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up>2</sup>/O 공법을 이용한 소규모 하수처리시스템의 몽골 현지 적용에 관한 연구

        여영기,김영희,Yeo, Yeongki,Kim, Younghee 대한상하수도학회 2017 상하수도학회지 Vol.31 No.5

        The small-scale sewage treatement system with $A^2/O$ process was applied to evaluate applicability for Mongolian sewage, It was designed to have 10 m3/d flowrate and installed in Ulaanbaatar, Mongolia. During over 6month operation BOD, COD, TN, TP removal efficiency were measured and operation condition was optimized. In addition, MLSS concentration its internal circulation rate and DO were adjusted properly. BOD, COD showed average 88 perecent of removal and TN and TP achieved 81 percent and 88 percent removal efficency, respectively. Maxium influent concentration of BOD, COD, TN and TP was 214 mg/L, 300 mg/L, 24.3 mg/L and 5 mg/L respectively, which were decreased to 4.1 mg/L, 5.6 mg/L, 1.3 mg/L and 0.15 mg/L by the test system. This study show possibility tham small-scale sewage treatment system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scattered sewage wastewater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디자인 요소 분석

        여영기(Yeo, Younggi),김보연(Kim, Boye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정보의 바다’, 처음 인터넷이 등장했을 당시 유행하던 인터넷을 지칭하는 단어였다면 지금은 ‘어플의 바다’ 라고 할 만큼 앱 스토어에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어플리케이션들이 난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런 ‘어플의 바다’에서 선택되어져 다운로드 순위 안에 든 어플리케이션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유발되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의 감성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의 특징들은 어떤 디자인 요소로부터 발생되는지에 대하여 2011년 앱 스토어 순위에 랭크된 사용자가 처음 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디자인을 아이콘의 시각적 구성요소인 형태(Shape), 색(Color), 표현방법(Expression),레이블(Label)로 세분화하여 각 구성요소와 App Store 카테고리별 상위 랭크된 어플리케이션 Icon 디자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App Icon 디자인의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각 시각적 구성요소와 Mobile Application의 특성 및 내용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Icon 디자인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와 도출된 각 카테고리별 주요 디자인 요소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디자인 되어질 Mobile application Icon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사용자와 Mobile application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Sea of information" was the word for the internet when it first appeared. These days, there are huge numbers of applications with various purposes in Apple"s App Store(application store). "Sea of applications" is the new keyword for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ich design features of the applications" icons have been helpful to be selected by the users within the "Sea of Applications1" as top ranked in downloads. 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find out which design features have caused the emotional and visual image that the users come across when first encountering the icons. Top ranked icons of 2011 App Store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Application icon design of a visual element, the Shape, Color, Expression and Label broken down by each component and App Store"s application Icons category-specific top-ranked design an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isual element and the basic direction and App Icon design was to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Mobile Application. Lastly,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directivity of icon design of applications in future.

      • KCI등재

        조선후기 관학(館學) 기재생(寄齋生) 제도 연구

        여영기(Yeo, Young-Ki) 교육사학회 2021 교육사학연구 Vol.31 No.2

        이 글은 『춘관통고(春官通考)』「길례(吉禮)」중 《성균관(成均館)》<기재생액수(寄齋生額數)>에 수록된 기사들과 이와 관련된 법규정들과 사료들을 분석하여, 이 문서의 편찬 목적과 조선후기 관학(館學)의 기재생(寄齋生) 제도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연구의 결과, 『춘관통고』<기재생액수>의 편찬 목적은 『대전통편(大全通編)』에 수록된 관학(館學) 기재생 관련 세부 규정들의 연원과 도입 과정을 보여주는 데에 있었으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사들만을 취사선택하여 <기재생액수>가 편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한 조선후기 관학(館學) 기재생 제도의 성격과 운영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기재생 제도는 장학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던 일종의 공사제도(貢士制度)와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15세기 중종대 기재생 천거제도(薦擧制度)와 17세기 이경여(李敬輿)의 건의로 시행된 공거제도(貢擧制度)는 물론이고, 18세기에는 치경유생(治經儒生)의 수가 많아져 시강(試講)과 통독(通讀)을 선발의 기본 절차로 삼았지만, 각 도에 1인씩 기재생 승보 인원을 추천하여 올리게 하거나, 상대적으로 교육 여건이 열악한 관서와 관북, 제주의 유생들을 배려하는 보완규정을 둔 것은 기재생 제도가 지닌 공사제도로서의 성격이 조선후기에도 여전히 유지되었고, 서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교육여건과 기회가 부족한 지방 유학(幼學)들을 배려하려는 정책적 기조도 지속되었음을 말해 준다. 둘째, 관학(館學)의 기재생을 치경유생(治經儒生)으로 충원하여 전강(殿講)이나 식년시(式年試)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교육시켰다는 사실은 이 제도가 조선후기 경학(經學) 장려정책 중 하나라는 관점에서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조선 전기에는 정원이 정해져 있지 않고 성균관 생진 정원에 빈자리가 생기면 우수한 인재를 천거로 하재에 승보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비해, 17세기 양난 이후 관학을 정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재생은 성균관 하재생 20명과 사부학당 거재 유생 20명(각 학당 5명), 전체 40명의 정원이 정해졌고, 이후 조선후기 기재생의 액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렇게 기재생 정원이 정착되었다는 것은 정원만큼의 재정적 지원과 안정적 운영이 보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조선 전기의 기재생은 성균관 하재생을 의미했는 데에 비해, 조선후기는 사부학당 유생들의 인적구성과 학사관리방식의 변화로 인해 사부학당 거재(居齋) 유학(幼學)도 성균관 하재생과 함께 관학(館學) 기재생 범주 안으로 통합되어 관리되었다. 이것도 조선후기 관학 기재생 제도 운영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Gijaesaengaecksoo(寄齋生額數)> in Chungwantonggo(春官通考) with historical records and legal regulation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jaesaeng(寄齋生)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e compilation of <Gijaesaengaeksu(寄齋生額數)> was to show the origin an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Gwanhag(館學) Gijaesaeng(寄齋生) system of Daejeontongpyeon(大全通編), and the compilation was edited based on the selected documents. The characteristics of Gijaesaeng(寄齋生)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ijaesaeng(寄齋生) system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kind of Gongsajedo(貢士制度) implemented as part of the scholarship policy, and it had a policy stance that cared for local students. Second, the fact that Gijaesaeng(寄齋生) of Gwanhag(館學) were recruited from Chigyeongyusaeng(治經儒生) to prepare for Signyeonsi(式年試) suggests that this system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an important policy to encourage studying Confucian script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rd, after the 17th century wars, the number of Gijaesaeng(寄齋生) was set in a total of 40, including 20 Hajaesaeng(下齋生) in Sungkyungwan(成均館) and 20 Yuhag(幼學) in Sahag(四學) (5 in each Hakdang(學堂)), and the fixed number of Gijaesaeng in Gwanhag(館學)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mained constant. This means that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was fully secured as m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were guaranteed. Final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ijaesaeng meant Hajaesaeng(下齋生) of Sungkyungwan(成均館), where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Yuhag(幼學) who lived and studied in Sahag(四學) were also integrated in Gijaesaeng(寄齋生) category of Gwanhag(관학) due to changes in the student composition and academic management system of Sahag(四學).

      • KCI등재

        15세기 地方敎官政策의 정비와 訓導制의 성립

        여영기(Yeo, Young-Ki)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15세기 지방교관 수급 문제를 중심으로 교관의 자격과 선발, 지위와 대우에 관한 제문제를 再考해 봄으로써 지방교관정책의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향교의 쇠퇴와 진보, 교육의 부재와 존재라는 이분법적 담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논의 구조를 모색하면서 기획되었다. 그 하나의 방법으로 15세기 교육정책들 중 지방교관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정책입안자들이 한 고민과 선택을 이해하고 드러내 보여주려고 하였다. 15세기 지방교관정책의 변화를 간략히 요약하면 훈도제가 성립되어 가는 과정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학장제에서 교도제로, 다시 교도제에서 훈도제로 이행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정책입안자들은 교관 수급에 따른 제반 문제를 조율하며 결정해야 했다. 요약문에서는 본론에서 다룬 교관정책의 제문제를 일일이 거론하지 않고, 15세기 교관 정책의 기본적인 성격을 말하는 것으로 대신하겠다. 성종대에는 1읍1교가 완성된 시기이다. 그야말로 백년이 채 안되는 시간 동안 300여개의 새로운 지방 관학이 생겼고, 이와 같은 학교의 빠른 증설이 교관 수급의 문제를 불러올 수밖에 없는 기본적인 배경이었다. 문제는 그 교관을 어떤 사람으로 충원하는가에 있었다. 幼學교관에게 만족했다면 그토록 복잡한 교관 수급 문제에 시달릴 이유가 없었다. 오히려 문관이나 생원 진사와 같은 일정 정도 이상의 공인된 학자들을 지방교관으로 채용하려고 했기 때문에 교관 수급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15세기 지방 교관 수급 정책의 난맥상이 국가의 향교 정책이 이완되어가는 과정으로만 해석될 이유는 없다. 물론 교관 수급의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오히려 교관 수급의 난맥은 각 시기마다 제한된 조건 속에서 향교 교육의 진흥을 위해 보다 우수한 교관을 차임하려고 했기 때문에 겪을 수밖에 없는 진통이었다. 16세기 교관정책은 그 이전 시기의 교관정책의 해결과정에서 태동한 문제를 또 다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reexamine the policy coordination of the provincial instructors qualified by governments around set of instructors’ supply and demamd issues in 15<SUP>th</SUP> century on Chaoxi?n dynasty. This reexamination has been made a plan to seek ways to overcome dichotomy of xi?ngxiao(鄕校)‘s decline and progress and xi?ngxiao education’s Presence and absence, and especially to make an attempt to show the policy makers’ agony and selections. In brief, the policy shift of the instructors qualified by governments was the organization of xund?ozhi(訓導制) that had been shifted from jiaod?ozhi(敎導制) and xuezh?ngzhi(學長制). This transition had been relations with the establishment policy of xi?ngxiao in 15<SUP>th </SUP>century. The critical issue lied with who had to be appointed as a provincial instructor qualified by governments. The policy makers had not been satisfied with youxue(幼學) and made a attempt to fill the instructors by wengu?n(文官), or sh?ngyuan(生員) and jinshi(進士). Therefore the confusions of provincial and local instructors’ supply and demamd in 15<SUP>th</SUP> century did not mean the atony of xi?ngxiao policy, but inevitable growing pains to promote provincial education.

      • KCI등재

        17세기 童蒙敎育담당 敎官職制 硏究

        여영기(Yeo, Young-Ki)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1

        본 논문은 17세기 동몽교육정책의 추이와 서울의 동몽교육 담당교관인 동몽교관, 사교관, 분교관의 지위와 자격, 교육활동을 정리해 본 것이다. 17세기 동몽교육정책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 하나는 童蒙禮講과 교관의 ?貶을 연계시켜 교관의 교육활동의 내실을 기하는 것이었고, 또 하나는 동몽 교육의 범위를 도성 내의 전범위로 확대시키는 것이었다. 童蒙敎官은 임기만료 후 6품직으로 승천할 수 있었던 실교관으로, 선조대에 마련되어 조선말까지 지속된 교관이었다. 이에 비해, 私敎官은 서울에서 사사로이 동몽들을 가르치는 훈장들 중 교육의 실효가 있는 자를 치하하고 교육을 더욱 권장하기 위해 체아록과 함께 내려진 직명이었다. 사교관은 명예직에 가까웠으며 여기에는 入仕의 의미는 없었다. 이와는 달리, 인조대에 신설된 童蒙分敎官은 장권의 기능뿐만 아니라 입사의 기능도 가지고 있었다. 분교관은, 임기가 아니라 동몽예강의 결과와 평소 교육활동의 성취에 따라 동몽교관이나 여타의 실관으로 승진할 수 있었다. 하지만 바로 그 입사의 기능이 분교관제의 정상적 운영을 가로막았고, 원래 의도했던 실효를 보기 어려워지자 효종대에 동몽교관을 4원 증원하여 분교관을 대체하였다. 따라서 관제의 지속성이나 직급의 고하 등을 고려해볼 때, 조선후기 서울지역 동몽을 위한 교육정책의 중심은 동몽교관이었으며, 사교관과 동몽분교관은 이를 보완하여 동몽교육을 진흥하기 위해 설행되었던 제도였다고 하겠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조선시대 동몽교관직제의 실제를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선전기 동몽교관직의 지위와 성격을 규명하고 전후기를 비교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선의 교육에서 차지하는 동몽교육의 위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동몽담당 교관들과 四學의 교수들이나 書堂의 훈장들과의 관계 문제도 보다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5-16세기 童蒙訓導硏究

        여영기(Yeo, Young-Ki) 교육사학회 2011 교육사학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16세기 동몽훈도를 중심으로, 15-16세기 동몽교육 담당 교관들의 교육활동의 실제와 그 직제상의 성격을 규명해보고, 당시 교관정책의 변화와 기조를 추론해 본 것이다. 15세기 동몽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 대한 국가의 조치는 주로 장권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 『경국대전』「예전」<장권>조의 규정에 근거하여, 국가는 사사로이 동몽들을 오랫동안 가르친 공로가 있는 교사들에게 서반(군직) 체아직을 제수하여 명예를 부여하고, 체아록을 하사하여 생계를 보조해 줌으로써 교육활동을 장려하였다. 단, 이때 내려진 체아직은 入仕의 의미는 없었다. 16세기에 마련된 동몽훈도는 이전 시기 장권규정을 변통하여 제정된 교관직이었다. 중종 11-12년에 동몽훈도 직제 마련을 논의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지만, 당시의 여러 가지 정치 여건으로 말미암아 설행되지 못하다가, 명종대 <경외학교절목>에서 동몽훈도 관련 규정이 정비됨으로써 그 법제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로써 조선의 동몽교육 담당 교관정책은 일관된 지속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16세기 동몽훈도는 예조 소속의 관원으로 蔭仕의 階除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15세기 체아직으로 서용된 교관들과는 관제상 질적으로 다른 지위를 가진 관직이었다. 따라서 16세기 국가정책의 핵심적 기조는, 대전의 장권 조항을 換骨奪胎시켜 동몽훈도라는 새로운 교관직제를 마련하고, 이들이 가르치던 서재와 서당인 童蒙學을 서울의 四學이하의 공식적 학교체제 속으로 포섭하려는 데에 있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이들을 통해 경학을 위주로 한 『소학』중심의 학풍을 동몽단계의 교육부터 실질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16세기 동몽교육 담당 교관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사실 중 하나는, 도성의 동몽교육 담당 교관인 동몽훈도의 설행과 맞물려, 지방의 동몽교육을 위한 교관직제로 학장제가 논의되고 시행되었다는 점이다. 16세기 학장제는 당시 동몽교육정책의 전체상을 규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연구대상이다. 학장제가 도성의 동몽훈도에 준하여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학장제 연구의 선행연구가 되며, 지방의 학장제에 관한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aimed to take a look at juvenile education instructors active in 15th - 16th centuries with focus on juvenile education officials in the 16th century to examine their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office characteristics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n state policy on juvenile education instructors. State measures for juvenil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15th century were taken as part of an education encouragement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Education Encouragement, Chapter on Ceremonial Protocols of Gyeonggukdaejeon (National Administration Code), the state honored long-time meritorious private juvenile instructors with Cheajik (遞兒職, an office qualified for receiving a stipend) to support their livelihoods, thus encouraging education activities. However, Cheajik granted to teachers was not intended to actually take a government office. Juvenile education officials, whose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16th century, came into being by appropriately applying the previous-time Provision on Education Encourage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office of juvenile education officials was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11th-12th years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but failed to be implemented due to then various political conditions. The office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s the office-related provision was set forth under Gyeongoehakgyojeolmok (京外學校節目, Enforcement Ordinance on Education). This paved the way for Joseon"s policy on this teaching office to be implemented consistently and stably. These juvenile education officials, who belonged to the Ministry of Ceremonies, were allowed to take a government office, unlike juvenil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15th century to whom an honorary office intended for receiving a stipend was assigned. The 16th century state policy aimed to establish a new office of juvenile education officials on the basis of the said Provision of Education Encouragement, and to officially incorporate juvenile eudcation instructors" private schools and juvenile education schools into official school systems of Seoul"s four education institutes. Also, importantly, in line with the implementation of Seoul"s juvenile education officials system, their provincial counterpart office dubbed Hakjangje was established. To further study the entirety of then juvenile education policy, Hakjangje - implemented in the 16th century - should be researched on.

      • KCI등재

        정치와 교육의 공동 이념, 化民成俗

        여영기(Yeo, Young-Ki) 교육사학회 2014 교육사학연구 Vol.24 No.2

        『禮記』「學記」1장은 정치와 교육의 관계에 관한 유가의 전형적인 생각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기」1장에 대한 유력한 세 가지 해석(정현과 공영달, 진상도와 오징, 주희와 진호의 주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1장을 구성하는 내적 논리와 그 논리를 떠받치고 있는 유가의 정치와 교육에 대한 신념의 체계를 탐색해 본 것이다. 「학기」1장은 發慮憲求善良[법치와 인사라는 국가 통치행위]과 就賢體遠[덕(인의)를 기준으로 삶을 영위하는 학자에 대한 국가적 우대]의 의의와 한계로부터 化民成俗의 국가적 이념과 敎育의 필요성을 논설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민성속에서 化民은 백성들이 각자 자신의 삶의 위치에서 덕을 기준으로 自訟할 수 있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이며, 成俗이란 이러한 삶의 원리가 보호되고 지지되는 사회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화민성속한 국가는 백성들에 대한 교육에 의해서만 구현가능하다. 이때 학교는 국가의 이념적 목적이 순수하게 추구되는 장이며, 모든 정치적 활동은 학교가 추구하는 교육의 목적에 기여함으로써 그 활동의 의의가 실현된다. 따라서 화민성속의 이념 속에서 학교가 국가의 필수불가결한 국가사업으로 간주된다는 것은 교육이 정치의 수단이 된다는 것이 아니라, 교육이 모든 정치행위의 전제이자 목적이 되는 활동임을 말해준다. This study restructured critically Confucians’ logic that accepted hua min cheng su(forming beautiful customs by educating people), an ideology of education, for a political purpose in order to understand why Confucian states took education as an essential national task to be promoted.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ir insistence on school operation wa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belief related to the nature of humans and politics.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s’ theories of politics and education, hua min cheng su, a common idea of politics and education, cannot be attained without school that is the ground for exploring the principles of human affairs comprehending both the rulers and the ruled. Moreover, education is not a means of something else but always becomes the purpose by itself. To them, politics is an activity having the ideology of education as its self purpose and the purpose is achieved through education. Here, education is the premise and objective of politics.

      • KCI등재

        예기(『禮記』) 학기편(「學記」篇)의 경전(經典)으로서의 위상논쟁연구(位相論爭硏究)

        여영기 ( Young Ki Yeo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본 연구는, 「學記」의 경전으로서의 지위에 대한 상이한 평가들을 분석함으로써, 「학기」가 어떤 성격의 글인지, 그리고 경전으로서 어느 정도의 위상을 지닌 글로 이해되었는지를 규명해 본글이다. 『禮記』「學記」편은 유가의 학교와 교육에 대한 총체적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學敎論``의 성격을 갖는 논설이며, 이 점에서 여타의 유가의 경전과는 차별적 성격을 지닌다. 이는 송대 이후 학계의 공통적 견해였다. 그러나 「학기」에 대한 석량 왕씨의 부정적 평가가 명대 이후 예론의 정통적 해석의 기준이 된 『예기대전』「학기」편 머리주석이 되고, 이로 인해 「학기」의 경전으로서의 가치와 지위가 오랜 기간 학계의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석량 왕씨의 견해가 용인되고 반박되었던 일련의 역사적 과정이 보여주는 주요한 시사점은, 經典의 價値는 물론 經文의 훌륭함에 달려 있지만, 經典으로서의 位相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 경전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노력과 이해의 깊이에 따라 변화해 왔다는 점이다. 즉, 「大學」이 그 자체로 좋은 글이기도 하지만, 「대학」이 四書중 하나로 경전의 핵심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주희를 비롯한 송원대 학자들이 그 글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던 학문적 분투 덕분이었다. 이에 비해, 「학기」의 가치가 유가에게 널리 인식되기는 했지만 「대학」보다는 낮은 위상을 지닌 글로 인식된 것은, 「학기」가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은 글이어서 라기 보다, 「대학」에 비해서는 그 글의 眞義가 학문적으로 덜 탐색되었던 소치였다. 「학기」는 유가의 학교에 대한 논설이라는 점에서 교육사학 연구의 직접적인 관심이 되는 글이다. 따라서 「학기」의 가치와 경전으로서의 위상도 역시 오로지 과거의 평가에 의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결국 이 글에 대한 오늘날 교육사학 연구의 깊이와 수준에 달려있다 하겠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different assessments about Xue-ji`s status as a scripture, in terms of which it also attempts to examine what status Xue-ji is thought to have as a scripture. Xue-ji, a part of Li-ji, is Theory of School which makes possible a general discussion about school and education in Confucianism, and in this respect, it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other scriptures in Confucianism. This has been a common view since the Song Dynasty. As the negative valuation of Xue-ji by Mr. Wang, Seokryang has been the leading gloss to Hag-gi in Grand Code of Li-ji, which has been the standard for orthodox interpretation in Ye-ron since the Ming Dynasty, the status and values of Xue-ji as a scripture has long been an issue at stake on the ground of the view by Mr. Wang, Seokryang. The most important suggestion that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refuting Mr. Wang`s view throws is that the value of a scripture is not determined with its excellence but does rest on the depth of researchers` effort and understanding about it. That is, though Ta hsueh is a good text by itself, it has been due to the academic efforts that scholars in the Song and Yuan Dynasties including Chu Hsi made to theoretically characterize why the scripture was a good text that Ta hsueh has been a core text of the scriptures called Ssu Shu. On the other hand, though the values of Xue-ji have been recognized among Confucian scholars,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reason why Xue-ji has been viewed as a text with a low status is not that Xue-ji is a relatively low-level text, but that its true values have not been satisfactorily explored scholarly. Xue-ji itself was written from an educational interest. Consequently, the values of Xue-ji as a scripture is not determined by the estimation from the past, but does after all rest on the depth and level of the study by educational scholars who study it rec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