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공공공간 유형별 사례를 중심으로-

        강미나 ( Mi Na Kang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쾌적한 도시 공공공간 계획을 위해 역사와 문화를 고려하여 공간의 질적 향상을 의미하는 어메니티에 대해 고찰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도시 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공공간인 공원, 광장, 도로, 친수 공간의 네 가지 유형으로 한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공공간 유형별 특성분류에 의한 디자인 활성화 항목을 도출하고 평가항목을 통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공공공간의 어메니티 특성은 위생.보건성, 환경성, 편리성, 심미성,역사.문화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공공간에서 어메니티 특성은 역사.문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생.보건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위생.보건성 측면에서 자연 환경조건을 고려한 공공공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동반되어야 한다. 3)환경성 측면에서 무분별한 조형물 및 시설물의 설치를 제한하고 총체적인 시설물의 통합적 계획을 통해 환경과 조화된 계획을 하여야 하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재료사용 및 도시와 녹지와의 연결을 통해 공간의 질을 높여야 한다. 4)편리성 측면에서 공간의 혼잡도를 낮추고 주변 편의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한 계획과 사후관리방안이 필요하다. 5)역사.문화성 측면에서 지나친 재료의 혼용을 지양하고 경관특성을 반영한 공공시설물과 공간의 통합적 계획을 통해 주변 환경과 조화로움이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공간과 어메니티와의 접점을 찾고, 사례분석을 통해 보다 나은 환경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후 평가지표개발 및 선호도조사와 같은 후속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meniti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rovement of the space quality, for pleasant urban public space planning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 design for urban amenity revitalization through case analyses. The research subject is confined to the four types - parks, squares, thoroughfares and waterfront areas - that are proposed in the public space design guidelines of ‘Design Seoul’. The design revitalization ite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types and the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valuation items.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1) The amen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are classified into hygiene, environment, convenience, aesthetics, and history and culture. The amen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whereas the results regarding hygiene were lowest. 2) Public space planning should be done in consideration of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in terms of hygiene, and constant maintenance must come along with it to maintain amenities. 3)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ere should be restriction on imprudent installation of artwork and equipment, planning should harmonize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integrated planning of the whole equipment, and the quality of space must be enhanced by using material with sustainability and connecting cities with greens. 4) In the perspective of convenience, there is a need for plans which reduce the congestion of space and consider accessibility to convenient facilities in the vicinity, and for post-maintenance plans. 5) In the aspect of history and culture, with excessive mix of material avoided, public facilities which reflec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should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integrated planning of spac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nterface between public space and amenitie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better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analysis. With later studies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preference survey, we need researches which can suggest the more specific improvement of design.

      • KCI등재

        업무용 건축물 파사드의 이미지 분석을 위한 연구

        김지수(주저자) ( Ji Soo Kim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6

        업무용 건축물은 도심 환경의 중요 요소로써,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영향을준다. 또한, 업무용 건축물은 대체로 대형 건축물의 비중이 크고 도심 속에서 랜드마크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업무용 건축물이 참여형건축물의 특성을 보임에 따라 도심 환경에서 업무용 건축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건축물의 파사드는 건축물에 대한 인식이 가장 먼저 영향을 미치므로 건축물 및 도심 환경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업무용 건축물 파사드에 대한이미지 평가를 통해 업무용 건축물의 파사드에 대한 의식을 분석하여 도심및 건축환경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 잡지 두 곳에서 선정한 총 25개의 건축물을 활용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대상 건축물을 표현할 수 있는 16쌍의 상반되는 의미의 이미지 형용사를 빈도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다. 대상 건축물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평가자들은 상반되는 의미를 가지는 이미지 형용사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쪽을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건축물끼리 묶어 총 6가지의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사람들이 인식하는 형태별 업무용 건축물의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Office buildings have a strong influence on people as major elements in urban environments. Also office buildings have a lot of large buildings and they act as landmarks. Recently, participants of office buildings are extended because of diverse function of the buildings so that the role of office buildings are getting larger. In addition, building facade has important roles that it is the first recognized part in building and it reflects images of corpor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images of office building facade that are collected from Korean architecture magazines .Space Magazine and AN News. For image analysis, this paper selects 16 pairs of image adjectives from background studies and evaluates the office buildings based on the adjectives that have conflict meanings. In addition, this paper classifies office buildings as horizontal box, vertical box, square, box combination, curved and diagonal emphasis. Based on the classified building type, this study utilizes survey as a means of comparison between building types so that we can notice the image differences.

      • KCI등재

        논문 : 노인의 연령에 따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의 이용 만족도 평가

        이송현(주저자) ( Song Hyun Lee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다양성이 요구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지역 노인 복지의 중심역할을 담당하는 노인복지관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기관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노인복지관이 노인세대의 다양한 욕구수준에 부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을 학습, 예능, 건강, 편의시설로 분류하고, 노인의 연령에 따른 만족도 평가를 통하여 이용관점의 만족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7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노인의 연령에 따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에대한 만족도는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는 여가시설로는 60대와 70대는 학습시설, 80대는 예능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의 공간특성에 대한 만족도는 친밀성, 쾌적성, 기능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의 공간특성이 노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60대 노인의 경우 쾌적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70대의 노인은 친밀성, 80대의 노인은 지원성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emand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grows rapidly with a pivotal role in community welfare of the seniors as the leading service agencies that meet various needs of the seniors.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s satisfac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s in accordance with various ages of the seniors to provide a space that corresponds a various needs of the elder generation. The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on 7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ing overall satisfaction about senior welfare center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the eighties. Researching the most satisfying facilities, sixties and seventies were satisfied with an education facility, the eighties were satisfied with entertainment facilities. Second, satisfaction ab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appears intimacy, comfort and functionality were higher. Thir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nior welfare centers was impacting on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sixties, the comf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nior of seventies was the intimacy, senior of eighties was the most influential about affordance.

      • KCI등재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관에 대한 만족도 연구

        이송현(주저자) ( Song Hyun Lee ),어성신(공동저자) ( Sung Sin Eo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3

        지속적인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역 내 노인복지관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공간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과거세대에 비해 높은 학력수준, 경제능력의 향상,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됨에 따라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양질의 서비스를 추구하는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연륜적 특성 지표인 라이프스타일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관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7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군집분석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독립활동형, 보호활동형, 적극도전형, 소극도전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관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호활동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극도전형, 적극도전형, 독립활동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노인복지관의 공간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독립활동형과 소극도전형은 친밀성, 보호활동형은 쾌적성, 적극도전형은 편의성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With the continuous rise of elderly population and rapid progression of aging in our society, greater emphasis i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local seniors welfare centers as representative service space that meets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tendency among current users to seek high-quality service as their educational level, economic ability and lifestyle have changed for the better compared to past gener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according to life-style type of the elderly, using a lifestyle measurement tool which incorporates indicators of gerontographic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sers of seven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lifestyle were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activity type, protective activity type, active challenge type, and passive challenge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seniors welfare centers by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is highest for the protective activity type followed by the passive challenge type, the active challenge type, and the independent activity type. Third, upon examining the effec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welfare centers on the satisfaction of elderly users by type of lifestyle,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activity type and the passive challenge type users are most influenced by intimacy, the protective activity type users by comfort, and the active challenge type users by convenience.

      • KCI등재

        중요도평가를 통한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 계획요소 개발

        임은영(주저자) ( Eun Young Lim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3

        2000년 공공도서관에 대한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자료 전용공간이 대다수의 도서관에 마련되었지만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이용자의 다양한 행위를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의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문헌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지털 세대 이용자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정보활동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요도 평가를 위하여 1차적으로 각 기관의 도서관 기준 및 평가지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50개의 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를 이용자 150명에게 설문조사 하였다. 중요도의 평균값 이상 도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슷한 성격의 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요인별 공간계획요소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계획적요인, 디자인적요인, 심리적요인, 기술적요인 총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요인별 디지털공간계획요소들을 평가도구로 하여 차후 공공도서관 공간평가와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구체적인 공간계획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tri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public library space to meet the new needs of the users in digital generation by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on factors in planning the digital space of public libraries. In 2000, a separate space for digital materials has been prepared at the most of the libraries as a part of informatiz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provide a number of different needs of the users due to the identical design of all the libraries. For the prioritization, 50 factors have been deducted by review of preceding studies, evaluation factors and criteria of library of each institution. Factori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actors with the importance which was higher than average. Als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with similar properties were understood to categorize the factors in space planning by each factor. Based on these factors in planning the digital space, further space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y and user satisfaction survey could be followed to provide a fundamental basis for the specific space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