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3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중 제6차 교육과정상의 화학 문항에 대한 우리 나라 중학생의 응답 분석

        홍미영,전경문,Hong, Mi Yeong,Jeon, Gyeong Mun 대한화학회 2002 대한화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1999년에 국제적으로 실시된 제3차 수학${\cdot}$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중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화학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총 143개 문항 가운데 ''물질의 분류'', ''물질의 구조'', ''화학 반응과 변환'', ''물리적 성질과 변화'', ''열과 온도'', ''원자의 구성 입자'', ''오염'', ''과학적 방법'', ''과학적 측정'' 영역에 속하는 31문항을 우리 나라 제 6차 교육과정상의 화학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정답률을 분석하여, 제6차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emistry achievement of the Korean 8th grade students i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TIMSS-R), which was administered internationally in 1999,was analyzed. By the 6th national curriculum, 31 chemistry problems were selected from the categories of 'classification of matter', 'structure of matter', 'chemical reactivity and transformations', 'physical properties and physical changes of matter', 'heat and temperature', 'subatomic particles', 'pollution', 'scientific method',and 'scientific measurements' among the total 143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centage of cor-rectness on each problem, the weak and strong points of the 6th curriculum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are suggested.

      • KCI등재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 개념에 대한 고찰

        홍미영,전경문,Hong, Mi-Young,Jeon, Kyung-Moon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차 과학과 교육과정(화학 영역)에서 물질의 의미, 입자 개념, 물질의 상태등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물질'이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material, matter, substance 등 서로 다른 의미로 혼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순물질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물질의 입자성에 대해서는 9학년에서 원자 개념, 10학년에서 이온 개념을 도입하기 이전에, 7학년에서 물질의 기본 단위로 분자 개념을 도입한다. 학생들이 물질의 구조에 대해 통합적으로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입자 개념의 제시 순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상태 변화에서는 물질 보존이나 가역성 등 주요 개념들을 교육 과정에서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입자적 관점에서의 설명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물질 개념은 화학에서 기본이 되므로, 이를 명확히 가르칠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chemistry domain) regarding the meanings of ‘mulgil' (Korean),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the state of matter. It was found that the term of ‘mulgil' was being used vaguely as representing material, matter, or substance without clear definition. This was problematic by reason that it could hinder students from having the concept of substance. Regarding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molecule was introduced as a basic unit of matter at grade 7, prior to atom and ion, which were introduced at grade 9 and 10,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sequence of each particle concept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consistent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matter. In the case of change of state, key concepts such as conservation of matter or reversibility were omit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and explanations based on various aspects of particles were somewhat insufficient. The concept of matter is fundamental to chemistry, and we must recognize it as a concept that needs to be taught clearly.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vis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제7차 고등학교 화학 선택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홍미영,Hong, Mi-Yeong 대한화학회 2006 대한화학회지 Vol.50 No.5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하여 제7차 화학 심화선택 과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차기 화학 선택 교육과정의 개정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108개교의 화학 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설문 조사에 응답한 교사의 과반수가 현행 화학 I과 화학 II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화학Ⅰ에서는 기본 개념들을 다루지 않음으로 인해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화학II에서는 시수에 비하여 학습량이 많다는 점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화학II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 교육과정 개정 요구와 관련해서는 화학Ⅰ의 내용을 개념 중심으로 구성하자는 응답 비율이 현행처럼 주제 중심으로 하자는 응답 비율보다 다소 높았다. 차기 교육과정의 화학Ⅰ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화학적 개념을 추가하되 정량적으로 접근하거나 개념의 수준을 높이는 것은 지양하자는 의견이 많았고, 화학II의 경우에는 내용 일부를 화학I로 옮겨서 학습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에 대한 원인과 화학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을 포함한 과학 교육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emistry I & Chemistry II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demands on the revision of curriculum. A nationwide survey was administered to obtain the responses from 108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thought the current curriculum of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needed revising. As the results, a major drawback of Chemistry I was a difficulty in explaining phenomena due to absence of basic concepts, and that of Chemistry II was an excess of the contents for high school science courses. Unfortunately, it was found out that inquiry activities existed only in name, especially in case of Chemistry II. Regarding the manner of content organization of Chemistry I in new curriculum, demand on a concept-based approach outnumbered theme-based approach. For revising Chemistry,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demanded basic chemistry concepts to be introduced, without supplementation of quantitative approaches and deepening level of concepts. An urgent request for Chemistry II was reducing content by shifting relevant concepts to Chemistry I.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hemistry education including revising curriculum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홍미영,강남화,김주아,Hong, Mi-Young,Kang, Nam-Hwa,Kim, Joo-Ah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5

        이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고등학교 과학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은 전공별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주는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학과의 경우에는 수학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화학과와 생물학과의 경우에는 영어 능력과 기초 과학 지식이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생과 과학 교사 두 집단 모두 기초 과학 지식과 수학 능력이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과학교육 개선 방안으로, 대학생들은 탐구 기회 확대, 과학교사들은 선택과목의 필수 이수 확대라고 각각 응답하여 두 집단 간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ollege student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sing a survey creat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college science major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ated various factors of high school learning that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cience learning.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erceptions differed by college major: the physics major students considered math proficiency and logical thinking skills as the important factors; chemistry major students and biology major students considered English proficiency and basic scientific knowledg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oth college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emphasized basic science knowledge and math proficiency.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so found in that the students perceived more need to learn about experimentation than the teachers whereas the teachers had a priority in increasing advanced science content.

      • SCOPUSKCI등재

        고등학교 화학 Ⅰ교과서의 STS 교육 내용 및 구성 방식 개선 방안

        홍미영,Hong, Mi Young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되어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중인 화학 I교과서에서 과학-기술-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이하 STS) 내용 및 활동 유형, 제시 방식 등을 검토하고, 이 결과을 외국의 대표적인 고등학생용 STS 자료를 분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장차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될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에서 적절한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 중 임의로 5종을 선택하여 STS내용, STS 교수 학습 활동 유형, STS 내용 제시 양식, STS 내용의 포함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의 STS 프로그램 중에서 Chemistry in the Community,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를 선택하여 구성 방식의 특징,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주제 및 우리 나라 화학 I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학습 내용적인 살펴보면,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화학 I교과서에서는 주로 '사회적 문제','과학의 응용성', '과학의 다차원성'만 다루고 있고, '과학에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없으므로 다양한 측면의 STS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었다. 반면, 외국 교재에서는 과학${\cdot}$기술과 관련된 직업을 소개하는 난이 독립적으로 되어 있거나 실제로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지역에 대한 사례 조사, 역할 놀이, 다양한 의사 결정 활동 등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외국 STS 교재에 비하여 우리나라 화학 I교과서는 설명 위주였으며, 조사와 토론 활동이 대부분이므로, 학생 활동이 상당히 빈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비하여 STS 내용 포함 비율은 높아졌으며, 책마다 STS에 대하여 따로 소개하고 있어서 우리 나라의 화학 교과서가 STS적인 성격을 띠려고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화학 I교과서에서의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r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published by the 6th curriculum and some foreign STS programs such as Chemistry in the Community,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 by analyzing STS contents, students' activity, overall structure of the books and space devoted to STS, and to provide improvement schemes for developing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to be developed by the 7th curriculum in future. It was found that STS topic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were related only to 'social problems and issues', 'applications of science',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and STS contents were presented mostly by narration. Students' activities were limited to discussion and survey, and none of the topics were related to 'career awareness', and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s' in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On the contrary, a variety of STS topics and activities such as case study related to local and community, practicing decision-making strategies, role play, practical work career awareness were included in foreign STS programs.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S contents and structure of present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2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홍미영(Mi Young Hong),정경문(Kyung Moon Jeon),이범홍(Bum Hong Yi),이양락(Yang Rak Lee)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1

        In this study, the students` responses on the items of chemistry Ⅱ in the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CAST) implemented for the past 3 years since 1999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applicants and mean score of chemistry Ⅱ, average percent correct by contents and inquiry process, and the items with high and/or low percent correct are analysed and discussed. The percentage of applicants for natural science track is reduced each year. However, more than 25% of natural science track applied to chemistry Ⅱ, which ranked second to biology Ⅱ. The mean score of chemistry Ⅱ was increased in 2001 along with those of other subjects. There is no difference in average percent correct either by contents or inquiry process. Students performed generally poor at solving test items relating to `colligative properties of solution` such as `boiling point elevation` or `osmotic pressure`, and very well at solving test items relating to `reaction rate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책 과정론 관점에서 외고·자사고 정책 논의

        홍미영(Hong, Mi-Yung),한유경(Han, You-Kyung),추지윤(Chu, Jiyu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3

        이 논문은 정책이란 다양한 수준의 정책 참여자들 간 역동과 정책 문서에 대한 상황적 해석을 통해 독창적으로 집행될 수 있다는 정책 과정론 관점에서 국내 고교유형 다양화 정책 과정을 탐색하였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함께 폐지위기에 놓인 외고·자사고 정책의 정책 과정에 초점을 두고 해당 정책을 둘러싼 맥락적 요인, 정책 참여자들의 인식 및 인식의 변화, 상충하는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들을 조망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을 과정으로 바라보는 다양한 정책이론들에 대한 면밀한 탐색에 기초해 분석 틀을 고안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외고·자사고라는 정책 하위체제는 사회 구조적 맥락 하에서 다른 정책 하위체제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으며, 정책 문서에 사용된 공식적 규칙 및 정책 용어들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논란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정책 행위자들의 담론 간 모순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추후 일반고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Weible et al. (2012:1) once claimed that one of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from students, researchers, and public policy officials is “how to influence the policy process.” In that regard, this research touches on the controversial impending abolishment of elite high schools, and it started out with the curiosity of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 who questioned why the students themselves are not asked for their opinions concerning the issue. In this paper, we adopted a descriptive approach—as opposed to a normative approach—and on a practical level, this standpoint acknowledges the impact of the actors, the different values and strategies, and the varying interpretations of policy docum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policy process. Based on this theoretical inquiry, we devised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includes three elements: structure, actors, and political behaviors. This framework was used to thoroughly examine the policy process related to the contended impending abolishment of elite high schools. Through this, we proposed the problems that need to be resolved beforehand in preparation of the imminent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type policies and also deduced implications.

      • 지방정부의 외국인주민 생활실태와 지원방안 -부산지역 중심-

        홍미영(Hong Mee Young),임현정(Im, HyunJung),신희영(Shin Hee 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대한 정밀한 실태조사를 통해 부산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주민의 삶을 파악함으로써 부산지역 외국인주민 정책을 뒷받침할 근원적이고 기초적인 데이터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부산지역 외국인주민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외국인을 주민의 일원으로 수용하고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외국인주민 정책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습니다. It is time to need basic data to support the foreigner resident policies by survey on the life status of foreigner resident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life status of foreigner residen in Busan., acceping as a citizen and suggesting policies about the foreigner resident for realiz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경력주기(Career Phase) 이론을 적용한 교사 전문성 개발과정 국제비교: 한국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홍미영(Hong, Mi-Yung),강유경(Kang, Yukyung),한유경(Han, You-Ky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수한 인재가 교직에 유입됨에도 교직 입문 이후 교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고, 교사 전문성 개발정책의 변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가 그간 부족했다는 인식하에, 면밀한 이론적 탐색과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 시대 교원 전문성 개발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ay & Gu(2007)의 관점을 중심으로한 교사 경력주기 이론을 탐색하고, 이를 적용하여 신규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한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원 전문성 개발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과정에는 ‘개인적 요인’, ‘학교 상황적 요인’, 국가 수준의 교사 정책 및 관점 등 ‘전문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모두 필요하며, 우리나라의 교사 전문성 개발과정은 이 세 가지 요인 모두에 대한 고려가 싱가포르에 비해 다소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두 나라 간 비교를 통해 도출한 요인별 주요 세부 준거는 개인적 요인의 경우 ‘재정적 지원, 개인적 특성과 자질을 고려한 경력발달 루트 제공 여부, 가정-직장 내 균형 고려 여부’였으며, 학교 상황적 요인의 경우는 ‘현장 내 동료들의 지원 여부’와 ‘교사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기관의 역할’과 관련된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전문적 요인의 경우 ‘교사의 주체적 참여 여부’와 ‘교원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사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었다. [결론] 이를 통해, 교사 전문성 개발 실패의 원인이 교사 개인적 능력이나 인성적 결함으로 귀결되는 현상이나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교원들의 부정적 인식 및 낮은 만족도는 제고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정책이 일종의 ‘사회적 통제’로 인식지 않도록 교사의 성장과 발달을 조력하고 지원하는 정책적 배려와 인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applicable to teacher policies in Korean context, which are particularly related to promoting teachers’ continual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To achieve this end, the theory of career phase has been employed as the analytical tool to compare teacher policies of two ‘so-called educationally top performing’ countries, Korea and Singapore.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gaporean teachers tend to be more supported in ‘personal, situated, and professional’ dimensions as addressed in the theory of Day & Gu(2007). Second, the specific criteria for comparison are ‘financial support, work-life balance, officially presented different routes for career development’ in ‘personal dimension’, ‘in-school support, institutional factors limiting the autonomy of teachers’ in ‘situated dimens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teacher education programs, social expectations of what a good teacher is’ in ‘professional dimension’. [Conclusion] ‘Cooperative accountability’ is called for in Korean context, and ‘institutional factors’ need to be shed more light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