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이용 경험

        손서희 ( Son Seohe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7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2 No.1

        Objectives: While employed mothers` use of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has increased, the contexts that facilitate or hinder mothers` leave policy use have been under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thers` experiences of using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Method: Twenty-two mothers with young child under age thre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ll 22 mothers used maternity leave and 12 mothers used parental leave. Thre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different experiences of maternity leave, experiences of parental leave, and skepticism about the leave policy but with some hope that it will improve. Regarding the mothers` experiences of maternity leave, the mothers thought that maternity leave was easily accessible but some mothers still felt guilty for using maternity leave. They also prepared for their work gap before the leave to avoid harming their colleagues. Accessibility to parental leave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s (i.e., family-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supportive supervisor) and family contexts (i.e., availability of child care from family members, financial issues). The mothers perceived that while parental leave helps working mothers coordinate their family and work life, it is not as accessible as maternity leave in Korea. They suggested extending the maternity leave duration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parental leav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support is warranted to help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main in the workforce. This study also ha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employed mothers` work and family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사 및 공무원을 위한 한부모가족 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 한부모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 사례

        손서희(Seohee Son),고선강(Sun-Kang Koh),서찬란(Chanran Seo) 한국가족정책학회 2023 가족정책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교사 및 공무원 대상 한부모가족 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에서 운영해온 찾아가는 한부모가족 이해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결과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본 교육의 주요 대상인 교사 및 공무원 대상 인터뷰를 통해 교육 대상자의 교육 욕구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 및 공무원 대상 한부모가족 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개발하였다. 교사용 프로그램은 1회기 2시간으로 구성되었으며, ‘한부모가족 이해’, ‘한부모가족 관련 학교 현장 경험’, ‘한부모가족에게 유용한정보’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공무원용 프로그램은 1회기 2시간으로 구성되었으며, ‘한부모가족 이해’, ‘한부모가족 지원정책’, ‘한부모가족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부모가족이해교육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and government officers to understand singleparent families. Prior to the development, the report on the educational program to understand single-parent families provided by the Seoul Single-Parent Family Support Center and educational demands of teachers and government offic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programs for understanding single-parent families were developed for teachers and government officers. First, the two-hour program for teachers consisted of topics like understanding single-parent families, teachers’ experiences related to single-parent families, and useful policy information for single-parent families. Second, the two-hour program for government officers included topics such as understanding single-parent families, family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for single-parent families, and skills for a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single-parent families. Finally, effective program management strategies for teachers and government officer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서울시민의 공공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의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서희(Seohee Son),서찬란(Chanran Seo) 한국가족정책학회 2023 가족정책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공공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의향 및 공공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의향 관련 요인을 살펴보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만 20세-64세 서울시민 1,7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자료를 분석에활용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가사서비스 이용 경험을 살펴본 결과, 유자녀 가족일경우, 자녀의 연령이 12세 이하일 경우, 맞벌이인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민간 가사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58.4%가공공 가사지원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었다. 셋째, 유자녀 가족의 공공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의향 관련 요인을살펴본 결과,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맞벌이인 경우, 시간부족감을 높게경험할수록, 민간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에 공공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및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가족의 공공 가사지원서비스 이용 의향이 높으나, 가사노동 부담이 높은 집단 중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에 대한 서비스 접근성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Seoul citizens’ intention to use housekeeping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at intention. Using online survey data of 1,703 adults aged 20 to 64 years in Seoul,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ies with children,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dual-income families, and families with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use private housekeeping services. Second, 58.4% of participants had the intention to use housekeeping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ird, factors such as experience using private housekeeping services, hav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dual-income families, experience in time constraints, an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intention to use government-provided housekeeping services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support is warranted to help families with a lower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미친 단기종단적 영향과 조절요인

        손서희 ( Son Seohee ),성미애 ( Sung Miai ),유재언 ( Yoo Jaeeon ),이재림 ( Lee Jaerim ),장영은 ( Young Eun ),진미정 ( Chin Meeju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경제생활, 가족생활, 심리적 복지, 가족 및 사회관계망 변화에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파악하고, 가계경제 악화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 및 사회관계망 자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20년 5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친 온라인조사에 모두 참여한 561명(연령: 20-64세)을 연구대상으로 혼합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조사와 2차조사 사이에 가계경제가 악화된 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행복감과 가족탄력성이 낮아졌고,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졌다. 반면 가계경제가 유지되었거나 개선된 집단은 주관적 행복감이 오히려 향상되었다. 1차조사에서의 행복과 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2차조사 시점의 행복과 스트레스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 결과, 가계경제가 악화된 경우 행복감(2차조사)은 낮았고 스트레스(2차조사) 수준은 높았다. 또한 가계경제 악화와 행복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및 친구의 지원 두 가지 모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특히 가족탄력성은 가계경제가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였다. 그러나 가계경제 악화가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가계경제 악화 여부에 따른 심리적 측면에서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악화된 가계경제에 대한 지원과 함께 가족탄력성을 강화하는 가족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family economic conditions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amily life,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resources during COVID-19 depending on whether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amily have negatively been impacted by the pandemic or not. We also examined whether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rom friend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terio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61 Koreans (age: 20-64) at two time points in May 2020 (W1) and November 2020 (W2). Mixture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Respondents whose family economic situation deteriorated between W1 and W2 reported a decrease in happiness and family resilience, as well as an increase in perceived stress during the same period. In contrast, those whose economic conditions remained the same or improved experienced a slight increase in happiness. The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family was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a higher level of stress at W2 after controlling for happiness and stress at W1.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rom friend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economy and happiness, however the moderation effect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decline in family economy and stres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amilies with worsened economic situations tend to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although family resilience buffered the negative impact. Policies and family services need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and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whose economic situations have deteriorated during the crisis.

      • 코로나19 확산 이후 추석 명절 경험 및 명절 문화 변화 전망

        손서희(Seohee Son),서찬란(Chanran Seo)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상황에서 처음 맞이한 추석 명절 경험과 향후 명절 문화 변화 전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님 중 최소 한 분 이상 생존해 계시고 혼인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 55세 이하의 성인 1,1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6일부터 23일까지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와 평균차이 검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맞이한 추석은 이전 추석과 다른 모습이었다. 떨어져 생활하는 부모님 방문이 감소하고 가족이 집에서 휴식을 취한 경우가 증가하였다. 떨어져 생활하는 가족과 함께 명절을 보낸 경우에도 방문 시기 및 기간 조정, 모임 규모 축소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그동안의 명절에 대한 경험은 성별 및 연령대별, 가족관련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 연령대가 높을수록, 본인이나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 평등 정도가 높을수록 명절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차례 등 명절 문화의 간소화, 개인 중심의 시간 활용 증가 등과 같이 향후 명절 문화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구체적인 변화 방향에 대한 응답은 연구참여자의 연령대별, 가족 관련 특성에 따라 상이하였다. 앞으로의 명절 문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가족관계 강화와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문화 조성이 필요하며, 모든 가족구성원이 가족 간의 정을 느끼고 휴식을 경험할 수 있는 명절을 위한 가족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2020 Chuseok holiday experiences in the face of social confus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rospect of changes in the culture of holidays such as Chuseok and New Year’s Da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1,100 adults between 20 and 55 years who had ever been married and had at least one parent or parent-in-law.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one-way ANOVA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020 Chuseok holida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ffered from previous Chuseok holidays. The number of visits to parents living apart decreased, and cases of families staying at home increased. Even when spending time with parents living apart, there were changes, such as adjusting the visit time and duration, and reducing the size of gatherings.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holiday differed by gender, ag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equality within the family. Being male and older,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nd a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equality within the family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holiday. Third, a significant number of the participant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holiday culture. However, the responses to the specific directions of change differed by gender, age,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For the change of the holiday culture to flow in a positive dire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amily services that strengthen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and make an effort to foster a democratic and gender-equal family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