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통계청의 적정조사인력 산출 연구 - 표준업무량 산정을 중심으로 -

        홍훈식,최봉호,신명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3

        All the field work for various statistical surveys on households, farms, crop land, catchment of fishes and establishments is done by workforce at regional statistical offices of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There are found to be some inherent problems such as non-equal distribution of workforce among regional offices as well as among different kinds of statistical surveys. Thus, this paper aims to show the optimal size of workforce across regional offices as well as across different kinds of statistical survey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helpful for the reducement of conflicts among regional offices as well as among interviewers working in different kinds of statistical surveys. The workload for each interviewers was measured by the input time they have spent for data collection as well as for administrative work. In the meantime, the degree of difficulties each interviewers is facing during data collection wa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is paper such as the distance to sampled respondents' locations, the number of survey items and the degree of cooperation extended by respondents. 현재 통계청의 지역 통계조직인 지방 통계청의 직원들은 가구, 농가, 농지, 어장, 사업체 등을 대상으로 통계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통계조사와 지역별 특성 차이로 업무량이 동등하지 못하여 직원들을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통계청의 통계조사관에 대한 직무 표준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조사준비단계부터 결과분석단계까지 조사업무에 투입된 시간과 조사외적으로 행정상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투입된 시간을 포함하여 직원들의 전체 업무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지역별로 특이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대상처와의 거리, 조사 대상이 되는 품목수, 응답자의 협조도 등을 고려하였다.

      • 집단참여가 사적,공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유홍준,홍훈식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에서 공적신뢰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개인의 사적신뢰와 공정성 인지라는 매개변인을 통한 사회단체 참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우리 사회의 사적 연결망이 강한 특성을 갖으며, 신뢰와의 관계도 서구사회와는 다를 것이라는 연구관심을 반영한다. 연구모델에 따라, 서구사회에서 발전한 가설 4개에 덧붙여서 `공정성 인지(認知)`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한 총 7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는 서구 학자들이 주장하는 사회단체참여와 신뢰와의 관계가 그대로 한국사회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한 시도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서울대학교 발전연구소`가 2003년에 수집한 「국민의 가치관과 의식에 대한 조사」인데, 전국의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한 최종 표본은 1,200 사례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한 통계기법은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 공변량 구조분석 등이다. 자료의 분석 결과. 우리사회는 서구사회와는 달리 공식집단에의 참여가 사회에서 공적신뢰를 높이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사람들은 사적신뢰를 매개로 하여 공정성인지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통해서 공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우리사회에서 공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요인은 단체참여로 인한 사적신뢰의 증감과 개인의 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지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