘이 아니라 실존적 주체 자신이라는 철학관점을 가졌는데, 그는 ‘천리’를 실존적 도덕주체에서 찾아야 함을 주장한다. 정약용의 『대학』 해석은 주희의 성리학, 왕수인의 심학의 관점과 달리, 『대학』이 성립될 당시의 원저자의 저술취지를 찾아 나선 것이다. 그는 오늘날 ‘실학’으로 부르는 그 시대의 학문방법을 적용하여, 원시유가의 본래 모습을 찾기 위해, 문헌고증의 방법으로 고본의 『대학』이 있던 시대의 문자와 용어의 용례를 널리 찾아 『대학』 원의를 찾으려 했다. This paper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Learning] of Zhuxi, Wangshouren and Jung Yak-yong to reveal each feature. Zhuxi’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is a rebirth of [the Great Learning] of the ancient philosophical age into the Chinese Scholasticism of the later Middle Ages. The interpretation has the significance of clarifying and justifying the existence of the feudal dynasty system at that time. His ‘experience in thing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are the members of his time to thoroughly recognize the ‘principle of heaven’ that confers the status order of the day, to justify their acceptance of the system. Wangshouren’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is the succession to Lujiyuan’s philosophy containing the bud of the modern spirit centered on the subject. Lujiyuan’s “Mind is the Principle” is a declaration that the principle of morality must be found in the subject of morality. Wangshouren developed this declaration, having a philosophical view that the center of everything is not the heaven of the object world but the existential subject himself, who argued that it should be found in the existential moral subject of the ‘principle of heaven’. Jung Yak-yong’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is a search for the original author’s intention when [the Great Learning] was established, unlike Zhuxi’s philosophy of principle and Wangshouren’s philosophy of mind. He applied the academic method of the period, which is now called the ‘practical studies’, to find the original appearance of primitive Confucianism, in a way of bibliography, to fi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Great Learning] era of the old version of [the Great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周易』「渙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丁海王(Jung, Hae-W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1 No.-

        茶山 丁若鏞의 易學t은 易學?史에 있어서 象數易 계통에 선다. 象數易에서 『周易』의 卦爻辭를 해석하는 방법은 매 卦마다 그 卦象에서 삼획괘인 8卦를 추출하여 그 언어적 표현인 象과 卦爻辭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관성은 그 기호와 언어에 있어서 ??周易??전반에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 다룬 64卦 속의 渙卦는 ??周易??에서 말하는 기호와 언어의 체계 중 일정한 국면을 표현하는데, 그 국면은 다른 국면과 상호 연계되어 있다. 象數易家들, 그리고 그 계통의 丁若鏞은 渙卦를 이러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丁若鏞의 관점에 따르면 渙卦의 卦辭는 세계의 현상에 있어서 그 卦로 상징되는 상황이 변하지 않고 일정한 동안 지속되는 경우를 지시한다. 그리고 그 爻辭의 각각은 卦를 구성하는 각 획의 음양상태가 변하여 다른 卦로 가는 경우를 지시한다. 이 변한 상태가 爻이며 이 爻는 곧 이미 다른 괘로 변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렇게 변한 卦를 之卦라고 한다. 渙卦의 경우, 初六은 渙卦가 中孚卦로, 九二는 渙卦가 觀卦로, 六三은 渙卦가 巽卦로, 六四는 渙卦가 訟卦로, 九五는 渙卦가 蒙卦로, 上九는 渙卦가 坎卦로 변해 간 것을 말한다. 이에 관한 규칙을 丁若鏞은 爻變이라고 하는데, 이것으로 渙卦와 다른 卦와의 연계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卦 사이의 연계성은 卦 사이의 연역에 따른 그 연원 관계를 말하는 推移로도 이야기된다. 丁若鏞은, 이러한 卦 사이의 관계는 그 언어에 나타난다고 보고, 그 언어인 卦爻辭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관건을 그 기호와 언어를 매개하는 象, 즉 그가 말하는 物象으로 본다.

      • KCI등재

        儒家哲學의 발생과 王充의 孔孟비판

        丁海王(Jung, Hae-Wa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2 No.-

        儒家사상의 원조인 孔子와 孟子의 사상은 중국문화사에서 종교적 사고에 대한 철학적 사고의 초기의 발단을 대표한다. 중국문화사에서 종교적 사고는 감성적, 天 중심적 문화이며, 철학적 사고는 이성적, 인간 중심적 문화이다. 孔孟사상은 전자의 사고에 대해 후자의 사고를 발휘, 고양시킨 의의를 갖는다. 孔孟사상은 비록 철학적 사고의 대표였지만, 이후 전개된 정치상황의 영향으로 왜곡, 변질의 과정을 겪게 된다. 원래 儒家사상은 脫종교, 反종교를 기치로 하였지만, 漢王朝의 儒學은 도리어 종교적 사고로 회귀하였다. 왕조의 정치적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통치이념에 종교적 권위를 불어넣은 것이다. 王充은 이러한 종교적 성격의 儒學을 반대하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이러한 유학의 신비화 과정에 동원된 孔子, 孟子의 신격화도 반대하고 비판하였다. 게다가 王充은 단순히 孔子, 孟子의 신격화에만 반대한 것이 아니라, 孔子, 孟子 사상 자체와 孔子, 孟子 인물 자체도 검증하였다. 王充은 이러한 방법과 태도로 孔子, 孟子를 검증한 결과, 그들의 언행과 인격에 적지 않게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면서 그러한 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孔子와 孟子는 비록 종교적 사고를 극복하고 철학적 사고를 제창한 중국철학의 개창자이면서 유가철학의 원조이지만, 그들은 오히려 漢王朝의 종교적 통치이념수립에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사상자체도 철저히 철학적, 합리적 학문태도를 가진 王充에 의해서 다시금 학문적으로 검증되는 역설적 상황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as the progenitor of Confucianism, represent the beginning of philosophical thought against religious thought in the history of Chinese cult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culture, religious thought is emotional, Heaven-centric culture, on the other hand philosophical thought is rational, human-centric culture.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have significance for exhibition and enhancement of the latter against the former. Although the thoughts had been the representative of philosophical thought, they ha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distortion and transmutation out of the influence of the following political situation. Confucianism was originally the thought of assuming a definite attitude of de-religion and anti-religion, but Confucianism of Han dynasty had rather returned to religious thought. It means, in essence, that religious authority is inspired with in ruling ideology in order to intensify political authority of the dynasty. Wangchong had opposed and criticized the Confucianism having religious character like this. And at the same time he had also opposed and criticized the deification of Confucius and Mencius mobilized in the process of mystification of Confucianism. Besides, he not only had opposed just the deification of Confucius and Mencius, but also had verified the thoughts themselves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the personalities themselves of Confucius and Mencius. He had verified Confucius and Mencius using the method and attitude like this, as a result he had thought he had discovered the substantial problems in their sayings and doings and their personalities, and he had pointed out and criticized the problems. From this point of view, although Confucius and Mencius had been the progenitor of Chinese philosophy, particularly Confucianism, who had overcome religious thought and had advocated philosophical thought, they had rather been exploited in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ruling ideology of Han dynasty, furthermore it resulted in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even their thoughts themselves had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again by Wangchong who had a thoroughly philosophical and rational attitude of studying.

      • KCI등재

        漢朝 통치이념의 형성과 董仲舒 사상의 의미

        정해왕(Jung, Hae-wang)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인류역사의 초기에 한 사회의 통치그룹은 그들의 통치를 정당화할 명분 즉 통치이념을 필요로 했다. 중국의 경우 상고시대 통치이념의 중추는 원래 ‘帝’ 또는 ‘上帝’였는데, 이후 ‘天’으로 대체되었다. 그래서 이 천이 통치명분을 준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것이 왕권을 ‘천이 준다’는 ‘天命’사상이며, 이 천명사상이 상대적으로 세련된 형태로 통치이념화한 것은 周가중앙정권을 차지하면서이다. 이 周의 체제질서를 조직화한 것이 이른바 ‘周禮’이다. 이후 이 체제가 붕괴되었는데, 주례를 바람직한 사회질서로 인정하는 이들은 이 주례 붕괴 현상이 사회적으로 나타난 상황을 ‘亂世’로 본다. 이 상황을 종결 짓고, 당시의 중국천하를 통일한 나라가 秦이다. 통일 후의 秦王朝가 급격하게 망한 후 그 뒤를 이어받은 왕조인 漢朝의 지배세력 역시 그들의 정권획득을 정당화할 통치이념을 수립할 필요가 있었다. 漢朝의 통치이념 확립에 기여한 대표자는 董仲舒인데, 그의 기본적 사상은 孔子의 『春秋』에 기반을 두는 유교사상이다. 그는 『춘추』의 한 해석인 『春秋公羊傳』에 따라 한조의 통치이념 마련에 기여하였다. 이 해석 관점은 종교적 천관념에 기반한다. 董仲舒는 하늘과 사람 사이는 원래 교감, 소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董仲舒의 사상은 기본적으로는 통치자의 통치권의 근거를 하늘에 두려는 정치신학의 의미를 가진다. 또, 한편으로는 자연재이의 일차적 책임을 최고통치자에 둠으로써 최고통치자의권력을 견제하려는 이론적 수단을 가지려는 의미도 있다. In the early days of human history, the governing groups of rulers needed to justify their rule. The cause of rule became the ruling ideology. In China, the backbone of the ruling ideology was originally referred to as ‘Di(帝)’ or ‘Shangdi(上帝)’, who was later replaced by ‘Tian(天)’, Heaven. So there was a claim that Heaven gave the cause of the rule. This idea is the ‘Tianming(天命)’ idea. When the Zhou(周) Dynasty took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Tianming’ idea had had a relatively sophisticated form. It was the ‘Zhouli(周禮)’ that organized the systematic order of the Zhou Dynasty. After this system collapsed, those who recognized ‘Zhouli’ as a desirable social system considered the collapse of ‘Zhouli’ as a situation of turbulent age. It was Qin(秦) State that unified all of the states of the period. However, after the unification, the Qin Dynasty fell sharply. The next dynasty was the Han(漢) Dynasty. The new ruling powers of the Han Dynasty needed to justify their regime. That means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uling ideology of the Han Dynasty. The representative of the ruling ideology of the Han Dynasty was Dongzhongshu, whose thought was based on Confucianism. His thought was related to 『Chunqiugongyangzhuan(春秋公羊傳)』, an interpretation of 『Chunqiu(春秋)』. This interpretation perspective is based on the idea of religious Heaven. Dongzhongshu thought that there were co-communions between Heaven and humans. His thought has the meaning of political theology in which rulers hold the basis of the ruler’s sovereignty.

      • KCI등재

        왕수인(王守仁)의 사구교(四句敎)에 관한 연구

        정해왕(Jung, Hae-Wa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왕수인(王守仁) 사구교(四句敎)의 첫 번째 문장인 ‘무선무악심지체(無善無惡心之體)’는 선험적 도덕주체를 의미한다. 실존적 선악의 잣대로는 ‘무선무악(無善無惡)’이지만 본질적 의미로는 ‘지선(至善)’이다. 그러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초월적 본원이다. 이것은 논리적 선험 내지는 초험의 경지이며 선악의 피안이다.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경험적 실존의 선악이다. 이것은 도덕주체가 선악으로 규정할 수 있는 도덕적 현실세계로서, 도덕주체의 실존이 전개되는 ‘의(意)’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유선유악의 지동(有善有惡意之動)’이라고 한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심지체(心之體)’의 차순위이지만, 도덕 현실세계에서는 본질에 앞서는 실존이다. 이 실존속에서 도덕주체로서의 인간은 삶에서의 갈등을 겪는다. 이 실존적 인간은 선험적 ‘무선무악(無善無惡)’의 상태를 목적으로 지향한다. ‘무선무악’의 심체(心體)가 실존적 현실 속에서 드러나 연계되는 그 핵심 주체는 ‘양지(良知)’이다. 이 ‘양지’는 도덕주체 그 자체로서 현실 속에서 무엇이 선이고 악인지를 판단하는 도덕판단의 능력을 가진 주체이며, 본원적 ‘심체’상태로 환원하려는 주체이다. 그래서 ‘지선지악시양지(知善知惡是良知)’라고 한다. 그런데 본원적 ‘심체’ 상태로 환원함은 실존적 상태에서 선을 행하고 악을 제거하는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것이 곧 ‘격물(格物)’이므로 ‘위선거악시격물(爲善去惡是格物)’이라고 한다. The first sentence of ‘the teachings of four sentences’ of Shou-Ren Wang is “It is neither good nor bad that is the mind itself”, it means the transcendental moral subject. While it means neither good nor bad in existential standard, it means ‘the highest good’ in essential standard. However, it is a transcendental origin that can not be expressed in words. It is a logical transcendental or super-experienced stage and nirvana transcended between goodness and badness. Words can express the good and bad of an empirical existence. This is a moral and practical world in which the moral subject can define as good and bad, and begins with the ‘thought’ of the present existence of the moral subject. So, it is expressed “It is either good or bad that is motivation of thought”. It is logically the second stage of the mind itself, but it is the existence before the essence in the moral world. In this existence, man as a moral being experiences conflicts in life. This existential human being aims at a transcendental state to be ‘neither good nor bad’. It is ‘intuitive knowledge’ that is the main subject that connects the mind itself to be neither good nor bad, in the existential world. This ‘intuitive knowledge’ is the moral subject itself, which is the subject to have the ability to judge what is good and bad in reality, and to want to return to the mind itself. So, it says that “Knowing good and bad is ‘intuitive knowledge’”. However, returning to the mind itself is accomplished through efforts to do good and remove bad in the presence of reality. It is called a ‘rectification of affairs’, so it says that “Doing good and removing bad is ‘rectification of affair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