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전환기 동학·천도교의 위생인식

        성주현 ( Sung Joo-h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본고는 근대전환기 동학·천도교의 위생인식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1876년 개항을 계기로 한국사회를 경험한 서구인들은 당시 한국은 위생적으로 매우 뒤떨어진 사회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서구인뿐만 아니라 조선에 이주한 일본인도 마찬가지였다. 개항 이후 일본과 미국 등 근대문명을 시찰한 개화인물 역시 위생은 ‘문명국의 척도’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위생법 시행을 주장하는 한편 전염병 예방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힘써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위생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동학·천도교에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는 정신적 질병을 구제하는 할 뿐만 아니라 몸에 대한 질병의 치료 즉 위생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를 계승한 해월 최시형은 위생을 보다 생활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즉 해월 최시형은 묵은 밥은 새 밥에 섞지 말 것, 묵은 음식은 끓여 먹을 것, 코나 침을 아무데나 뱉지 말 것, 대변을 본 뒤에는 땅에 묻을 것, 지저분한 물을 아무데나 버리지 말 것 등 다섯 가지 위생규칙을 정하였다. 이는 당시 유행하였던 전염병 예방법이었다. 이를 실천함으로써 동학은 당시 유행하였던 ‘괴질’이라는 콜레라, 장티푸스 등의 전염병에서 자유로울 수가 있었다. 해월 최시형의 위생의식을 이어받은 의암 손병희는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통해 위생에 대한 근대적 인식을 보다 심화시켰다. 『만세보』를 통해 위생에 대한 인식을 계몽하였다. 「위생개론」을 비롯하여 「위생학」, 「위생법」을 천도교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재하였다. 손병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천도교인에게 위생 실행 조례를 반포하였고, 이를 실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동학 천도교의 위생의 본질은 신체의 질병보다는 정신적 질병을 구제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수운 최제우에서 의암 손병희에 이르기까지 천도교의 핵심인 주문과 청수를 통해 심신수양을 강조하였다. 건강한 신체에서 건강한 정신이 깃들 듯이 일상생활을 통한 위생을 토대로 정신적 수양으로 이어지는 인식이 동학 천도교의 위생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perception of hygiene in Donghak (Eastern Learning) and Cheondogyo (Religion of the Heavenly Wa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of Korea. Westerners who first experienced Korean society after its opening in 1876 recognized it as one that was very far behind in terms of hygienic conditions. This perception was shared not only among the Westerners but also the Japanese immigrants to Joseon. After the port-opening of the nation, an enlightened figure who visited modern civilization such as Japan and the U.S. also felt that hygiene was a measure of a civilized country. Accordingly, he stress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active effort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while insisting on implementing the sanitary law. A new perception of hygiene has also come into being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Not only did Su-un Choe Je-u (水雲 崔濟愚), who founded Donghak, relieve mental illness, but also recognized the treatment of diseases, or hygiene, as important. Haewol Choe Si-hyeong (海月 崔時亨), who succeeded this, focused on making hygiene more viable. In other words, Choe Si-hyeong set the five rules of hygiene: “Do not mix old rice with new rice; cook old food; don’t spit saliva or blow your nose anywhere; after emptying the bowels, bury the feces under the ground; and don’t throw away dirty water anywhere.” These were the poplar ways of preventing contagious diseases at that time. By practicing this, Donghak was able to free itself from the epidemic of cholera, typhoid and other disease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Uiam Son Byong-hi (義庵 孫秉熙), who inherited Haewol Choe Si-hyeong’s hygiene rituals, deepened his awareness of modern hygiene through his exile in Japan. He enlightened his perception of hygiene through a Korean language newspaper ‘Mansebo (萬歲報)’ which dealt with such series of articles as “A General Introduction to Hygiene” and “Hygiene Law” as well as “Hygiology,” thus making it easier for not only the believers of Cheondogyo but also the general public to get access to hygiene through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this, Son Byong-hi also issued a sanitary practice ordinance to the believers of Cheondogyo and let them put it into practice. But the essence of the hygiene of Donghak and Cheondogyo was to relieve mental illness rather than physical diseases. Therefore, from Choe Je-u to Son Byong-hi, the mind-body training based on incantations and hearings, as the core practice of Cheondogyo, was emphasized. It can be said that the perception leading to mental training based on hygiene in the daily life is a recognition of hygiene in Donghak and Cheondogy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총독부 관료의 구술기록을 통해 본 참정권 문제

        성주현(Sung, Joo-Hyun)(成周鉉)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8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issue of the right to vote in the late 1930s in Korea and how the right to vote was perceived through dictation by the Governor-General’s Bureaucrats. The issue of suffrage in the Korean colony was raised while referring to the Japanese government’s colonial policy based on the principle of “extension of remote areas” immediately after the 3.1 movement, but the Japanese government maintained the early trend of the Korean people’s livelihood as they did not reach a certain level. The suffrage issue, which had been at rest since then, reappeared after the Manchuria Incident in 1931. The issue of the right to vote was raised after careful discussion of the draft system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People’s Coalition for Participation, the Jochu, and the Koshien Ministry launched a campaign for the draft system and linked it with the right to vote for the right to vote in the anti-parceleratory payoff of the draft system. Nevertheless, Japan’s position is still premature and is reluctant to grant suffrage. The claim for the deployment of the draft system was raised again as the front line was expanded in the 1937 Sino-Japanese War, and the issue of the right to vote was raised again.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Korean governor’s office tried to use the issue of suffrage as a means of mobilizing war. On the other hand, colonial bureaucrats did not have a positive view of the suffrage issue. It predicted that there will be a natural suffrage issue based on the slogan of equality and extension of the remote area. Some people were negative about granting the right to vote for North Koreans, but there was no doubt that the issue of the right to vote would be solved by itself if the draft system were put into force. However, the draft system was actually introduced through the volunteer system, but the issue of suffrage remains a problem. This was due to the Japanese government’s colonial policy of separating the issue of military service, namely conscription and suffrage. The draft system will be implemented, but the right to vote will not be granted. The Japanese government maintained its position that it was too early to give up the right to vote because of the low popularity of North Korea. However, colonial official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have taken seriously the concern that if they grant the right to vote, they will lose the casting boat.In these points, we can see that although the “democracy” was mentioned on the surface, the major factor was the “casting boat.” 本稿は、1930年代後半の植民地朝鮮で展開された参政権の問題とその延 長線上から続く徵兵制について朝鮮総督府官僚の口述を介して参政権につい てどのように認識したのか調べてみた。 植民地朝鮮で参政権問題は3.1運動直後、日本政府の「內地延長主義」 を踏まえた植民政策に言及しながら提起されたが、日本政府は、朝鮮の民度 がまだ一定の水準に達していなかったので、時機尙早という基調を一貫して維 持した。以降小康状態にあった参政権問題は、1931年満州事変に展示システ ム基形成され、再び台頭した。慎重に朝鮮人の徴兵制についての議論が提 起され参政権問題は、新たに浮上され國民協會、時中會、甲子俱樂部は徵 兵制要望運動を展開しながら、これを参政権と連携させたいた、すなわち徴兵 制の反對給付に参政権を要求したものだった。それにもかかわらず、日本の立 場はまだ時期尚早を打ち出して参政権付与に消極的に対応している。1937年 日中戦争で戦線が拡大されることによって徴兵制実施を要求する主張が再び 提起され、このかみ合っ参政権問題も再び提起された。日本政府や朝鮮総督 府は、参政権の問題を事実上の戦争動員の手段として利用しようとした。 一方、参政権問題についての植民地官僚は、肯定的な認識もなかった。 一視同仁と內地延長主義をスローガンにする自然参政権問題が発生するものと見た。一部では、朝鮮人の参政権付与は否定的だったが、徴兵制が施行さ れれば参政権問題は自然に解決されると考えもなくはなかった。しかしながら実 際に志願兵制度を経て徴兵制が実施されたが参政権問題は依然として課題と して残った。これは、日本政府の兵役義務つまり徴兵制と参政権の問題を徹底 的に分離する植民地政策をとるたからであった。徴兵制は実施するが参政権は 付与しないというものである。 日本政府は、参政権を付与していない本質的な原因は、朝鮮の民度が低 いということで、まだ時期尚早という立場を固守した。しかしながら植民地官僚や 日本政府は参政権を付与した場合、「キャスティングボートを奪われることができ るという憂慮」を真剣に受け入れた。これらの点は、これまで参政権問題は、「民 度」は表面的に掲げたが、実質的には「キャスティングボート」が主要な要因で あった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る。

      • 건설·시설 안전산업 규제 애로 발굴 및 해소 사례

        성주현 ( Seong Joo-hyun ),박상필 ( Park Sang-pil ),서정은 ( Seo Jeong-eun ),남우석 ( Nam Woo-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정부는 코로나19 펜더믹 및 경제 침체로 인한 기업의 활력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의 동반성장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동반성장 정책 중에 공공기관의 기업성장응답센터 설치를 통한 기업의 규제 애로 발굴 및 해소는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상생·협력 정책이다. 지난 12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건설안전을 포함하는 全 생애주기 시설물 안전관리 전문기관으로 거듭난 국토안전관리원도 기업성장응답센터를 신설하여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놓인 건설ㆍ시설 안전산업 기업의 활력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규제 애로 해소에 나서고 있다.

      • 건설·시설 안전산업 규제 애로 발굴 및 해소 사례

        성주현 ( Seong Joo-hyun ),박상필 ( Park Sang-pil ),서정은 ( Seo Jeong-eun ),남우석 ( Nam Woo-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정부는 코로나19 펜더믹 및 경제 침체로 인한 기업의 활력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의 동반성장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동반성장 정책 중에 공공기관의 기업성장응답센터 설치를 통한 기업의 규제 애로 발굴 및 해소는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상생·협력 정책이다. 지난 12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건설안전을 포함하는 全 생애주기 시설물 안전관리 전문기관으로 거듭난 국토안전관리원도 기업성장응답센터를 신설하여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놓인 건설ㆍ시설 안전산업 기업의 활력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규제 애로 해소에 나서고 있다.

      • 건설·시설 안전산업 규제 애로 발굴 및 해소 사례

        성주현 ( Seong Joo-hyun ),박상필 ( Park Sang-pil ),서정은 ( Seo Jeong-eun ),남우석 ( Nam Woo-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정부는 코로나19 펜더믹 및 경제 침체로 인한 기업의 활력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의 동반성장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동반성장 정책 중에 공공기관의 기업성장응답센터 설치를 통한 기업의 규제 애로 발굴 및 해소는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상생·협력 정책이다. 지난 12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건설안전을 포함하는 全 생애주기 시설물 안전관리 전문기관으로 거듭난 국토안전관리원도 기업성장응답센터를 신설하여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놓인 건설ㆍ시설 안전산업 기업의 활력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규제 애로 해소에 나서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