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덕성교육의 이해적 접근

        김상섭 ( Sang Sup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2

        이 논문에서 필자는 덕성교육으로서 도덕교육을 논의하는 두 관점 혹은 입장을 검토하고자 한다. 하나가 비-도덕적 학습자를 도덕적 존재로 형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형성적`` 접근이라면, 다른 하나는 덕성교육을 도덕적 학습자의 도덕적 경험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이해적`` 접근이다. 전자의 입장은 예컨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배경으로 하는 덕목교육론에서 예시적으로 그려질 수 있다. 그것은 덕성교육을 통해 우리가 희망하는 덕목을 형성하는데 논의를 집중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그 모델에 따르면, 덕목교육이라는 실천 혹은 그것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형성되어야 할 덕목발휘의 바깥에 놓이게 된다. 그에 반해 덕성교육이라는 실천의 구성과 원리를 보다 먼저 해석하려고 드는 이해적 접근은 칸트의 덕성교육론에서 예시될 수 있다. 칸트에 따르면, 덕성교육은 학습자의 도덕성, 엄밀히 말해 도덕적 자발성을 전제로 하여 출발하는 교육실천으로 이해된다. 그러한 이해는 덕성 자체를 형성하려고 하는 덕성교육에 대해 분명한 한계를 설정하게 된다. 그 대신에 덕성교육은 도덕적 자발성의 자립화, 다시 말하면 도덕적 성숙과 완성에 도달하도록 돕고 이끄는 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덕성교육이라는 구체적인 실천은 말하자면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도덕적 자발성에 자립적인 형태를 부여하도록 돕고 이끄는 실천으로 자리매김 된다.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wo theoretical models or perspectives to understand character education. One of them is the ``formative``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eager to transform the non-moral subject into a moral one, whereas the other tries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haracter education as moral experience which I am willing to call an ``understanding`` approach. The standpoint of the one seems mostly to be represented by the theories of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virtue ethics or the caring ethics, It is to call a ``formative`` approach because it tries to form the morality itself or to mold moral persons through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at approach, the educational practice as well as the subject who takes part in that practice are located outside moral criteria. It enables us to grasp the common structure of cognitive, moral and aesthetical educations as ``internalization`` on the one hand; it can be estimated as a problematic position in so far as it regards the character education as a pre- or non-moral practice which lies outside the morality on the other hand. Therefore it deserves to be criticized on account of the failur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ractice named character education. The second approach which I intended to maintain and compare with the first makes efforts to understand the constitutive and regulative principles of the educational practice called character education. That is definitely to find in Kant`s moral philosophy. According to Kant, character education can not be regarded as a practice to form moral subjects or morality itself, because it can start only on condition that the moral spontaneity of the subjects is presupposed. When character education accepts that condition as its own limits, it can be identified with a practice which helps the subjects to realize their own morality. To put it shortly, the subjects who take part in character education are already moral ones. They are moral beings, except that they have not yet arrived at such a maturity as to exercise their own autonomy independently. Therefore concrete practices in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such that can help the participants to give mature forms to their own morality. With a word, character education is a moral practice in itself, in the sense that it leads the presupposed moral spontaneity of the participants to its maturity.

      • KCI등재
      • 현가장치 함수모델을 이용한 차량동역학 해석

        김상섭(Sang-sup Kim),정홍규(Hong-kyu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1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5_2

        This paper presents a vehicle dynamic modeling method for five body lumped parameter model, that includes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s more accurately. The relative displacement and orientation of a wheel with respect to car body are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heel. A unique representation of the cartesian relative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the wheel is derived using the suspension displacement function. The system equations of motion for functional suspension model are systematically derived by using velocity transformation method. The comparison of the simulation results between multibody and functional model of suspension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proposal modeling method.<br/>

      • KCI등재

        “인간성이라는 굽은 목재”와 인간의 인간화 문제

        김상섭 ( Sang Sup Kim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칸트의 교육학은, 교육을 “인간의 인간화”로 정의하게 될 때, 교육을 통해 형성되 어야 할 인간을 다시금 교육의 전제조건으로 삼는 순환문제에 빠지게 되는 것 같다.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까닭은 칸트철학의 핵심개념인 자율성을 곧바로 교육원리로 수용하려고 들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외부적인 조력”에 해당되는 교육실천은 불가능하거나 불필요하게 된다. 왜냐하면 모든 교육적 조력은 기껏해야 자율성의 자발적 발휘라는 본질적인 교육을 준비하거나 감각적으로 유도하는 예비활동으로 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필자는 “이성의 사실”에서 발견되는 두 계기, 즉 이성의 자발성과 이성의 자립성에 주목하여 칸트의 교육개념을 자기교육의 자립화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칸트의 교육개념에 들어있다고 여겨지는 순환문제를 벗어날 수 있는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칸트의 도덕철학에 따르면, 도덕법칙에 대한 의식 혹은 의무의식은 순수한 이성 이 실천적이라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한 이성의 자기 활동성, 즉 이성”의” 사실은 또한 동시에 자기 자신을 자유로운 행위자로 의식하고 지성계의 일원으로서 의지의 자율성과 도덕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이성”을 위한” 사실로 간주될 수 있다. 이처럼 이성의 사실을 의무의식에 들어있는 이성의 자발성(자기 활동성)과 그러한 가능성의 실현인 이성의 자립화로 구분해서 수용하게 될 때, 이미 도덕적인 존재인 학습자를 다시금 도덕화하려고 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도덕적 존재라는 이성의 자기 활동성은 교육이 가능한 근거인 반면에, 도덕화 혹은 도덕적 자립화는 교육의 필요한 근거이자 실천원리이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필자는 칸트의 교육개념인 인간의 인간화를 이성의 자기 활동성에 기반을 둔 이성의 자립화로 파악하고자 한다. Bekanntermaßen hat Kant Erziehung als “Menschwerdung des Menschen” definiert. In seiner Definition ist leider ein unubersehbares Problem enthalten, weil Erziehung schon den Menschen vorauszusetzen scheint, der aber nur infolge der Erziehung zu erwarten ist. Deswegen haven viele Padagogen sich damit beschaftigt, solch eine Zirkelhaftigkeit in Kants Definition zu bekampfen bzw. zu beseitigen. Dennoch haben nicht geringe Theoretiker ein pessimistisches Resultat erreicht, namlich dass sie es ganz unmoglich finden, auf Grund der Kantischen Philosophie eine rationale Theorie der Erziehung zu einrichten, oder dass sie sich dazu gezwungen finden, Kants Begriff “Erziehung” als ledichlich eine “Vorbereitung” fur die eigentliche Bildung, namlich Moralisierung oder eine “sinnliche Hinleitung” zur Moralisierung wahrzunehmen. Das ist aber meiner Ansicht nach eine Fehlinterpretation, die hauptsachlich darin liegt, Kants moralphilosophischen Begriff Autonomie unmittelbar ins padagogische Prinzip zu ubersetzen.

      • KCI등재

        쉴러의 미적 경험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상섭 ( Sang Sup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1

        이 논문은 쉴러의 미학을 중심으로 하여 미적 경험, 즉 미적 감동과 판단이 어떤 의미로 그 자체로 인간의 도덕화로 해석되고 이해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아름다움(미)에 대한 객관적 개념을 모색하는 쉴러의 객관주의 미학의 의도와 결과를 논의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아름다움은 판단주체의 무관심과 무개념 그리고 인식능력 간의 조화로운 상호관계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현상으로 드러난 자유, 즉 자율성의 현상적 승인이라는 것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그것을 토대로 아름다움의 경험은 궁극적으로 경험대상을 인격으로 지각하는 것이라는 주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그러한 분석에 입각하여 미적 경험은 실천이성의 새로운 경험가능성으로 해석될 것이다. 즉, 미적 경험에는 실천이성의 또 하나의 기능, 즉 실천이성의 규제적인 사용이 요구된다는 것을 밝히게 될 것이다. 나아가 실천이성의 규제적인 사용은 자유이념의 구성적인 사용과는 구분되는, 또 하나의 인간의 자기경험이라는 것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적 경험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도덕교육론적인 의미와 의의를 분석하고 정리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미적 경험은 칸트적인 의미의 도덕성의 실천에 앞설 뿐만 아니라 또한 어느 정도로 그것을 넘어서는 의미의 도덕교육, 즉 인간성을 총체적으로 형성하는 경험이라는 주장에 도달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Schillers aesthetical theories, especially with his concepts such as aesthetical experience and aesthetical freedom in order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aesthetical experience on moral education. Here will be discussed first of all the objective concept of the beauty. By Kant the beauty lies in the disinterest or unintentional harmony of mental faculties. On the contrary Schiller understands the beauty as a form of freedom which appears in the aesthetic form. Such an interpretation of the beauty leads to the interpretation that a thing can be perceived not only as a thing as usual, but also as a person or a character. Aesthetical experience means that we can experience ourselves and our environment in a special form, especially compared with our usual experiences. The core of an aesthetical experience is here to explain as a regulative use of our practical reason of which the constitutive use is to find in the moral practice. Conceiving a beautiful thing as freedom appeared in the phenomenon, we experience our practical reason in a different form than in a moral practice. This is the very ground why we can estimate the aesthetical experience as a form of moral education. Aesthetical experience is to understand as a specific and unique form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leads us to the experience of the regulative use of practical reason on the one hand, and because it makes us to hope the total realization of our whole self.

      •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 영향을 포함하는 함수형 현가장치에 의한 차량동역학 모델 개발

        김상섭(Sang sup Kim),박평화(Pyeong hwa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This paper presents an enhanced modeling method for functional suspension model (FSM). In the convention FSM the relative displacements and orientation of a wheel with respect to car body are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parallel stroke and right and left wheel. Even for independent suspensions the wheel alignment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or ride and roll stroke of the wheel due to roll coupling effects. In this paper a new functional suspension model is proposed as kinematic describing functions that include roll correction terms. The equations of motion for 5 body full vehicle dynamics model are systematically derived using velocity transformation method in ODE form. The comparison of the dynamic simulation results of ADAMS/Car model and the current FSM show close correlation and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